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흉벽 외측을 타고 내려온 비전형성 하행 경부 괴사성 근막염 1예

        이용직,이종철,이호민,김정원,정종필,박창률,Lee, Yong Jik,Lee, Jong Cheol,Lee, Ho Min,Kim, Jung Won,Jung, Jong Phil,Park, Chang Ryul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11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7 No.1

        Cervical necrotizing fasciitis is a rare but well known life-threatening soft tissue infection primarily affecting the superficial and deep cervial fascial planes. It may rapidly spread into the mediastinum along fascial planes. So, if proper diagnosis and prompt surgical debridement is delayed, the infection may cause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with extensive necrosis of overlying skin, destroying fascia and muscle. Therefore, the key to the successful outcome is early recognition and rapid initiation of definitive radical debridement. The authors report,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a case of cervical necrotizing fasciitis with atypical spreading into the lateral chest wall.

      • 위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의 효과

        이용직,허수학,신동규,강성구,김일명,김태희,Lee, Yong-Jik,Heo, Su Hak,Shin, Dong Gue,Kang, Sung-Koo,Kim, Il Myung,Kim, Tae Hee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3

        목적: 여러 암 치료의 보조 및 대체요법으로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로 유럽지역에서 이십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 국내에서도 항암 대체 치료제로 점차 사용하는 추세이나 그 항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겨우살이 추출물이 위암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세포주는 SNU-719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처리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한국 아브노바사로부터 제공받은 ABNOBAviscum-Q와 ABNOBAviscum-F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함께 처리한 항암제는 5-FU와 Cisplatin을 사용하였다. CCK-8 assay kit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젖산탈수소효소(LDH) assay kit로써 세포 사멸률을 측정하였다. Caspase 3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caspase 3의 활성 변화를 알아보았고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Bcl2와 p53, 그리고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겨우살이 추출물 Q와 F를 각각 단독 처리한 실험군 보다 항암제인 5-FU와 cisplatin을 병합처리 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은 더 낮아졌다. Caspase 3의 활성은 겨우살이 추출물 및 항암제 5-FU 처리를 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4~6배 까지 증가하였다. Bcl2의 단백질 발현량은 대조군보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 처리를 통해 감소하였고 두 약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더 낮아졌다. p53의 발현은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항암제 처리를 통해서만 증가되었다. 또한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를 통해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인 5-FU 및 cisplatin 등을 병합 처리 할 경우 위암 세포 사멸에 있어 상승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caspase 3의 활성화와 Bcl2 발현의 감소를 통해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며 이 세포자멸사 유도 기전은 p53과는 상관없음(p53-independent)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Mistletoe extract was widely used for cancer treatment as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therapy in European area from early twenty century. It is currently used as alternative anti-cancer remedy by piecemeal in domestic medical group, however, the anti-cancer mechanism of mistletoe extract was not known precisely until now.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istletoe extract on gastric cancer was studied vis cell line experi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NU719 gastric cancer cell line was used, and ABNOBAviscum-Q and ABNOBAviscum-F were treated to cells as mistletoe extract, or 5-FU and cisplatin were used with mistletoe extract. The cell viability and cell death rate were estimated by CCK-8 assay ki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kit in each. Caspase 3 assay kit was used to measure caspase 3 activity. The protein expression amounts of Bcl2, p53, and PTEN were estimat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co-treatments of mistletoe extract Q/F and 5-FU/cisplatin decreased lesser cell viability than only mistletoe treat. Caspase 3 activity was increased 4~6 times in co-treatment of mistletoe extracts and 5-FU than control. Bcl2 protein expression was reduced by mistletoe extracts or anti-cancer drugs, further more, the co-treatment of mistletoe extracts and 5-FU/cisplatin diminished more the expression than only mistletoe treatment. Mistletoe extracts did not affect the protein expressions of p53 and PTE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anti-cancer mechanism of mistletoe extracts was made by caspase 3 activation and lowered Bcl2 expression, and this apoptosis inducing mechanism was independent to p53.

      • SCOPUSKCI등재

        Palliative effect of <sup>131</sup>I-MIBG in relapsed neuroblastoma afte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이용직,하정옥,Lee, Yong Jik,Hah, Jeong Ok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2

        신경모세포종은 소아에서 발생하는 흔한 두개외 고형 종양 중 하나로서 진행된 경우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재발이 잘 되어 예후가 매우 나쁘다. Iodine-131 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는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신경모세포종 4기 환자를 위한 대증적 치료 요법으로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저자들은 자가 말초혈조혈모세포이식 후 재발된 신경모세포종 3례에서 $^{131}I-MIBG$를 이용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생존 기간을 늘이는 고식적인 치료 효과를 얻어 이들에 대한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 Neuroblast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extracranial solid tumor of childhood, and treatment of refractory neuroblastoma remains a significant clinical problem. Iodine-131-metaiodobenzylguanidine ($^{131}I-MIBG$) therapy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reat stage IV neuroblastoma. We report the palliative effect of $^{131}I-MIBG$ in three cases of relapsed neuroblastoma after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131}I-MIBG$ is an effective and relatively nontoxic palliative therapy resulting in reduction of pain and prolongation of survival.

      • KCI등재

        Literature Review of Microteaching Activity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이용직(Lee, Yong-Jik(),Robert Davis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교사교육 프로그램 내에서 예비교사의 마이크로 티칭 (시범수업) 경험은 교사의 교수방법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티칭 경험이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특히 미국 초등학교 예비선생들의 영어학습자, 이민자 학생을 포함한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마이크로 티칭 경험이 예비교사 교수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영어교육 분야에서, 특히 영어 학습자 (이민자 학생)들을 위한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선행연구 조사 결과로 바탕으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예비 초등학교 선생님의 이민자 학생을 위한 마이크로 티칭 경험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Microteaching is a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 for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is review investigates the self-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implications self- efficacy has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The results of this review suggest that microteaching activities increase teaching competencies and self-efficacy beliefs. However, this review did find that ELT is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assist pre-service teachers with strategies and techniques to accommodate the needs English Language Learners (ELLs) in the ELT context.

      • KCI등재

        Can Flipped Learning Benefit English Language Teaching ESL Teacher Education: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이용직(Yong-Jik Lee),Robert Davis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플립트 러닝이 영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미국의 수학, 과학 중심과정(STEM Education)에서 시작된 플립트 러닝 (Flipped Learning)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플립트 러닝은 블랜드 러닝 (Blended Learning) 의 한 가지 형태로써, 교수자가 온라인 학습을 적절히 이용하여 유연한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고차원적이면서 자기주도적인 사고를 진행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플립트 러닝의 선행연구가 수학, 과학중심 분야에서 주로 진행 된 것을 고려해볼 때, 영어교육과 교사교육 분야의 플립트 러닝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 분야와 교사교육 분야에서의 플립트 러닝 적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어떻게 플립트 러닝 연구가 현재 교육 상황에 더욱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Research on implementing a flipped classroom has emerged as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in K-12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classrooms in the past decade. Previous research argues that the flipped classroom helps increase student motivation for learning, fosters learner autonomy, and promote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addition, the flipped classroom provides various benefits to instructors, such as allowing for more effective use of class time, creating flexible delivery options such as using online instruction, and increasing meaningful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lthough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K-12 classrooms has revealed several benefit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English language teaching area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As such, this paper aims to review previous studies and provide suggestions on how teacher educators can create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to stimulate pre-service teachers’ authentic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ESL teacher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갯장어(Muraenesox cinereus) 장으로부터 호기적 조건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다양성 및 세포외 효소 생산능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직(Yong-Jik Lee),오도경(Do-Kyoung Oh),김혜원(Hye Won Kim),남개원(Gae-Won Nam),손재학(Jae Hak Sohn),이한승(Han-Seung Lee),신기선(Kee-Sun Shin),이상재(Sang-Jae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2

        국내 삼천포 및 서천에서 채집한 갯장어(Muraenesox cinereus)의 장내기관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들의 다양성 및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장내 미생물의 순수 분리를 위하여 marine agar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에서 호기적으로 배양하였다. 순수 분리 후, 49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3문, 13과, 14속, 34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Proteobacteria 문은 83.7%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8과, 8속, 26종으로 Aeromonadaceae, Pseudoalteromonadaceae, Shewanellaceae, Enterobacteriaceae, Morganellaceae, Moraxellaceae, Pseudomonadaceae와 Vibrionaceae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리한 균주들이 amylase, lipase, protease와 같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효소를 생산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효소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39 균주가 최소 한 종류 이상의 효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Aeromonas 속의 균주들은 테스트한 모든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하여 분리한 미생물들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국내 유전자원 확보 및 갯장어의 장내마이크로비옴의 과학적 지식 확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confirmed the diversity and characterization of gut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intestinal organs of Muraenesox cinereus, collected on the Samcheonpo Coast and Seocheon Coast in South Korea. To isolate strains, Marine agar medium was basically used and cultivated at 37℃ and pH7 for several days aerobically. After single colony isolation, totally 49 pure single-colonies were isolated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 of 16S rRNA gene DNA sequencing, indicating that isolated strains were divided into 3 phyla, 13 families, 15 genera, 34 species and 49 strains. Proteobacteria phylum, the main phyletic group, comprised 83.7% with 8 families, 8 genera and 26 species of Aeromonadaceae, Pseudoalteromonadaceae, Shewanellaceae, Enterobacteriaceae, Morganellaceae, Moraxellaceae, Pseudomonadaceae, and Vibrionaceae. To confirm whether isolated strain can produce industrially useful enzyme or not, amylase, lipase, and protease enzyme assays were performed individually, showing that 39 strains possessed at least one enzyme activity. Especially the Aeromonas sp. strains showed all enzyme activity tested. This result indicated that isolated strains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the industrial ap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contributed for securing domestic genetic resources and the expansion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gut microbial community in Muraenesox cinereus of South Korea.

      • KCI등재

        대학원에 재학중인 유학생의 영어매개강의 (EMI: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수업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직(Yong-Jik Lee),김영룡(YoungR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전공지식을 학습함과 동시에 영어 실력도 향상할 수 있는 영어매개강의(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EMI)를 국내대학에 재학중인 유학생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지방에 있는 한 사립대학교에서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이 EMI 수업을 수강한 후, 1) 본인의 전공 지식 학습 정도, 2) 본인의 영어 실력변화, 그리고 3) EMI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MI 수업은 중국인 유학생의 해당 전공지식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MI 수업은 중국인 유학생의 영어 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EMI 수업이 아주 효과적이라고 평가하였고, EMI 수업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나타냈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수준이 낮은 외국인 유학생에게 다양한 영어매개강의를 제공하는 것이 외국인 유학생 수업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EMI 수업을 강의하는 교수자에게 영어매개수업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셋째, EMI 수업 시간에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을 허가하여 수업이 진행되면 더욱 의미있는 EMI 수업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applying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EMI)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necessary and can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while they learn important content by lecturing in English on a specific field of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and implemented a mixed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EMI clas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I classes positively affected most of the learning by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EMI classes positively affected improvement in internationa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Third, students considered EMI classes very effective and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various English-mediated lectures should be provided to international students with low proficiency in Korean. Second,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university instructors who teach EMI classes. Third, a students native language must be permitted during EMI class time in order to implement EMI courses effectively.

      • KCI등재

        기반시설부담구역 추출을 위한 용도지역지구 공간정보 적용방안 연구

        이용직(Lee, Yong Jik),최내영(Choei, Nae Yo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1

        현행 국토계획법 상의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는 그 주요 구역지정 기준으로서 법 제 ? 개정으로 인하여 용도지역 등이 변경되거나 해제되어 행위제한이 완화되는 지역(법 제67조)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방대한 국토계획 관련 법령 모두의 제?개정 상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전수 확인하고 그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지역을 공간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원론적 법령기준에 준거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사례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토지이용 상 용도상향(업조닝) 지역의 시차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법령 제?개정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의 결과와 동일하게 간주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추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 툴을 발굴하고자 실험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대상지로는 동 제도에서 명시하는 인구증가율 및 건축허가건수 증가율 등의 주요 기준지표를 중심으로 수도권 내 개발압력이 가장 높은 지자체를 선별하여 용도지역지구 변화상황을 추적함으로써 실제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고, 분석결과 이전에 불가능하였던 방대한 면적과 다수 개소의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제도시행 가능성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본 제도가 추구하는 국토의 난개발 방지 및 계획적 국토개발 정책실현의 잠재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정책적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urrent Development Impact Fee (DIF) Zoning Law allows Korean localities to designate the DIF Zone for the areas where there have been up-zoning in land-uses due to any minute additions and/or amendments in the existing clauses or provisions in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Law as well as all other laws related to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n reality,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trace the sporadic and infinitesimal changes that might occur in every corner of the statutory clauses of a great number of planning related laws. This study, in an effort to overcome such practical difficulties, tries to chase the time-series zoning alterations in especially the consecutive land-use information layers of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as comparable analogues of the outcomes of the amendments in various planning laws. A study locality is chosen among the entire localities in the Capital Region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dictated by the DIF Zoning Law such as the population- and building permit increase rate.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methodology suggested herein is practically applicable and successfully capable of extracting a number of DIF zones with considerable areal sizes, which could not have otherwise been possible.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in this context,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 the uncontrolled developments as the DIF Zoning Law itself was originally intended to achieve.

      • KCI등재후보

        English language learners’ bilingualism and biliteracy development in a Korean heritage school in the US

        이용직(Lee, Yong-Ji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1

        미국의 많은 학교들이 교실 내에서 영어만을 사용하는 English-only 규칙을 정하면서,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가진 영어학습자들이 정규 학교 시스템 내에서 이중 언어와 리터러시(literacy)를 동시에 발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교육상황에서 미국 각 지역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한글학교는 교포 및 이민자 자녀들의 모국어 유지 및 발달과 더불어 이중 언어 발달에 긍정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고된다. 본 논문은 미국 남부의 한글학교 한곳을 배경으로 하여 한글학교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수업이 영어학습자들의 모국어 유지 그리고 이중 언어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연구의 데이터는 두명의 선생님 교실을 3개월간 수업관찰하고 학생들의 쓰기자료를 수집하여 구성되었다. ‘Cummins(2001)’의 최적의 영어 학습 3가지 조건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한글학교 교사들의 교수법이 어떻게 영어학습자의 모국어와 이중 언어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코드 스위칭을 이용한 교수법이 영어학습자의 이중 언어발달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이 논문은 한글학교 선생님들이 다양한 교수법으로 영어학습자의 모국어 유지와 이중 언어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plored a Korean heritage language schoo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US to understand how teachers promoted Korean ELLs’ bilingualism and biliteracy development. The data consisted of researcher’s classroom observations and Korean ELLs’ written artifacts from the heritage language school. Based on Cummins (2001) optimal learning and instruction in bilingual and biliteracy settings, this paper analyzed the Korean heritage language school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focusing on three frameworks: a) the focus on meaning, b) the focus on language, and c) the focus on use.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implemented the code-switching strategy in order to promote Korean ELLs’ bilingualism and biliteracy development in the classroom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how Korean heritage language school promotes Korean ELLs’ heritage language development in the US.

      • KCI등재

        Promoting self-efficacy through microteaching in a flipped classroom in US teacher education

        Yong-Jik Lee(이용직),Hyoung-Sook Cho(조형숙),Kyung-Cheol Lee(이경철)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8

        초등예비교사들이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가르쳐 그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미국 대학의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을 통해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가르칠 때 어떻게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는지 고찰하였다. 대학의 수업을 플립드 러닝으로 설계하여 수업 전에 내용을 미리 학습한 뒤, 실제 수업시간에는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 대상 예비교사들의 ESL 수업시연을 연습하였다. 예비교사의 ESL 수업시연 동영상, 예비교사의 감상문 및 담당교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내용교과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들은 적절하게 준비되고 있다고 느꼈으며 자기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교육자들이 플립드 러닝을 활용하여 수업시연과 같은 실제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다문화 배경 영어학습자를 잘 가르칠 수 있도록 예비교사를 준비시키는 방안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한국의 상황에 적용하여 국제화 시대에 한국의 예비교사들도 다문화 학생을 가르칠 수 있도록 교사양성기관에서 준비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flipped classroom, in terms of self-efficacy,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US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project explores how ESL microteaching activity in the flipped classroom shapes teacher-candidates" self-efficacy regarding teaching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By analyzing ESL microteaching videos,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paper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ourse instructors, the study results show how pre-service teachers enhance their self-efficacy in teaching CLD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mainstream content subject classrooms. Moreover, the researchers provide suggestions on how teacher educators can utilize the flipped classroom to create an authentic an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such as using ESL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to shape their self-efficacy in order to be well-prepared for CLD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implication is that Korean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to teach CLD students in their mainstream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