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 계층균열 구조의 등장

        이용마(Lee Yongma)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4

        이 글은 1997년 이후 네 차례에 걸친 대선에서 나타난 한국 사회 계층균열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유권자들을 직업, 소득, 학력 등을 종합해 상층, 신/구 중산층, 하층 등 네 계층으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상층은 보수, 신중산층은 진보 성향 후보에게 투표하는 계층균열이 뚜렷했다. 계층투표는 각 계층의 이념성향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나, 한국 사회에도 이념에 따른 계층균열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역균열이 강한 영호남에서도 계층 균열이 일부 확인되었다. 이념균열이 강한 선거에서는 계층균열이 지역균열을 상쇄하고, 이념균열이 약화된 선거에서는 지역균열이 위력을 발휘하면서 계층균열도 약해졌다. 이는 향후 균열구조의 전개에 따라 지역균열에 따른 정당체계가 재편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tri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lass cleavage structure emerged in three presidential elections since 2002 in South Korea. It classified Korean electorates into four classes, that is, the upper class, the new middle class, the old middle class, the lower clas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lass cleavage has been clear. The upper class has supported conservative candidates, while the new middle class has supported liberal or progressive candidates. Even in Youngnam and Honam provinces where the regionalist voting tendency of the electorates is very strong, the phenomenon of class cleavage has appeared. The different voting behaviors of the upper and the new middle classes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ideologies. The lower and the old middle classes have not been ideologically consistent. Therefore,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class cleavage based on ideology has risen since 2002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