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人格神の形成 -「靖国問題」の基層-

        이와타 시게노리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8 No.2

        In Japan, there are shrines where the dead are enshrined as gods. They are TenmanPalace(Sgawarano Michijane), Toyokuni Shrine(Toyotomi Hideyoshi), Tosho Palace(Tokugawa Ieyasu), Shoine Shrine(Yoshida Shoine), Nogui Shrine(Nogui Maresuke),Togo Shrine(Togo Heyhachiro), Meiji Shrine(Meiji Japanese Emperor) · HeyanShrine(Kanmu Japanese Emperor), and Yasukuni Shrine(killed in war), etc. Amongthem, except Tenman Palace, they were built not long ago, since they were buildsince the Modern Age.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hrines, first, a new formation of shrine whichdoes not deny the corpses, but admit contact.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gods ofthese shrines were enshrined by the people of their side. Originally, Japanese godshave the characteristic of this Blocking Spirit Faith(御靈信仰). However, sinceToyokuni Shrines, Japanese gods are not based on Blocking Spirit Faith, butenshrined as gods by political power who wants to create his authority. Thirdcharacteristic is, these gods do not have the shape of time limit as usual ceremonyconnotes, but reside in the installed shrines. Like this, the formation of shrines, which enshrine the dead as gods,and new godsare transformed · distorted forms of normal forms from the viewpoint of Japanesefolk religion. Particularly, this was realized under the political intention which waspointed out as the second characteristic. From the viewpoint of theistic pedigree,Yasukuni Shrine also can be said that its political nature was established in anextension of Toyokuni Shrine · Tosho Palace.

      • KCI등재후보

        先祖祭祀研究方法論ノート -通文化的比較研究と宗教民俗学-

        이와타 시게노리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9 翰林日本學 Vol.0 No.15

        본고의 목적은 일본의 문화인류학・민속학에서 ‘비교민족학’, ‘비교민속학’ 등으로 일컬어져 온 통문화적 비교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인 민속사상(事象)을 통해 검토하는데 있다. 다른 민족-가령 일본과 한국-의 민속문화는 이질적이기 때문에, 이들을 비교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기저가 동질적이지 않으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문화적 비교연구가 일정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할 때, 그 방법론적 가능성을 구체적인 민속사상을 통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일본의 통문화적 비교연구의 대표작인 石田英一郎의『河童駒引考』(1948)와 鈴木満男의「盆にくる霊」(1972)을 예로 들어 이들의 방법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저서 모두 복수(複數) 민속문화의 기저에는 동질성이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분석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다른 민족의 민속 문화가 이질적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여, 일본 오본(お盆) 및 조상제사가 불교와의 습합(불교민속) 속에 존재하고 있는 점을 소개했다. 본고에서는 이점에 주목하여 통문화적 비교연구는 복수의 민족에 걸쳐있는 민속문화를, 동질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질성을 전제로 하여 각각의 문화적 습합의 양상에 의해 비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경우에는, 그 종교민속의 비교를 통해 민속 문화의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