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해안 지역 민간신앙의 용산(龍神)과 자연 이해

        이용범(Yi, Yong-bhum)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일반적으로 수신(水神)으로 규정 가능한 용신은 바다가 주된 자연 환경이자 일차적 삶의 조건을 구성하는 해안 지역에서 내륙 지역 보다 더 중요시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은 해안지역 민간신앙 의례를 중심으로 해안 지역에서의 용신의 위상이 이러한 상식적 이해와는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나아가 그것을 바탕으로 해안 지역 용신은 물론 자연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상식적 이해와는 달리 해안 지역의 다양한 어로 관련 민간신앙에서 용신은 중심적 신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용신은 해안 지역 민간신앙에서 중심 관심사인 풍어를 가져다주는 유일한 신이 아니며, 풍어의 기능은 다른 신들을 통해서도 충족된다. 해안 지역 민간신앙에서 용신이 담당하는 특수한 기능은 오히려 수사자의 관장이다. 또한 인간은 용신을 일방적인 숭배와 기원의 대상보다는 자유롭게 소통하고 요구할 수 있는 인간과 가까운 존재로 여긴다. 이런 사실에 기초해 볼 때, 바다를 주요한 삶의 터전으로 하는 해안 지역이라고 해서 용신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해안 지역의 신 개념은 물론 삶과 문화를 이해함에 있어서 자연에 대한 인지모델 같은 자연 이해의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dragon deity perceived as a deity of water would b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in coastal region where sea forms a central natural environment and a primary life condition than inland region. This paper clarified that the status of dragon deity in coastal region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general common-sense understandings through examinations of rituals in folk beliefs of coastal region, and tries to show the necessity of a new viewpoint in understanding dragon deity of coastal region as well as nature. Unlike the common-sense understandings of dragon deity, dragon deity is not appeared as a central deity in various folk beliefs of fishing operation in coastal region. Dragon deity is not an only one deity having a competence of giving a heavy catch in fishing, and this function may be satisfied by other deities. The special function peculiar to dragon diety in folk beliefs of coastal region is rather management of drowned persons. And dragon deity is considered as not a being of one sided worship but a close being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nd demand freely by man. On these facts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importance of dragon deity cannot be emphasized more in coastal region than inland because of its natural condition related with sea, and that a new viewpoint of nature like congnized model of nature is requested in understanding concept of deities as well as lives and culture of coastal region.

      • KCI등재

        무속 관련 무형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한계

        이용범(Yi, Yong-Bhum)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이 글은 무속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과 관련시켜 무속 관련 무형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기여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무속의 원형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인의 삶과 무속이 유리되고, 일부의 굿만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함으로써 오히려 무속 전반의 약화시킬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한국의 무형문화재 제도가 무속을 한국인의 삶의 현실에서 살아서 기능하는 동시대적 현상으로 바라보지 않는데서 나타난 문제이다. 무속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부정적 시각이 양자 모두 한국무속의 동시대성을 인식하지 못한다. 긍정적 시각 역시 무속을 전통문화의 관련성 속에서만 파악함으로써, 비록 중요하고 가치있지만 한국인의 구체적인 현실 삶과는 거리가 먼 다른 시공간대의 현상으로 파악한다. 무속은 예로부터 한국인의 삶의 한 부분으로 존재해왔으며 존재하고 있다 무속을 무형문화재 제도로 보호되어야 할 과거 전통문화의 하나로 보지 않고, 한국인의 현재 삶과 문화의 하나로서 그리고 불교나 유교, 그리스도교처럼 현재 한국인의 삶에서 살아 움직이는 종교의 하나로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이야말로 무속 전승의 진정한 사회적 기반이다. This paper’s concern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assets about Korean shamanism in relation to the viewpoints on Korean shamanism. Despite many contributions to Korean shamanism, the important intangible assets about Korean shamanism also has many limits. It sticks to the original form of Korean shamanism, and brings about a possibility of isolating Korean shamanism from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And by choosing not all but some forms of Korean shamanism, it rather undermines the transmission foundation of Korean shamanism. Basically these problems stem from the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that doesn’t consider it as contemporaneous with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There are two viewpoints on Korean shamanism in Korean society: the positive viewpoint and the negative viewpoint. Both don’t realize the of Korean shamanism. Even the positive viewpoint perceives Korean shamanism only in rela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so it places the Korean shamanism in temporal-space distant from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with recogniz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Korean shamanism. Historically Korean shamanism has been a form of the lives of Korean people. The social realization that Korean shamanism is not a traditional past culture in need of preservation but a living Korean culture and one of the living religions, can be the real condition of transmission of Korean shamanism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일제의 무속 규제정책과 무속의 변화

        이용범(Yi, Yong-Bhum)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이 글은 일제 강점기 무속에 대한 일제의 규제 정책과 그것으로 인한 무속의 변화를 살펴본 글이다. 일제 강점기 전체를 고려할 때 일제의 무속 규제 정책은 단속과 금지보다는 무속의 현실적 존재를 인정하고 통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는 3.1운동을 계기로 무속이 조선인의 삶과 문화에서 소거될 수 없는 근원적인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일제의 무속 규제는 무속을 일상 삶의 자리에서 분리시켜 통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런 규제정책의 결과 무속은 점차로 일상 삶에서 분리되기 시작하였다. 분리를 통해서 통제하는 규제 정책이 지속되면서 무속은 점차로 일상 삶에서 멀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점차로 일상 삶의 자리에서는 허용될 수없는 부정적인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한국인의 일상 삶에서 무속은 친근하기 보다는 낯선 대상이며, 또한 삶의 필요에 따라 무속을 실천하면서도 그것을 부끄러워하는 이중적 인식의 대상이다. 이러한 무속의 위상과 모순된 무속 인식의 단초는 일제의 무속 규제정책으로부터 비롯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panese imperialism restriction policy on Korean shamanism and its transformation as result of the restriction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sidering the whol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restriction policy focused on rather the control of Korean shamanism than crackdown or prohibition on it. This policy came into bei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Korean shamanism as a fundamental element of Korean culture. The Japanese imperialism restriction policy on Korean shamanism was to control Korean shamanism through separating it from Korean’s everyday life. The result of this separating policy was that Korean shamanism began to be divided from Korean’s everyday life. As the policy continues, therewith Korean shamanism becomes gradually a negative object which is not to be allowed in Korean’s daily life. Today Korean shamanism is an rather unfamiliar than familiar object in Korean’s everyday life. And it is also an object of contradictory twofold awareness in that it is practiced for daily life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also is ashamed of practicing it. This situation comes from Japanese imperialism restriction policy on Korean shamanism.

      • KCI등재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이용범(Yi Yong-Bhum)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9

        이 글은 한말, 일제시기의 신문들을 자료로 이른바 ‘미신론’이라고 지칭되는 근대 한국사회의 무속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살펴보고 있다. 이 글은 무속의 성격규정, 무속의 의례행위, 무당과 무속 신봉자, 미신타파 운동 등을 중심으로 미신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미신론이 무속을 비롯한 한국의 민간신앙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잣대는 근대화를 가능케 해줄 것으로 여겨진 과학이었다. 그래서 무속은 비과학적이고 불합리한 미신이며, 문명화된 새로운 사회의 건설을 위해서 부정되어야 할 폐습으로 파악되었다. 미신타파 운동은 이처럼 하나의 폐습으로 여겨진 무속과 같은 이른바 미신을 제거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이었다. 그러나 미신론은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이 한국인의 삶의 중요한 현실 가운데 하나이며, 그것이 한국인의 삶에서 수행했던 긍정적인 역할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미신이라는 범주에 포괄된 한국 민간신앙의 전면적인 부정은 한국인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의 부정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한편 근대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미신론은 무속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시각이었다. 근대 한국사회에서 미신론이 무속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시각으로 자리잡은 것에 대해, 이 글은 기독교나 일제 식민지정책과 같은 외적요인과 함께 근대기에 새로운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한국사회의 내적 욕구 또한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Misinron’(a negative theory of so-called superstitions), a negative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on the basis of newspapers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is article deals with negative characterizations of the nature of Korean shamanism, of the effects of Korean shamanism’s rituals, of mudangs(Korean shamans) and their clients, and of Misintapaundong(a social movement for the overthrow of so-called superstitions in Korea). The natural science considered as a basis of modernization was a Misinron’s fundamental yardstick viewing Korean shamanism and other Korean folk beliefs. Therefore Korean shamanism was characterized as an unscientific and irrational superstition, and a bad convention that should be removed for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 in Korea. And Misintapaundong was a social movement for the overthrow of so-called superstitions in Korea. However Misinron has a limit of not recognizing that Korean folk beliefs including Korean shamanism are important parts of Korean life, and their positive functions. At the same time Misinron did not recognize that the negation of Korean folk beliefs meant the erasing many parts of Korean traditional life culture, either. This Misinron has been a dominant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and other Korean folk beliefs in modern Korea. This article supposes that this negative viewpoint results from the inner desire for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outer factors, that is, Christianity and Japanese colonial control.

      • KCI등재

        전주 용왕제의 역사적 변화와 특징

        이용범 ( Yong Bhum Yi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이 글은 전주 덕진 연못에서 행해진 용왕제의 역사적 변화 및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된 기본 특징을 살펴보았다. 현재 역사적으로 행해진 전주 용왕제의 내용을 상세하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글은 전주용왕제의 역사적 변화를 다루되, 그것보다는 전주 용왕제의 기본 특징을 밝히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 글에서 다루는 전주 용왕제는 전주 덕진 연못에서 행해진 모든 용왕제는 아니다. 이 글은 정기적으로 행해진 용왕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정기적인 전주 용왕제는 1700년대와 1970년대의 모습이 자료를 통해 확인된다. 시대적 간격에도 불구하고, 이들 자료는 전주 용왕제의 기본 특징을 보여준다. 전주 용왕제는 4월 8일에 덕진 연못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먹고 마시며 노는 축제적 분위기에서 행해졌다. 또한 전주 용왕제는 복합적인 종교문화의 성격을 보여주며, 독립된 제의로서 행해졌으며, 여성이 중심 주체로 활동한다. 아울러 일반 용왕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제의 기능을 포괄한다. 이런 점에서 전주 용왕제는 나름의 특수성과 일반성을 갖는 한국 민간 용왕제의 흥미로운 한 가지 사례이다. 또한 그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한국 민간 용왕제의 외연을 넓혀주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and fundamental features of Yongwangje which has been practiced at Deokjin pond in Jeonju. But it is impossible to make certain historically what the Jeonju Yongwangje has been. So this paper focuses on grasping the fundamental features of so-called Jeonju Yongwangje despite dealing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Jeonju Yongwangje. This article doesn’t deal with all the Yongwangjes which has been practiced at Deokjin pond, but Yongwangjes which has been practiced periodically. The periodical Jeonju Yongwangjes of the 1700s and 1970s can be known by related data. Regardless of historical distance, the data show the fundamental features of Jeonju Yongwangje: Jeonju Yongwangje has been practiced at Deokjin pond on April 8th in a festive mood. It shows a complex religious culture, and has been practiced as a independent ritual. And woman has a key part. It also covers various functions of other Korean popular Yongwangjes. In these respects Jeonju Yongwangje is an interesting case with its own peculiarities and generality. And its peculiarities broaden the limits of Korean popular Yongwangjes.

      • KCI등재

        기획논문 : 한국 무당굿의 학제적 통섭적 연구 -서울진오기굿을 중심으로 ;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적 특징

        이용범 ( Yong Bhum Y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이 글은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형식을 중심으로 의례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상 특징으로 저승길의 가시적 구현, 망자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 죽은 자와 산 자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축원 등 세가지를 지적하였다. 먼저 서울 진오기굿은 굿의 의례과정을 통해 죽은 자의 저승길을 가시적으로 구현한다. 이는 유교, 불교의 죽음의례 뿐만 아니라 타 지역 무속 죽음의례와 비교했을 때도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서울 진오기 굿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두 번째로 서울 진오기굿에서는 무당의 신내림을 매개로 죽은 자와의 의사소통이 직접적인 대화형식으로 이뤄진다. 죽은 망자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은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개개 죽음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확인하는 의미를 갖는다. 세 번째로 서울 진오기굿에서 이뤄지는 축원은 죽은 자의 저승천도에 머물지 않고 살아있는 가족들의 평안까지 포괄한다. 이는 죽음이 죽은 자와 산 자에 다 관련되며, 죽음과 삶은 구분되나 분리되지 않는다는 무속의 죽음이해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 밝힌 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적 특징은 유교, 불교 죽음의례와의 상대적 비교를 염두에 둔 것으로, 그것은 유교, 불교 죽음의례와의 상호관계에서 어떻게 무속 죽음의례가 한국사회에서 하나의 죽음의례로서 존재가치와 기능을 인정받아왔는가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Ginoguigut in ritual form. This paper points out three characteristics; materialization of the journey to the world of the dead, direct communications with the dead, inclusive blessings for the dead and the living. Firstly, the journey to the world of the dead is materialized through various ritual processes of Seoul Ginoguigut. This characteristic is prominent in the context of comparisons with the death ritual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of shamanism in other regions of Korea. Secondly, in Seoul Ginoguigut the communications of the dead and the living are made through direct dialogues between them through shaman`s possession. The communications by direct dialogues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make it easy to accept death as a real fact, and have an effect of recognizing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each death. Thirdly, the blessings of Seoul Ginoguigut are so inclusive that they cover the dead`s safe journey toward the world of the dead as well as the happiness of the living. This characteristic 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death of Korean shamanism that does not separate death and living.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in the context of comparisons with the death ritual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of Seoul Ginoguigut. And they give a clue to understand how the death rituals of Korean shamanism have persist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굿 의례음식: 무속 설명체계의 하나

        이용범 ( Yi Yong Bhu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한국 민간신앙 의례에서 의례음식은 빠트릴 수 없는 필수 요소의 하나이다. 이는 아주 간단한 치성도 맑은 물 한 사발이라도 올려야 가능한 것을 통해서 확인된다. 이런 점에서 민간신앙 의례를 신과 인간이 만나 소통하는 것이라 할 때, 음식은 신과 인간이 소통하는 핵심적 매체 가운데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 민간신앙에서 의례음식이 가장 두드러진 사례로 무속의 대표적 의례인 굿을 들 수 있다. 무속의 굿에서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여러 제상에 차린 다양한 음식이다. 그리고 의례음식이 없는 굿은 성립되지 않는다. 또한 굿에서 의례음식은 신을 위한 단순한 제물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신을 위한 제물이면서, 아울러 굿의 성격, 무속의 신, 굿을 하는 제가집 등 굿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기호이기도 하다. 또한 굿 의례음식을 통해 무속 세계관이 구체화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굿 의례음식은 무속과 굿을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이며, 무속에 대한 설명체계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무속 연구에서 의례음식은 그에 걸맞는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무당 중심적인 관점에서 굿에서 나타나는 무당의 말과 행위를 통해 굿과 무속을 이해하려는 연구가 지속되었을 뿐, 의례음식을 통해 굿과 무속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기존 무속연구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서울 진적굿 의례음식을 자료로 굿 의례음식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진적굿을 자료로 선택한 것은 굿 의례음식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굿 의례음식과 의례 공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서울 진적굿의 과정을 제상과 제상이 놓인 공간을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굿 의례음식의 구성, 의례음식이 차려지는 방식과 공간을 중심으로 개별성이 굿 의례음식의 특징임을 지적하였다. 이를 토대로 굿 의례음식이 무속에 대한 하나의 설명체계로서, 굿과 무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을 밝혔다. The ritual food is one of the indispensable elements in rituals of Korean folk beliefs. This is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a very simple ritual cannot be practiced and performed even without offering a bowl of water. In this regard, it is properly claimed that food is an essential medium of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gods if they spiritually meet and communicate each other by way of various rituals in Korean folk beliefs. It is possible to point out Gut, the typical ritual of Korean Shamanism as an example of serving the ritual foods among Korean folk beliefs. One of the striking phenomena in Gut(Korean Shamanism’s rituals) is various ritual foods on the tables for Gut. There is no Gut performances without offering ritual foods, and the ritual food in Gut practices is more than just food offering to the gods. Moreover the ritual food tells that what kind of Gut it is and for what purpose it is performed, for whom it is set up. And even the invited gods of Musok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ritual food in Gut. Also some parts of Musok’s worldview are appeared and actualized through the ritual food in Gut. In this sense the ritual food in Gut is one of the important channels for understanding Gut and Musok, and one of the explanation systems about Musok. Even if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ritual food in Gut, it still has not been draw proper attentions to deserving its importance in the researches on Musok and Gut. Upon the critical reviews on such tendenc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of the ritual food in Gut by examining the Jinjuk Gut in Seoul area as an case study.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e ritual food in Gut comes up to be one of the important paths to understanding Gut and Musok as an explanatory system on Musok in general.

      • KCI등재

        민속신앙과 과학

        이용범(Yi Yong-Bhum),강정원(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5 비교민속학 Vol.0 No.28

        After the opening of a port science has been one of the major yardsticks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folk beliefs in Korea. Since a modernization modelled on Western civilization has been pursued in Korea, the rational scientific viewpoint as a basis of modernization seems to have been working a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defining Korean folk beliefs in Korean society. Under this presupposition, this paper intends to do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cientific viewpoint on Korean folk beliefs.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scientific viewpoint on Korean folk beliefs. The scientific viewpoint has a problem of not understanding and erasing many parts of Korean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And the objectivity myth of scientific knowledge already was broken down. So the idea of science as a privileged way of producing reliable knowledge is not approved any longer.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science and other form of knowledge production; that there is nothing intrinsically special about 'the scientific method'. Second, this paper tries to normalize some features of what was previously dismissed as irrational of Korean folk beliefs. Korean folk beliefs are different from sci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 between signs and their referents. Folk beliefs presuppose a direct, causal, identity relationship between signs and their referents. They accept an innate un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On the contrary, science does not recognize this identity relationship between signs and their referents. In science, a clear distinction is made between signs and their referents. By the way the identity relations between signs and their referents are found in our present life, private or public affairs. Such identifications happen all the time among us. A national flag burning is a good example. From a rational, scientific viewpoint, a national flag is an arbitrary sign of a nation. But many, perhaps a majority of people feels that their national flag is more than an arbitrary, or conventional sign. They feel that it bears an inseparable relation of identity with their country. So it is evident that folk beliefs mentality is never superstitious, but a universal, contemporaneous mentality. The so-called occult or magical thought and action, which a powerful current of scientific rationalism has tried to push out or exclude as not consistent with rational thought, is not so alien to us moderns.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Korean folk beliefs are some of the multiple life paradigms or orientations to the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