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 센터의 운영과 조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용숙(Yongsook Lee),조재식(Jaesik C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4

          이 연구에서는 미국 4개 대학에서의 장기적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3개 대학에서의 중, 단기 참여관찰, 2개 전국 규모 컨퍼런스에서의 참여관찰, 그리고 13개 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웹 사이트 분석과 문헌분석을 토대로 미국 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의 조직과 운영 방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11개 대학 웹사이트를 분석하고, 8개 대학의 세미나와 워크숍을 참여관찰 하였으며, 주요 운영자와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센터의 인적 구성과 조직, 세미나/워크숍/컨퍼런스, 수업개선을 위한 컨설팅 활동으로 나누어 제시되었으며, 우리나라 교수-학습개발 센터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et ideas and tips for the establishment of centers for teaching-learning(faculty development centers) and for the creation of teaching support programs in Korean universities, through an ethnographic study of American faculty development centers. Research methods include long ter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 four Faculty Development Centers in American universities, short and mid term participant observations in centers of three American universities, eight Korean universities and two national-scope conferences. Analysis of web-pages of centers for teaching & learning in 13 American universities and 11 Korean universities were also conducted.<BR>  The study results are about structure of the centers, topics and organization of seminars, workshops, conferences, and consulting activities.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webpage are also discussed. The study discusses on the implications from American CTL"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TL"s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소비자 평점이 높은 유럽 호텔의 특징에 대한 참여관찰 결과와 후기내용 비교

        이용숙 ( Yongsook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호텔예약 사이트에서 높은 평점을 받은 동남부 유럽의 호텔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경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참여관찰을 통하여 알아보고, 그 결과를 후기 내용과 비교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40개 호텔을 네 가지 방법으로 선정하여 숙박하면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20-40대 개인여행자 30명과 비공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13개국에서 9.0 이상의 평점인 호텔 15곳, 8.0-8.9 인 호텔 15곳, 8.0 미만인 호텔 3곳에서 숙박하면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텔 주인과 호텔 운영방식에 대한 비공식적 면담과 온라인 후기의 내용분석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호텔규모로, 소규모일수록 평점이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넓은 발코니가 있고 아파트 형 호텔인 경우 평점이 높은 경향이 있다. 둘째, 높은 평점을 받은 호텔들은 이외에 다음의 특징을 공유하였다: (1)호텔 내 또는 근처에 거주하는 친절한 주인이 직접 호텔을 운영하며 고객과 잦은 커뮤니케이션; (2)부지런한 주인이 잦은 수리와 지속적 호텔 개선 노력으로 편리하고 깨끗한 객실 제공; (3)훌륭한 식사를 제공하거나, 부근의 비싸지 않으면서 훌륭한 식당 추천; (4)안내문에 제시되지 않은 부가서비스 제공. 셋째, 평점이 높을수록 장점 언급 횟수가 늘어나고, 평점이 낮을수록 단점 언급 횟수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으며, 높은 평점의 호텔에는 사소한 단점들이 낮은 호텔에는 중요한 단점들이 주로 언급되었다. 넷째, 후기내용을 참여관찰 내용과 비교한 결과, 장점으로서 ‘부가서비스 제공’, ‘객실의 시설, 설비, 가구’, ‘친절, 특별한 도움, 가족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상호 작용’ 등 호텔주인/종업원의 태도’들이 주로 언급되었다는 점에서 비슷한 점도 많지만, 참여관찰 결과 중요한 특징이었던 ‘소규모 호텔’ ‘부지런한 주인이 직접 운영’, ‘잦은 수리와 세심한 관리’의 언급은 드물었다. ‘주인의 친절’과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은 부지런한 주인이 소규모 호텔을 직접 운영하며 호텔이나 부근에 거주하기 때문에 가능하지만, 이러한 원인은 후기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는 소비자들은 직접 경험한 결과 중심으로 후기를 작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후기 내용분석에만 의존해서는 평점이 높은 호텔과 낮은 호텔의 차이점이 충분히 분석되기 어렵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참여관찰 등 다른 연구방법과 상호보완 함으로써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글로벌 호텔 예약사이트 가입이 적고 평점이 낮은 편인 우리나라 호텔 마케팅을 위한 시사점을 몇 가지 얻었다: 소규모 아파트형 호텔의 신축과 개인주택의 호텔로의 전환, 발코니가 딸린 객실을 만들도록 노력 및 지원 할 필요가 있으며, 소규모 호텔과 아파트형 호텔은 어떤 편의나 특별한 체험이 가능한지에 대한 홍보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더 많은 호텔들이 국제적인 호텔예약 사이트에 가입하도록 하고, 높은 평점을 받은 외국 호텔에서 숙박하면서 참여관찰을 하거나 소비자들의 호텔 리뷰 분석을 통하여 벤치마킹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oday, more and more tourists are selecting hotels using online reservation sit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itive/negative reviews of hotels tend to influence consumers`` choice of hotel.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tels with high evaluations from online reviews. This study has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uropean hotels that receive high evaluations from online consumer reviews. The second purpose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tels found by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online reviews. Following an emergent research design,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for 100 days. For the pilot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hile staying in 40 hotels that were selected using four different approaches: (1)hotels recommended in tour books, (2)hotels that looked beautiful and modern from the outside, (3)online reservation site listed hotels with special discounted rates, and (4)online reservation site listed hotels with high consumer ratings. It appeared that the researcher and other consumers tended to be most satisfied with the hotels with high online ratings. Based on this finding, the focus of the main study became comparing hotels with higher ratings on a hotel reservation site with hotels with lower ratings on the same site. During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earcher stayed one or two days each in 33 hotels in 13 countries of southeastern Europe: 15 hotels that scored higher than 9.0/10.0, 15 hotels that scored 8.0-8.9, and 3 hotels that scored lower than 8.0.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owners or managers of the hotels while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nsumers`` online revie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each hotel appears to influence the consumers`` reviews most. The smaller a hotel, the better chance there is to get a high level of evaluation. The apartment hotels with spacious balconies and kitchens also tended to get high evaluation. Second, these hotels also tend to sha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kind owners who speak English tend to live in hotels or at nearby places to manage the hotels by themselves and to communicate frequently with their clients; (2) Diligent owners provide convenient and clean rooms and modern facilities by frequent repairing and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ir hotels; (3) The hotels provide excellent meals and/or recommend non-expensive but excellent restaurants located nearby; and (4) The hotels provide extra services which were not noticed. Third,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a hotel, the better chance there is to get a higher number of good evaluations in important points such as the ones for an extremely kind and friendly owner, impressive extra services and beautiful modern rooms. Fourth, according to the hotel reviews, consumers tended to mention what they experienced or saw personally rather than the causes of their experiences which were identifi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hotel owners. Moreover, consumers who gave lower ratings tended to skip providing written reviews, which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written reviews likely misrepresent consumers`` actual feelings(i,e., made them appear more positive). One of the importa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use only the analysis of the online consumer review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behavior. For better results, we need to use other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as well. The implications for hotel marketing are as follows: (1) For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t industry,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and support the construction of small-sized apartment hotels with balconies and to change private houses to small-sized hotels; (2)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more hotels to use international online hotel reservation sites; and (3) Hotel owners need to benchmark foreign hotels with high evaluation by staying in these hotels themselve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online consumer reviews.

      • KCI등재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연구와 교육실천의 연계성 강화

        이용숙(Lee Yongsook),김영미(Kim Youngmi),김영천(Kim Youngcheon),이혁규(Lee Hyukkyu),조덕주(Cho Duk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1

        실행연구의 형태로 이루어진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스스로 수행한 실행연구 과정 및 교육대학원에서의 논문지도 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실행연구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교사 연구자를 위한 실행연구 핸드북」을 개발하였다. 이 글은 이 핸드북의 주요 내용을 제시한 것으로, 우선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개념과 모형을 소개하고, 실제 실행연구 사례 50여 편의 분석 결과 연구 목적별로 유형화 된 3개의 실행연구 유형별로 연구 설계가 어떻게 달라질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실행연구의 과정별 연구 설계 지침과 고려할 점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연구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행연구논문의 작성 과정에서의 고려사항들을 일반적인 연구논문의 경우와 비교하면서 제시하였다. As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by five professors who belong to four differen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for the development of a handbook for teacher-researchers who want to conduct an action research. Based on an analysis of 50 action researche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each researcher and their graduate students in advising/conducting action research, a handbook for action research was developed and revised several tim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seminar which was organized to show and evaluate the first edition of the handbook. Since most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handbook except for the organization of the handbook, only minor changes were made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and provision of more actual research examples by teacher-researchers. In this article, concept and research models of action research are introduced and research designs, which need to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tegories of action research, are discussed. The three major categories of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major aims of research are as follows: l)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find causes of major problems and to improve situations in the research fields, 2)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be used widely by other teachers, 3) action research which aims to find immediat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the field.

      • KCI등재

        『분류체계/성분분석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설문조사 문항으로 발전시키기』교육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이용숙(Lee Yo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여러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류체계/성분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설문조사 문항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이 연구방법의 교육 프로그램까지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조사 단계에서의 4년간의 15회의 워크숍과 본 연구 단계에서의 5회의 워크숍을 실시하면서 개선해나가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2009년에 1차 개발되었던 강의 자료의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졌으며, 새로운 집단면담 방식의 실습자료와 사례제시용 설문지가 개발되었다. 또한 각 워크숍 참여자(총 116명)의 실습 결과를 분석하여, 집단 별로 통합적인 비교분석표를 제시하는 예시자료를 개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 new research method to synthesize many informants' taxonomy and component of each category of the taxonomy, while constructing questionnaire item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ynthesis. Through an action research, this study also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this research method. The educational program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through 20 workshops during four years of the pilot study phase and four workshops during the main research phase.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se workshops and feedback from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As a result, a set of PPT lecture slides, training material for practice and a questionnaire for practice were developed.

      • KCI등재

        가족으로서의 반려동물의 의미와 반려동물로 인한 구별 짓기

        이용숙 ( Lee Yongsoo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2

        반려동물에게 부여하는 의미와 반려동물이 키우는 사람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26명이 실시한 참여관찰과 66명 대상 심층면담, 200명 대상 서술 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대다수가 반려동물을 `가족`이나 `가족 같은 친구/단짝친구 같은 가족`으로 여김을 발견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늦둥이 막 내`라고 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위해서 사람들은 많은 애정, 시간, 비용을 쏟아 부었다. 반려 동물이 스스로에게 가져온 변화로서는 긍정적인 방향의 `감정의 변화`와 `성격/태도의 변화` 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반려동물 키우기의 단점으로는 위생문제와 비용운제, 청결문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가족 간의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반려동물을 돌보기 위한 역할분담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 `어머니`의 위치가 반영되고 있었다. 즉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은 종종 `어머니`에게 전가되고, `아버지`와 `자녀들`은 `반려동물과 함께 노는 일`을 `반려동물을 돌보는 일`보다 많이 하면서 지냈다. 반려동물을 둘러싼 가족 간의 갈등으로는 아버지와 다른 가족의 대립이 가장 많았다. 특히 반려동물과 관련된 아버지의 강한 부정적 감정표출에 대한 대응전략으로는 `감추기`가 가장 자주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가족 간의 위계와 자신에 대한 애정표현의 정도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가족구 성원을 서열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신에 대한 애정 정도는 `어머니`보다 못하지만 집안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아버지`에게 가장 높은 서열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부르면 가장 먼저 간다거나 애교를 부리는 것으로 서열 인정의 표시를 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안 키우는 사람보다는 키우는 사람을 훨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한편으로는 자신의 반려동물이 얼마나 예쁜지/잘 따르는지/훈련이 잘 되었는지를 자랑하는 방식으로, 또 한 편으로는 다른 사람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방법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구별 짓기`(차별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작은 개를 키우는 사람들은 대형견 키우는 사람을 차별화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companion animal as a family and the effect of the companion animal on the owner and his/her family relationship.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narrativ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panion animals tend to be regarded as `family` or `family-like friend`. Especially, for the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called the “youngest child”, which is the most loved, people poured a lot of affection, time and money. The changes of themselves brought by the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as `changes in emotions` and `changes in personality/ attitudes` in a positive direction. The disadvantages of bringing up companion animals were most often referred to hygiene, cost, and cleanliness, which are the causes of family conflicts. In the division of roles for care of companion animals, the position of `mother` in socio-cultural context was reflected. In other words,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is often transferred to `mother`, while `father` and `children` have more `playing with companion animals` than `caring for companion animals`.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surrounding the companion animal showed the most frequent confrontation between father and other family members. Especially, “concealment”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strategy for expression of father`s strong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Companion animals tended to rank the other family members on two criteria: degree of family hierarchy and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As a result, the highest rank tended to be given to `father` who had the most authority in the house even though the degree of affection for oneself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 In other words, `father` tended to be the first to be called, or the first to be charmed. Those who had the companion animal tended to perceive the person who had it much more positively than the person who did not have it. Moreover, differentiation was made among companion animal owners either by boasting of how lovely and well trained your pet companion is or by criticizing of how other people raise/train companion animals. Also, those who have small dogs have differentiated those who have big dogs.

      • KCI등재

        ‘놀기’가 된 디저트 먹기

        이용숙(Lee, Yongso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 면담, 설문조사, 빅데이터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대다수 소비자에게 디저트 소비가 일상화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많은 20~30대 여성 및 이들과 데이트 하는 남성에게는 디저트 카페도 일상적 소비 공간이 되었다. 이는 ‘맛집 탐방’이 청년들에게 가장 흔한 놀이방식이 된 것과 관계있다. 장기적인 경제 불황과 심화된 취업경쟁으로 미래를 위해 행복을 유예하라는 자기 계발 압박이 강해지면서 청년들의 시간여유는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이들도 어차피 먹어야 하므로 ‘맛집탐방’을 할 여유는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스트레스 해소방법 1순위도‘(단 음식) 먹기’다. 즉 ‘먹기 놀이’는 ‘타임푸어’ 청년들이 죄책감 없이 행복함을 단시간에 느낄 수 있는, 접근성 좋은 ‘놀 거리’라고 할 수 있다. 여성들은 남성보다 ‘먹기 놀이’ 장소로서 디저트카페를 선호한다. ‘맛있는 디저트 먹기’와 ‘예쁜 사진 찍기’, ‘친구와 대화하기’라는 1차적 놀이와 ‘예쁜 사진 SNS에 올려 공유하기’라는 2차적 놀이를 병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독특한 인테리어의 새로운 디저트카페가 계속 생기며 신 메뉴를 자주 출시하기 때문에 디저트카페는 ‘경험수집’ 장소로서도 훌륭하다. Us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and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that dessert consumption is a form of spending leisure time for the majority of consumers nowadays. This study found that dessert cafe has become a common consumption space especially for young adults in their 20-30’s, providing a comfortable venue for enjoying with friends and dating.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rise of ‘restaurant tour’ as a dominant form of spending leisure time. Due to the long-term economic recession and increase of competition for good jobs, young women have been under pressure to delay their pleasure and happiness for the future. In such circumstance, searching for good restaurants or dessert cafes began to serve as an affordable yet stress-relieving way of spending leisure time. Recent popularity of dessert cafes can be understood in the aforementioned context, with ‘sugar intake’ being the most preferred stress relieving method for young people. Going to a dessert cafe is an easily accessible method to spend leisure time without guilt for the ‘time poor’ youth.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three primary experience expectation in going to dessert cafes are as follows: ‘Having delicious desserts’, ‘taking pictures of desserts and the cafe’, and ‘hanging out with friends’. The secondary expectation is ‘sharing pretty pictures of desserts through social media.’ Women tend to like all of these ‘plays’ than men. The dessert cafe is also a good place to collect experiences, as new dessert cafes with distinctive interiors and original menus continue to emerge.

      • KCI등재

        삶의 중요한 일부로서의 스마트폰: 직장인·대학생 대상 설문조사와 여자대학생 대상 현장연구

        이용숙(Lee, Yongsook),이수현(Lee, Suehyu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20~40대 직장인 500명의 스마트폰사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연령대별/성별로 살펴본 후, 여자대학생에 중점을 두어 스마트폰이 어떻게 이들의 삶의 중요한 일부가 되고 있는지 논의했다. 연구자 2명과 연구보조원 36명이 자신과 주변인의 스마트폰 사용방식을 참여관찰하고, 80여 명과의 심층면담과 4회의 FGI를 실시했다. 스마트폰과 가장 밀착된 삶을 사는 것으로 나타난 여자대학생들은 57%가 하루 5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했다. 스마트폰사용으로 소요시간이 늘어난 활동은 취미생활, 쇼핑/관련정보검색, SNS, 사진찍기 등이고, 줄어든 활동은 혼자서 생각하기, 독서, 가족/친구와 함께하기, 교육/학습활동 등이다. 이들은 스마트폰을 ‘필수품’으로 여기고, ‘친구’, ‘일상/생활’, ‘또 하나의 나’ 등의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들은 ‘무의식적’으로나 ‘재미/현실도피’를 위해 스마트폰을 과다사용한다고 느꼈으며, SNS에 게시할만한 사진을 찍고 친구의 게시물에 반응을 보여야 하며 연락에 즉시 답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았다. 스마트폰의 편의성/휴대성/즉각성은 사용자의 삶을 스마트폰 중심으로 개편시키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martphone usage of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in their 20s, 30s and 40s. We discussed how smartphones are becoming an important part of their lives,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tend to spend the most time on smartphones. For that purpose, three types of studies were conducted: 1)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00 participants, 2) participant observation by two researchers and 36 research assistants who focused on their own smartphone usage as well as the smartphone usage of their friends/family members and 3) in-depth interviews with 80 college students and 4 focus group interviews at a coed university. The research foun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tend to use their smartphones much more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Indeed, 57%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ed smartphones more than five hours a day. Activities that showed an increase in terms of time consumption due to smartphone usage were 1) hobbies, 2) shopping, 3) social media, 4) taking pictures and 5) travelling/searching for travel-relate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s led to less time spent on the following activities: 1) thinking alone, 2) reading, 3) spending time with family or friends and 4) education/learning activities. College students felt anxious without their smartphones and considered them a necessity. Moreover, many gave meaning and value to their smartphones labelling them a ‘friend’, an ‘everyday life companion’, and ‘another self’. At the same time, however, students were found to be stressed because of their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hey felt that they were spending too much time on their smartphones either ‘unconsciously’, ‘for fun’ or ‘for escape.’ In particular, ‘SNS applications’, often used for ‘killing time’,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which put students under pressure for ‘immediate reply’, were the top two causes of smartphone-related str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venience, mobility and the spontaneity of smartphones deeply influenced the lifestyles of their users. Socio-structural causes of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결정표를 활용한 집단면담과 설문조사 방법 개발 실행연구

        이용숙(Lee, Yongso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1

        이 연구에서는 결정표(decision table)를 활용하여 수십 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실시한 후 결정표를 축약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과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설문조사 문항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생활주변 상황에 이 분석방법을 적용하는 사례 중심으로 연구방법을 소개할 수 있는 강의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재를 필자의 연구방법 수업(2회)과 일반인 대상의 연구방법 코스(2회) 및 워크숍(3회)에서 2년에 걸쳐 적용하면서 계속 개선해나가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주제로 집단면담 형태의 실습을 실시하면서 모든 참가자의 실습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 분석결과는 다시 교재(예시자료)로 활용되었다. 또한 결정표가 포함된 설문지 초안으로 3회의 예비조사를 실시하면서 수집한 응답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결정표 형식의 설문조사 문항(조사표)을 개선,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이 문항이 포함된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자들이 결정표 형식의 설문 문항에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Decision tabl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depth interview tool and for the analysis of ethnographic data because it help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systematically. However, few ethnographic researchers are using decision tables as a research method. To increase the use of decision tables,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ethod to use decision tables for group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A research manual to synthesize many informants" abbreviated decision table was developed. Through action research, this study also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 which uses various kinds of decision tables for the analysis of people"s decisions in everyday life. The educational material has been used in 2 undergraduate research method courses, 2 research method courses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3 workshops organized by the researcher. To improve and refine the educational material,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these courses and workshops and feedback from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s. As a result, a set of power point lecture slides, training materials for practice and a questionnaire table for a real survey were developed. Seven group interviews using decision tabl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confirm that a questionnaire table in the form of a decision table can be answered without difficulty by hundreds of respondents. The contents of this educational material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ogether with examples of decision tables used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 KCI등재

        디저트 소비의 일상화와 디저트 소비상황의 다양화: 발견적 연구설계

        이용숙 ( Lee Yongsook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5

        이 연구는 디저트 소비의 일상화 현상과 성별/연령대별/직업군별 소비패턴의 차이를 살펴보고, 디저트 소비상황 다양화가 어떻게 구매의욕을 증대시켜 디저트 소비 일상화를 가져오는지 밝히고자 했다. 발견적 연구설계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저트 소비는 일상화되었는가? 2) 소비자들이 떠올리는/자주 먹는/선호하는 디저트 종류는 성별/연령대별/직업군별로 어떻게 다르며, 그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 3) 디저트 소비상황은 얼마나 다양해졌으며, 이는 디저트 구매의욕을 증대시켜 디저트 소비의 일상화를 가져오는가? 4) 디저트 소비상황은 주요구매요인으로도 작용하는가? 연구결과 디저트를 연평균 224.2회 먹을 정도로 디저트 소비는 일상화됐음을 발견했다. 이는 식후와 특별한 날 축하 등의 전통적 디저트 소비상황에 여유/기분전환, 그냥 먹고 싶을 때, 수고한 나를 위한 보상 등 작은 사치 관련 상황들과 배고픔 관련 상황, 타인 관련 상황 등이 추가되면서 다양한 상황에서의 소비로 자기 보상적/자기 표현적/경험적 욕구가 모두 충족되어 소비 만족/행복감이 증대되고, 약간의 죄책감도 극복되어 디저트 구매/재구매가 쉽게 이루어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0~50대 남녀 모두 디저트를 좋아하고 자주먹지만, 좋아하는 정도, 먹는 횟수, 가장 자주 먹는 디저트에 성별/연령대별 차이가 있으며, 이는 직업군별 차이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연구자가 개발한 결정표 형식의 설문조사와 축약 분석을 사용하여, 맛과 가성비는 대개 가장 중요한 구매요인이지만, 인지도는 백화점/디저트 카페에서 중요하고 ‘배고픔/스트레스로 당이 댕김’ 같은 상황적 요인은 편의점/마트에서 중요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같은 편의점/마트에서도 당이 댕김/배고픔은 대학생/취업준비생에게 중요하고, 디저트 외관의 아름다움은 여성 직장인과 가정주부에게 중요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들이 4가지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했다: 1) 성별/연령대별/직업군별 차이를 반영한 디저트 개발과 판매 전략 수립, 2) 선호하는 디저트의 소비상황별 차이를 반영한 디저트 개발, 3) 경험수집에서 그치지 않고 장기적 재구매 대상이 될 수 있도록 독특한 외관만이 아니라 맛도 있는 신제품개발 4) 편의점에서의 고급화하고 간편하게 먹도록 포장한 다양한 상품 개발과 디저트 전용 냉장진열대 도입. 한편 지자체 차원에서는 특산 디저트 개발과 관광 자원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utinization of dessert consump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by gender/age group/occupational group to determine how the diversification of dessert consumption situations increases purchasing incentives and leads to the daily consumption of desserts.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set according to the emergent research design are as follows: 1) Has dessert consumption become routine? 2) What types of desserts do consumers recall/often eat/prefer according to gender/age group/occupation group and what is the underlying sociocultural meaning? 3) How diverse has the consumption of desserts become and does this increase dessert purchase intention, thus causing their daily consumption? 4) Does the dessert consumption situation serve as a key buying factor?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sumption of desserts became common enough in Korea to eat dessert on average 224.2 times a year. Desserts have become commonplace as “small luxuryrelated situations” such as relaxation/mood switching, just wanting to eat, and rewards for hard work have been added to traditional dessert consumption situations such as after meals and special day celebrations. In addition, “hunger-related situations” and “others-related situations” have been added as well. As a result, self-rewarding/self-expressing/experiential needs are all satisfied, which increases consumption satisfaction/happiness and overcomes some guilt, making it easier to purchase/repurchase desserts. Both men and women in their 20s-50s love desserts and eat them often but there are differences by gender/age group in terms of their favorite degree, the number of times they eat desserts, and the desserts they eat most often. In many cases, this reflects the differences among job groups. In addition, by using the questionnaire in the form of a decision table and abbreviated analysis developed in this study, “taste” and “cost-efficiency” are found to be usually the most important key buying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is only important in dessert cafes/department stores while situational factors such as hunger or desire to eat sweets due to stress are only important in convenience stores/grocery stores. Even for the same convenience store/grocery store, hunger or desire to eat sweets is only a key buying factor for college students/job candidates. Meanwhile, “the beauty of the dessert and/or its packaging” is the most important key buying factor for female office workers and full-time house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four marketing proposals are made: 1) Development of dessert and sales strategy that reflects the differences by gender/age group/occupational group, 2) Dessert development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preferred desserts following situations of dessert consumption, 3)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hat not only have a unique appearance but also are delicious to be targeted for long-term repurchasing without stopping in collecting experience 4)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that are upscaled and packaged for convenience at convenience stores and introducing refrigerated display racks exclusively for desserts. For local governm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efforts to vitalize the reg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ty desserts as tourism resources are necessary.

      • KCI등재

        수업구조분석법과 실제학습시간분석법 재개발 연구

        이용숙(Lee Yongs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수업 컨설팅과 자기 수업 개선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분석방법을 재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 방법은 수업구조분석과 실제학습시간분석 방법으로서 각각 1986년과 1990년에 전문 연구자를 위한 수업분석 방법으로서 필자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교사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졌기 때문에 2차에 걸친 수정을 거쳐서 교사들이 단기간에 쉽게 배워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재개발하였다. 새로 개발한 방법으로 7회에 걸친 강의와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실제 적용하였으며, 참가한 교사들의 피드백을 통해서 3-4시간 정도의 강의와 실습이면 대부분의 교사들이 분석 방법을 습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BR>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녹음한 자료만 가지고 있으면 녹음 자료를 활용해서 수업의 흐름을 개요 형식으로 활동별 소요시간과 함께 나열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수업을 녹음한 시간 + 30분~2시간 소요). 이 자료만 있으면 수업구조(과정)분석 도표의 작성이 가능하며, ‘학습기회 시간’ 분석도 할 수 있다. 개별 학생들의 실제학습시간(집중시간) 분석을 위해서는 이외에 수업관 찰기록도 필요하지만, ‘학습기회시간’의 분석만으로도 수업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수업구조분석과 수업 중 실제학습시간 분석을 함께 실시한다면, 수업의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한꺼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자기 수업의 개선과 수업컨설팅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 분석방법들은 연구수업이나 시범수업 직후의 교사 협의회, 교사들 간의 일상적인 수업에 대한 대화 등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업분석 도구인 동시에 수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troduces two analysis method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1986 and 1990 respectively and re-developed later to be used by teachers for the consulting and self-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One is the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which aims a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instruction and time used for each activity and sub-activities. The other is the active learning time diagram analysis which aims at finding the rate of active learning time and meaningful learning time in a class.<BR>  Both analysis methods were redesigned twice to make them as simple as possible. The re-designed methods were taught in seven lectures/workshops for teachers and/or undergraduates. The feedback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questionnaire and journals. From these feedback, the researcher made a conclusion that most teachers could learn these redesigned methods after three or four hours of lecture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