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용자의 생태하천 어메니티 평가에 따른 관리전략 수립

        이용학 ( Lee-yong Hak ),강은지 ( Kang-eun Jee ),이대균 ( Lee-dae Gyun ),김용근 ( Kim-yong Ge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도시의 발달로 인해 토지이용 증대를 목적으로 도심 내 하천은 개발의 대상으로 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인간 편의 중심의 하천사업 추진은 재해에 대한 취약 및 수질의 악화 등다양한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최근 도심 내 하천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하천복원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경제소득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여가가 삶의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되면서 하천의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자연성회복과 함께 이용과의 조화를 이룬 생태하천의 조성이 하천복원사업의 방향으로 강조되고 있다. 즉, 하천 관련 사업은 훼손된 하천의 물리적 형태 및 생태적 기능의 회복과정인 동시에 시민의 옥외여가활동공간 조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생태하천 조성사업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가 제기되고 있고 복원사업의 효과를 일부 선행연구에서 검토하고 있으나주로 생태적, 기술적 측면의 진단만이 이루어질 뿐 이용자 측면에서의 생태하천 기능 제공에 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측면에서 생태하천 복원사업 내용에 대한 평가를 통해 생태하천의 향후 관리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심 내 거주지와 밀접한 하천 지류전체를 대상으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추진 및 관리하고 있는 서울시의 4개 지류 권역, 18개소 하천을 대상으로 이용측면의 관리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최근 하천의 이용자 평가를 위한 개념으로 하천 어메니티가논의되고 있으며,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이용측면의 내용은 하천으로의 접근성, 수질 및 수량 등의 자원성, 구조물의 주변경관과의 조화, 경관 저감시설의 관리, 이용시설의 공급 등의 물리적 요소, 생태관찰교육, 환경의식 등과 관련된 이용프로그램 요소, 편의 및 휴식기회의 제공, 체육활동 기회의 제공 등의 이용서비스와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하천 관련 사업에서 이용 측면의 하천 어메니티가 고려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 이용자의 만족증진과 재원배분의 조합을 위해 5점 리커트척도로 어메니티에 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생태하천에 대한 이미지 및 기능을 비롯한 사업성과와 추구해야 할 목표 관련 인식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는 2016년 5월 14일부터 7월 30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이용객의 이용이 많은 주말에 시행하였고 표본은 편의추출방법으로 선정하여 일대일 면담을 통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유효 표본은 중랑천 권역 367부, 탄천 권역 287부, 안양천권역 150부, 홍제천 권역 136부로 총 931부를 대상으로 코딩과정을 거쳐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IBP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생태하천 어메티니에 관한 IPA Matrix 분석결과, 1사분면에 위치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가나타난 항목으로 자원성 요인에는 하천의 자연성 활용, 접근의 용이, 생활환경 개선, 수질개선과 수량의 안정적 확보이었고, 물리적 요소는 안정성의 확보였다. 프로그램 요소는 하천 관리를 위한 이용객 의견 수렴 프로그램이었으며, 이용서비스 측면에는 편의 및 휴식기회 제공과 체육활동기회 제공이 해당되었다. 2사분면에 위치해 집중적으로 관리 및 투자되어야 할 항목은 전무하였다. 3사분면에 위치해 낮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나타나 제한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항목으로는 프로그램 요소 중 환경교육 프로그램, 생태관찰교육 프로그램, 지역문화 반영 프로그램이었고 이용서비스요인은 하천생태학습 기회, 축제 및 이벤트 참여기회, 레저활동 기회였다. 4사분면에 위치해 낮은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이 나타난 항목은 물리적 요소 중 공간의 적정계획, 주변 경관과의 조화 항목이었고, 프로그램 요소 중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마련이었다. 종합하여 볼 때,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될 항목의 대부분이 하천의 자연성과 관련된 어메니티였으며, 제한적인 투자가 필요한 부문은 하천의 자원성, 물리적 요소, 프로그램 요소, 이용서비스 측면 등 어메니티 요인 모두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하천에 과도한 투자보다는 적정한 공간 및 서비스 제공이 이용자에게 생태하천 어메니티니에 대한 기대에 대한 만족이 충족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물리적인 공간규모의 설계 및 경관 등 물리적 요소 관련 어메니티에 대하여 현 상태에 대한 높은 만족이 성립되므로 과잉 투자 및 개발보다는 현 상태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생태하천이 추구해야 할 기능에 대한 인식분석 결과, 수질정화기능이 5점 만점 중 4.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자연경관의 제공이 4.10, 재해로부터의 안전성 확보가 4.01로 생태하천이 추구해야 할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친수기능의 경우 3.81로 높은 편이지만 가장 낮은 중요도였다. 복원사업이 추구해야 할 목표에 관한 가중치 분석결과, 이용자를 위한 여가공간 및 체험프로그램 마련보다는 수질의 개선 및 유량의 확보와 자연재해의 예방 및 인공적 공간의 자연적 친화의 점수가 높았으므로 이용보다는 자연성 회복을 위한 사업의 추진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서비스 및 프로그램 관련 어메니티에 대한 낮은 중요성 인식과 결부된다고 판단되므로, 이용자의 위락과 휴양을 위한 투자보다는 친자연적 하천조성과 적정한 이용서비스의 제공 중심의 사업추진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연계를 위한 이용객의 선택속성 인식 연구

        이용,조영은,강은지,김용근,Lee, Yong-hak,Cho, Yeong-Eun,Kang, Eun-jee,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 이용객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당위성을 확인하고 여가목적지 선택을 위한 물리적 선택소성, 프로그램 선택속성, 서비스 선택속성의 인식차이와 중요도-만족도분석(IPA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은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휴식 및 정서함양을 위해 방문하고 단순 산림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체험마을은 가족, 친구 및 동료, 단체 및 동호회 등이 연중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지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변화한 국민의 여가수요 충족을 위한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순 휴식이 주 방문목적이었던 자연휴양림 이용객에게 체험마을과 연계 시 긍정적인 방문의향이 나타났으며 체험프로그램 참여, 자녀교육, 안전한 숙박시설 확보 등 다양한 이용이 예측되었다. 즉,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는 실질적 수요와 이용객의 수준 높은 산림휴양활동을 야기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경우 모든 선택속성에 대하여 중요도보다 사후 만족도가 낮았으므로 전반적인 개선 필요했다. 특히, 프로그램의 다양성, 유익성, 홍보, 지역성(테마성)의 개선과 숙박 및 편의시설의 공급, 예약시스템 및 지역특산물 구입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 운영관리인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했다. 반면, 체험마을의 프로그램 선택속성의 만족도는 높았으므로 체험마을 프로그램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요 연계대상임을 알았다. 넷째, IPA 분석에서 이용객의 높은 기대와 만족을 주는 숙박 및 편의시설과 인근 관광지와의 적절한 연계는 유지해야 할 속성이었고 소득창출이 주요 목적인 체험마을의 목적을 달성하고 방문객의 예약시스템 및 특산품 판매기회 만족 증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됐다. 이 외에 자연휴양림 이용요금 체계의 유지, 체험마을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지역성의 유지가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유도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고찰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f persons who use recreational forests and rural tourism villages.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use patterns of users to identify the ground for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analyzed their recognition differences in physical selection attribute, program selection attribute, and service selection attribute in order for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and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nalysis) to draw a plan for connection.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creational forests were visited by family users in order for rest and emotional cultivation and provided experience programs using simple public interest function of forest, whereas rural tourism villages were visited by family users, friends and co-workers, groups and club memb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nnual programs and understand regional culture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nect natural forest with rural tourism village in order to meet the leisure needs of the people changed in diversified way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rural tourism village and recreational forest visited mainly for simple rest led to positive visit intention of users. It wa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various kinds of uses, including experience program participation, child education, and safe accommodations security.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is an alternative to trigger actual demands and recreational forest activities with high quality. Thirdly, in the case of users of recreational forests, their performance of all selection attributes was lower than their importance of them. Therefore, overall improvements were needed. In particular, needed were the diversity, benefit, and promotion of programs, improvements in locality(themes), supply of lodges and convenient facilities, booking system, the purchase system of local special products, and professional skills of operators and managers. On contrary, the performance of program selection attribute of rural tourism village was high.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rogram attribute of rural tourism village was the main connection factor to activate recreational forest use. Fourthly, according to IPA analysis, the proper connections between loges, convenient facilities, and nearby touristattractions, which give high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to users, needed to remain. And it was required to make common efforts to accomplish the goal (income creation) of rural tourism village and improve booking system for visitors and performance of local special products sales opportunity. In addition, the essential factors to induce users' leisure destination selection were found to be maintenance of the use fee system of recreational forest, diversity of rural tourism village program, and retention of locality.

      • 제주 판포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설치

        이광야 ( Kwang-ya Lee ),김해도 ( Hae-do Kim ),이용직 ( Yong-jig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하수처리수의 재이용기술 적용이나 해수담수화 기술 등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농업용수의 유일한 수원공인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은 사용된 물은 재사용하므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하수처리수를 농업용목적으로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농업용수 재이용수질기준에 우선 적합해야하고 작물재배실험 및 수질, 토양, 생태환경 영향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위생 위험도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용해야한다. 본 현장에 적용된 기술은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www.water21.re.kr)인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통합기술적용”과제에서 개발된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요소기술로서 이미 2007년에 하수처리수를 수원공으로 하는 양수장에 적용되어 현재 가동중에 있다. 설치대상지인 서부(판포)하수처리장은 제주도 한경면 판포리에 위치하여 2008년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중에 있다. 재이용 공급대상 농경지는 처리장의 주변 농경지로 249ha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사업시행을 위해 타당성 분석,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시행하였고 금년 12월까지 시설의 설치 및 시험가동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에 적용된 현장적용기술의 분석을 통해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이 실제현장에 더 많이 보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버크셔 계통 조성에 관한 연구

        이용화 ( Yong Hwa Lee ),권슬기 ( Seul Gi Kwon ),박다혜 ( Da Hye Park ),권은정 ( Eun Jung Kwon ),조은석 ( Eun Seok Cho ),방우영 ( Woo Young Bang ),박화춘 ( Hwa Chun Park ),박범영 ( Beom Young Park ),최종순 ( Jong Soon Choi ),김철욱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버크셔종의 육질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돈육시장에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MS marker를 이용한 육질 우수 개체 선발의 효율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버크셔 323두를 동일 사양조건에서 사육하고 도축하여 육질형질을 분석하고,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50개의 MS marker에 대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버크셔종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듀록, 요크셔, 랜드레이스 종보다도 육질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도축 24시간 후 pH 값은 평균 5.88±0.01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고, 지방함량의 경우에도 2.878±0.06로 확인되었다. MS marker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14개 MS marker가 육질형질과 연관성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특히 pH24hr와 지방함량에서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대립유전자집단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최고 0.55, 2.04%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버크셔종의 육질 우수 개체 선발에 이용한다면 육색, 지방함량, pH24hr, 가열감량, 드립감량, 그리고 보수성에서 육질 형질값의 높은 개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microsatellite(MS) markers for pork quality was examined and further, their suitability to domestic pork industry also was verified, by measuring meat quality parameters of Berkshire breeds. A total of 323 pigs of Berkshire breeds were slaughtered and subjected to meat quality evaluation. In addition, the genomic DNAs from blood samples of slaughtered pigs were used for genotyping analysis of 50 MS mark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rkshire breeds have excellent meat quality, compared with the popular domestic breeds such as Duroc, Yorkshire, and Landrace. Noticeably, the Berkshire breeds exhibited a significant post-mortem pH24hr(5.88±0.01) and fat content(2.878±0.06).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between MS markers, 14 MS marker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meat quality traits(p<0.05). Maximum significant differences of 0.55 pH24hr value and 2.04% fat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allele populations. If these 14 MS markers are applied to the pork quality diagnosis kit, the synergistic effect can be expected in meat quality parameters such as meat color, fat content, pH 24 hr, cooking loss, drip loss and water-holding capacity.

      • CLUE-s 모형을 활용한 금강 유역의 저탄소 성장 시나리오 기반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연구

        이용관 ( Yonggwan Lee ),김진욱 ( Jinuk Kim ),이지완 ( Jiwan Lee ),김용원 ( Yongwon Kim ),김성준 ( Seongjoon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전세계적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따르면 물 분야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수변생태벨트, 생태마을 조성 등 온실가스 흡수원 확충방안을 포함하고, 하천과 주변 토지를 연계한 수변 완충녹지 조성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변지역 및 산림의 면적 확대를 고려한 저탄소 성장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CLUE-s 모형을 활용해 2050년까지의 미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CLUE-s 모형의 입력 자료로 2008년 환경부 중분류 토지이용도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에서 1980년부터 2021년까지의 토지이용 통계 자료를 구축하였다.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개(수역, 시가지, 농업지역, 산림지역, 습지(수변식생), 초지)로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토지 변화요소(Driving Factor)와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특별토지이용 정책 자료로 적용하였다. 시나리오 예측 결과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19, 2020, 2022년 토지피복도 자료를 통해 검증할 예정이며, 도시성장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토지이용 변화를 예측한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공매도의 수익률예측성과 미래이익반응계수에 관한 연구

        이용석(Lee, Yong-Seok),박희진(Park, Hee-Jin),김범준(Kim, Bum-Jo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78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별 공매도 체결내역을 기초로 공매도 거래와 회계정보의 유용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주식투자에 비해 공매도는 상대적으로 위험이 큰 투자안이므로 공매도 투자자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회계정보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 투자자가 공매도 거래시 기업의 영업성과와 관련된 회계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추가적으로 FERC 모형을 이용하여 거래비중이 높은 기업에서 당기 주식수익률이 미래이익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투자자가 공매도 거래시 기업의 영업성과와 관련된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양(+)의 초과수익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매도 투자시 회계정보를 활용할 충분한 유인이 존재함을 보였다. 아울러 공매도 거래비중이 높은 기업에서 당기주식수익율과 미래이익간의 양(+)의 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매도 거래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당기수익율이 보다 정확하게 미래이익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공매도는 전문적 투자자가 투자대상기업의 내재가치 변경을 예상할 때 발생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본 연구는 공매도 투자시 투자기업의 회계정보가 투자의사 결정의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공매도 투자자가 기업의 미래수익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Drake et al.(2011)의 연구결과가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공매도 거래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의 미래이익반응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매도 투자자들이 자본시장에서 회계정보를 잘 이용하게 할 수 있는 정보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Pownall and Simko(2005)의 주장과도 일치되며, 직접적인 공매도거래가 아닌 대차잔고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한 Drake et. al.(2015)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에서 공매도 투자자가 정보중개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으며, 아직까지 공매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존재하는 금융당국 · 투자자 및 기업들에게 공매도에 대한 유용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rt sale transaction and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hort sales transaction data. Since short selling is relatively high risk compared to stock trading, short selling investors are more likely to actively use accounting information to avoid risk.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short selling investors use accoun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pany"s performance when doing short selling. In addition, we use the FERC model to analyze whether the current profitability is more accurately reflect future prof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analysis, investors can obtain additional positive earnings by using the accoun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during the short sale. Therefore, we find that there is sufficient incentive to utilize the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short sale investmen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 profit and the stock return is higher in companies with a high volume of short selling, suggesting that firms with higher volume of short selling would likely to reflect future earnings more accurately in the current stock return.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at short selling can be occurred when a professional investor expects to change the intrinsic value of firm, this study shows that the accounting information can be useful for investment decision. In addition, we also find that short-selling investors, who can be regarded as professional investors, predict the firm’s future returns more accurately, confirming that the empirical results of Drake et al. (2011) consistently apply in Korea stock market.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 of Pownall and Simko (2005), which shows that firms with high short-sale volume have relatively high future earning-response coefficients, suggesting that short-selling investors have a role as information catalysts. We find that short selling investors play the role of information intermediaries in the capital market and provide a new insight on short selling to financial authorities and investors who still have differences perspectives in short selling transaction.

      • KCI등재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피부 생물학적 파라미터와의 관계

        이용직 ( Yongjik Lee ),남개원 ( Gaewon Nam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2

        Carbonylated proteins (CPs)은 단백질의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들과 지질 과산화 중 생성되는 알데히드 화합물과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CP는 UVA와 청색 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흥분하며, CP의 감광 반응을 통해 superoxide anion radicals (<sup>·</sup>O<sub>2</sub><sup>-</sup>)이 생성되고 각질층(Stratum corneum, SC)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통해 새로운 protein carbonylation이 진행되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superoxide anion radicals이 SC에서 CP를 생성하며 색상과 수분 기능을 포함한 피부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생성량과 피부 탄력 개선의 상관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46명의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피부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8주간 진행한 피부임상시험은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아무것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은 탄력개선 원료가 함유된 크림을 사용하였다. 임상시험 측정 항목은 DUB scanner를 이용한 진피 치밀도 측정, Primos를 이용한 주름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탄력 측정은 dermal torque meter (DTM310)와 Balistometer (BLS780)를 통해 진행하였다. SCCP측정은 피험자의 뺨에서cyanoacrylate를 이용한 skin surface biopsy (SSB)방법을 이용하여 각질을 채취한 후, 비침습적인 검출 방법을 이용해 SCCP의 양을 조사하였다. 측정은 0주, 4주, 8주 총 3회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각 주차의 측정값을 각각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C에 존재하는 CP의 양은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인자의 수치가 개선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항노화 효과에 있어서 탄력 개선과 CP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차후 피부 항노화 시험방법에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arbonylated proteins (CPs) are synthesized by the chemical reaction of basic amino acid residues in proteins with aldehyde compounds yielded by lipid peroxidation. CPs are excited by a range of light from UVA to blue light, and resulted in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s (<sup>·</sup>O<sub>2</sub><sup>-</sup>) by photosensitizing reaction. Then, they CPs induce new protein carbonylation in stratum corneum through ROS generation. Furthermore, the superoxide anion radicals produce CPs in the stratum corneum (SC) through lipid peroxidation and finally affects skin conditions including color and moisture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 and the skin elasticity. 46 healthy female Koream at the ages of 30 ∼ 50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8 weeks. The skin test was experiment conducted into two groups; placebo group (N = 23) used cream that did not contain active ingredients, and the other group (N = 23) used cream containing the elasticity improving ingredients. Test areas were the crow ‘s feet and the cheek. Various non-invasive method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biophysical parameters on human skin indicating that dermis density and skin wrinkle were measured by using DUB scanner and Primos premium, respectively. Skin elasticity were measured using dermal torque meter (DTM310) and balistometer (BLS780). SCCP was assessed in a simple and non-invasive method using skin surface biopsy on the cheek of the subject. The amount of SCCP was determined using image analysis. All measurements were taken at 0, 4 and 8 8week. Results revealed that the amount of CP in SC was reduced when the skin wrinkle and skin elasticity related parameters were improved. This indicat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asticity improvement and the amount of CP can be used as a anti-aging indicator and applicable to the skin clinical test for the measurement of skin aging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발 미주 항공 노선 소비자 이용 문화의 수요함수 추정 모형 비교 연구 : 포아송 모형, 음이항 회귀모형, 0과잉 포아송 모형, 영과잉·음이항 모형 비교

        이용일(Lee, Yongi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한국을 출발하여 미주에 도착하는 항공 노선 이용객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정함이 목적이다. 함수 추정을 위한 포아송(Poisson) 모형을 이용한 가산자료의 분석 및 과도분산(over-dispersion) 검정과 음이항 회귀모형(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model)분석, 0과잉 포아송 모형(zero-inflated Poisson), 0과잉·음이항 포아송 모형(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모형간의 특성과 비교분석 하였다. 포아송 모형의 과도분산 검정은 Cameron & Trivedi(1998)의 검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균과 분산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과도분산이 인정되고 두 모형의 우도함수(log-likelihood function) 값을 비교 했고 음이항 회귀모형이 보다 우수한 모형으로 분석 되었다. 음이항 회귀모형, 0과잉 포아송 모형, 0과잉·음이항 포아송 모형의 비교에서는 음이항 회귀모형과 0과잉·음이항 포아송 모형의 값의 유의성을 검토하고 0과잉 포아송 모형에서 Vuong 통계 값을 검증한 결과 0과잉 포아송 모형이 한국 출발 미주노선 이용객의 수요함수 추정에 최적인 적합 모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0과잉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에서는 Male, Married, Fifty, Projob, Blue, Five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에서는 남성이 1% 유의수준에서 한국출발 미주 항공 노선 수요모형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여성이 수요모형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시 말해 남성보다는 여성이 한국출발 미주 항공 노선 수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로 해석할 수 있다.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1% 유의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서는 30대와 40대가 긍정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에서도 고교졸업자 집단과 대학졸업자 집단에서도 유의성은 없으며 결국 교육수준은 수요와 어떠한 영향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유형에서는 화이트칼라 직업군과 블루칼라 직업군이 각각 5% 유의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직업유형변수는 학생, 주부, 퇴직자 등과 같은 변수와는 무관하며 직업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은 한국 출발 미주 항공 노선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demand of airline passengers who are traveling to the Americas from Korea. Analysis of over-dispersion and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model using Poisson model for function estimation, zero-inflated Poisson, 0 excess · A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The log-likelihood function of the two models is compared with the log-likelihood function of the two models. The log-likelihood function of the two models is compared with the log-likelihood function of the two models. Binary regression model was analyzed as better model. In the comparison of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zero excess Poisson model, and the zero excess / negative binomial Poisson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nd the zero excess / negative binomial Poisson model are examined and the Vuong statistic value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the excess Poisson model is the best fit model for estimating the demand function of the US routes users from Korea. 0 In the analysis using the excess Poisson model, the variables of Male, Married, Fifty, Projob, Blue, and Fiv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male gender negatively influences the demand model of the US air route from Korea at 1% significance level. On the contrary, female gend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mand model.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demand for American air routes from Korea. In married status, married people had positive influence at 1% significance level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marrie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30s and 40s in the age group. In addition, there is no significance in the education level among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and education level has no relation with demand. In the occupational type, the white - collar occupation group and the blue - collar occupation group each had a positive influence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other words, job type variables are not related to variables such as students, housewives, retirees, etc.

      • 자체 물리 엔진을 이용한 유니티 컬링 게임

        이용현(Yong Hyun Lee),박기범(Ki Beom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2 No.11

        2018 년 평창 동계올림픽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컬링이라는 종목에 큰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 종목을 직접 체험하거나 경기를 보기 위해서는 빙판이 있어야 하는 특수성과 비싼 장비, 찾아보기 힘든 경기장 등 여러 열악한 조건들 때문에 결국 올림픽 시즌에만 반짝 관심을 가졌다가 시들어버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Unity 라는 게임 엔진을 사용하여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컬링 게임을 제작하였다. 실제 컬링을 게임으로 만들기 위해 컬링에 필요한 도구들을 이미지로 제작하여 Unity 내부에서 저장 후 오브젝트에 입력하였고 물리 법칙을 구현하기 위해 Unity 상에서 방향, 세기, 속도, 충돌들을 프로그래밍하였으며 대한컬링연맹에 나와있는 컬링 경기 규칙서를 활용하여 게임에 적용하였다. 또한 컬링의 진행이 현실적인 운동과 비슷하게 하기 위하여 스크립트 안의 충돌 및 마찰 관련 계수를 조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한 결과값들을 수치화 하여 그래프로 작성해보았다. 추가적으로 컬링 게임의 점수판과 카메라 시점 등을 통해서 게임 사용자가 게임 진행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부분을 구현하였고 현실성을 위하여 Arduino 를 이용한 게임 패드를 제작하여 직접 게임하는 듯한 느낌을 들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게임을 이용하여 컬링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하고 사람들이 컬링이라는 비인기 종목에 한 걸음 더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스포츠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이용자의 혁신저항이 모바일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훈,이용,Kim, Dong Hun,Lee, Yong J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많은 양의 건강 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용 수준이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이용자가 지닌 혁신저항(사용 장벽 정도, 가치 장벽 정도, 위험 장벽 정도, 전통 장벽 정도, 이미지 장벽 정도)이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378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이미지장벽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 앱에 대한 혁신저항 정도가 높아지며, 혁신저항 정도가 높을수록 지속적 이용의도 정도와 추천의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장벽 정도, 가치장벽 정도 그리고 전통장벽 정도는 혁신저항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 앱의 이용행태를 혁신저항이론으로 설명함으로써 신기술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연구 결과는 건강 앱의 수용 및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장벽, 가치장벽 그리고 전통장벽보다는 이미지장벽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The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auses of the high level of health application but the low level of use.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user's innovation resistance (use barrier, value barrier, risk barrier, traditional barrier, image barrier, etc.)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378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with college students. Findings indicated the higher the level of image barrier of the user,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for the health application,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ower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recommenda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use barriers, value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innovation resistance, suggesting that users familiar with smartphones have low resistance to health applications. The study deepens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adoption and continuous use of new technologies by explaining the use of health applications in the theor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lowering the image barriers rather than the usage barriers, value barriers and traditional barriers will be effective for the adoption and continuous use of health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