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식이 요인

        정경아(Jung Kyongah),이요아(Lee Yo A),김성윤(Kim Seong Yoon),장남수(Chang Namsoo)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8

        본 연구는 2007년 2월부터 5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A 대학병원 치매클리닉에 내원한 65세 이상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영양섭취 상태와 인지기능에 관련이 있는 영양소 및 식품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쯔하이머병 노인의 평균연령은 75.8 ± 5.8세로 남녀성비에서 여자 노인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체질량지수 과체중과 비만 범위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취한 총 열량은 1,656.4 ± 528.1 kcal로 2005 국민건강 · 영양조사와 비교하여 단백질, 지방, 철분, 칼륨, 비타민 Bl,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C는 더 많이 섭취하였고, 당질, 섬유소, 칼슘, 인, 나트륨, 비타민 A는 더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채소류를 309.0 ± 152.4 g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설탕은 7.2 ± 9.3 g로 가장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쯔하이머병 노인의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식이요인은 주의집중력에서 식물성 칼슘이 부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능력에서는 아연이, 기억력에서는 생선 및 어패류, 두류 및 종실류, 당류군의 섭취가 긍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시간지남력에서 계란은 인지기능과 부정적으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억회상에는 지방, 시공간구성력에는 당류의 섭취가 인지기능에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이 없는 연구이므로 향후 알쯔하이머병이 없는 노인들을 포함한 비교연구와 시간경과에 따른 식이섭취 양상과 인지기능 상태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식사와 관련한 이상행동을 고려하여 인지기능의 세분화 된 특정 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된 식이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식사의 질 향상과 더불어 이상행동의 예후 또한 좋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ents or food factor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having Alzheimer’s disease. In this study 38 subjects who were over 65 years old have participated in dementia clinic at A medical center. After they were diagnosed to Alzheimer’s Disease (AD) through blood analysis, neuropsychological test, brain image and interview by medical specialist, we examined for their general information, anthropometry, blood pressure and dietary intakes.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24-hour recall record. Energy intake was adequate and the energy composition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60.8 : 16.2 : 23.0, but dietary intakes of calcium, vitamin A and folate were less than 75% of the recommended intake levels for Korean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with age, sex and educational level showed that cognitive fun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takes of zinc, fishes and shellfishes, beans & nuts, sugars and fats, and negatively related to intakes of plant calcium and eg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akes of specific nutrients or food groups are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domains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AD.

      • KCI등재

        폐경 여성의 내장지방 및 식사의 질에 미치는 영양 교육의 효과

        백영아(Baek Young Ah),김기남(Kim Ki Nam),이요아(Lee Yo A),장남수(Chang Namsoo)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7

        본 연구에서는 6개월간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파워 워킹 프로그램을 실시한 영양교육군, 영양 교육 없이 파워 워킹 프로그램만 실시한 대조군으로 나눠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 두 군 모두 체중과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과 내장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영양교육을 실시한 영양교육군에서 체중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폐경 여성들에게 문제 시 되고 있는 내장지방의 변화율이 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군 내에서 내장지방 변화율에 따라 내장지방 감소율이 큰 군 (HVL group)과 내장지방 감소율이 적은 그룹 (LVL group)으로 나누어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장지방 감소율이 컸던 군에서 체중, BMI, 체지방, 복부지방, 내장지방 등의 체성분들의 변화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혈압 및 혈액 성분에서는 수축기, 이완기 혈압과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동맥 경화 지수의 개선 정도가 더 큰 결과를 보였다. 또한 내장지방 감소율이 컸던 군이 내장지방 감소율이 적은 군에 비해 단백질, 칼슘, 비타민C의 INQ와 칼슘,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의 MAR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식사의 질이 더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백질의 영양밀도 변화율은 체지방 분포의 변화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탄수화물 영양밀도의 변화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비타민 A 영양밀도 변화율은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 지수 변화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영양교육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체성분의 변화가 영양소 섭취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양 교육 및 중재에 있어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폐경 여성들의 대사적 특성과 더불어 생활 습관을 이해하고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식사의 균형성, 다양성을 포함한 권장 식사 지침을 제시하고, 적당한 식품 섭취량을 포함한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것이다. 또한 이러한 페경 여성을 위한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폐경 이후 체중 및 체지방 증가를 예방하고, 나아가 만성질병을 예방,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on body weight, visceral fat and diet qual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n = 101)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Nutrition education + Exercise (NEE) group (n = 51) and Exercise only (EO) group (n = 50). Nutrition education was consisted of counseling in portion control, food selection for low carbohydrate, high fiber food items and for the improvement in micro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After 6 months, the reduction in the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NEE than in the EO group. The NEE subjects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visceral fat area reduction; high visceral fat area loss (HVL) group with a visceral fat area reduction 2.35% or greater and low visceral fat area loss (LVL) group with a reduction less than 2.35%. In the HVL group, the reduction in body weight, BMI, percent body fat, waist to hip ratio and visceral fat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LVL group. We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a de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crose,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in the HVL group compared to the LVL group. The energyadjusted protein, fiber, calcium, vitamin B6, vitamin C, vitamin E intak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VL compared to LVL group.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also increased in the HVL group compared to the LV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ou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 for the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blood pressure, glucose and lipid levels in the blood and also for the improvement of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in postmenopausal women who are over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