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도 초알일 별급과 상속문화의 지역적 특성

        이옥부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d explain historical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ju’s inheritance culture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Choalil Byulgeub(初謁日 別給) on the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alil Byeolbyeol is the practice by which property is directly passed down to daughters-in-law. This type of inheritance is rarely seen in regions other than Jeju Island. The study begins by trying to establish why this inheritance practice appeared. As is well known, it is common on the mainland to celebrate when a child marries by gifting them assets. This type of inheritance is called Byulgeub. However, such Byulgeub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alized inheritance, and the principle by which daughters-in-law in are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of inheritance only appears in the inheritance culture of Jeju Island. Choalil Byulgeub limited the inheritance to daughters-in-law, which seems to have been advantageous for protecting property rights and maintaining inheritance practices.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Choalil Byulgeub was carried out until the 19th century shows that two inheritance practices following different principles coexisted in the inheritance culture of Jeju Island. These w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difference. Furthermore, this shows that the whilst women’s property rights as daughters were weakened, the property rights of women as daughters-in-law were strengthened. This can be considered another characteristic of Jeju Island’s inheritance culture.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제주도의 초알일 별급의 관행에 주목하여 제주도 상속문화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고,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 배경을 역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알일 별급은 혼인으로 며느리가 되는 여성에게 재산을 직접 상속하는 관행으로, 제주도를 제외하면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상속의 유형이다. ‘왜 제주도에 이 같은 상속의 관행이 나타나는가’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데서 출발한다. 조선후기 제주도에는 자녀들이 결혼할 때 재산 일부를 별급하는 관행이 있었다. 성혼 별급과 초알일 별급이 그것이다. 모두 결혼을 축하하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상속 대상이 다르다. 성혼 별급은 아들과 딸, 사위가 받는 것이고, 초알일 별급은 며느리가 받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자녀가 결혼할 때 재산을 상속하여 축하를 표시하는 일은 육지에서도 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상속이 균분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고, 균분에 며느리가 포함되는 것은 제주도 상속문화에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초알일 별급은 상속 대상을 며느리로 한정하는데, 이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산권의 보호와 상속 관행의 유지에 더 유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19세기로 갈수록 성혼 별급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초알일 별급의 비율이 높아진 것이 이를 뒷받침 한다. 이와 함께 초알일 별급이 19세기까지 행해진 사실은 제주도의 상속문화에 원칙을 달리하는 두 개의 상속 관행이 공존한 사실은 보여준다. 초알일 별급의 배경이 되는 균분의 원칙과 유교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18세기 중반부터 일반상속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차등의 원칙이 그것이다. 나아가 이것은 딸의 재산권은 약화되는데 같은 여성으로 며느리의 재산권은 보장된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주도 상속문화의 또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초알일 별급은 며느리에게 재산을 상속하던 조선 전기의 상속 관행을 계승한 측면과 몽골 상속문화의 유산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주인과 몽골인 사이의 광범한 결혼과 대원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집단이 조선전기에 대거 등장한 사실 등을 배경으로 이 연구는 제주도 상속문화, 특히 초알일 별급에도 몽골문화의 유산 일부가 작동했다고 보고 그 구체적인 역사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 여성의 재산 소유와 상속 - 구좌읍 김해김씨 가계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

        이옥부 한국고문서학회 2019 古文書硏究 Vol.54 No.-

        이 연구는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에서 작성된 상속 문서에 주목하여 혼인한 여성의 재산 소유 실태와 상속권 행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고, 나아가 여성의 상속권 행사가 여성 출계 집단의 영향력이 크게 작동하는 제주도 친족문화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구좌 김해김씨 가문의 방대한 전승 고문서 중 각별히 초알일 별급문기를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동안 제주도 지역은 밭농사와 잡곡 재배가 주를 이루는 농업 환경으로 인해 여성 노동력에 대한 사회적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여성의 경제적 위상도 높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렇지만 여성의 경제적 행위나 위상과 관련하여 그 구체적 실체가 밝혀진 사례는 거의 없으며, 당연한 결과지만 여성의 경제적 위상과 제주도 친족문화의 상관성에 주목한 연구도 없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여성들의 경제 행위를 보여주는 5점 내외의 별급문기를 면밀히 분석하는 한편, 같은 시기에 작성된 다른 가문의 별급문기를 적극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여성들의 재산 소유 실태와 그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나아가 여성들의 상속권 행사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였다. 논의의 중심은 여성이 혼인한 후 남편의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재산을 상속받아 소유하고, 이 재산을 다시 아랫세대의 시집온 여성에게 상속하는 3대 60년에 걸친 여성들의 세대 간 상속의 특징과 의미이다. 남편의 가족 구성원들이 시집온 며느리에게 재산을 상속하는 초알일 별급은 19세기까지 광범하게 확산되었던 제주도 별급 관행의 하나이다. 본고에서 사례로 분석한 김덕경 가계의 며느리들은 초알일 별급으로 재산을 소유하고, 이 재산권을 직접적 혈연관계가 없는 며느리에게 상속하는 방식으로 행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상속에 혼인 연망을 적극 활용하며 세대가 다른 여성들 사이의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무속신앙의 전통이 강한 제주도에서 경제적 유대는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충분히 뒷받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상속을 통해 여성들의 유대를 강화하려한 노력은 부계적 가계 계승의 원칙이 강화되면서 수반되는 여성 집단의 위상 약화를 막으려는 여성들의 전략적 대응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점을 강조하면서, 부계 혈연집단의 응집력만 고집하지 않는 제주도 친족문화의 특징을 여성들의 역할과 대응 속에서 찾으려 하였다. 재산 상속에서 여성의 전략적 선택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여성들의 유대에 주목한 이 연구가 혼인과 상속, 그리고 친족문화의 상관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새로운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의 별급관행과 그 특성

        이옥부(Lee, Ok Boo)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38

        This research aimed at reviewing Byeulgeub custom of Jeju island, which took the married women(daughters-in-law) as the receivers, focusing on ‘Choalil Byulgeub Mungi’ of Jeju area during late Joseon, furthermore, discussing the process of acknowledging women as important agents in marriage and inheritance. For this, this research analyzed huge amount of old documents of Gujwa Kimhae Kim Family Kim Deokgyeong family, newly discovered, and the old documents of other families of Jeju area. To investigate Choalil Byulgeub custom will acknowledge women as important agents from gender viewpoint, and contribute to reconstitution of their status in family system based on this. Choalil Byulgeub Mungi is a useful document to reconstitute marriage and inheritance custom of Jeju area, which well shows the characteristic of inheritance of Jeju island. This document was composed after a certain period, not immediately before or after marriage, taking the women(daughters-in-law) as the receivers. Every married woman was the receiver of Choalil Byulgeub, which was conducted regardless of the order of the husband(whether of eldest son) or number of marriage(whether or remarriage) in family rank. Also they had to compose documents. This way, the point that Choalil Byulgeub was established as a formal and obligatory custom implies that married women exerted efforts in socioeconomic field with definite expectation for future such as inheritance, not mere passive receivers.

      • KCI등재

        부산 피난학교 시절 어느 고등학생의 일상과 독서모임

        이옥부 ( Lee Ok Boo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1

        이 연구는 부산 피난학교 고등학생의 일상과 지적 여정에 주목하여 그동안 간과한 한국전쟁기의 다양하면서도 역동적인 서사를 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산으로 피난 와 피난학교를 다니던 K군은 1953년에 독서모임을 만들었다. 이 모임에는 같은 학교의 학생 외에도 인근 여러 피난학교의 학생들이 참여했는데, 놀랍게도 모임에서 논의된 것은 전쟁과 관련된 것보다는 미래와 이상 그리고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것들로 가득했다. 나아가 자신들의 이러한 생각을 공유하기 위하여 회지도 인쇄하여 이를 주위에 배포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과외 활동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토의를 통하여 미래에 관한 생각들을 가감 없이 나누었다. 피난학교와 피난수도에서 이러한 개개인들이 일상을 영위한 경험과 선택은 현재의 공식적인 서사만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사실들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지적하면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사회 문화적 통제를 넘어서려 한 학생들의 선택과 결단 그리고 역동성을 주목하는 한편 이것이 후일 한국사회의 새로운 미래를 만든 자산이라고 평가하고자 한다. K군이 평생에 걸쳐 생산하고 전승해온 방대한 기록물 중 한국전쟁기의 것만 적출하지만, 이것은 그의 방대한 아카이브를 이용한 첫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various and dynamic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period that have been overlook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daily lives and intellectual journeys of high school students at Busan Refuge School. K, who had attended an refuge school, established a book club in 1953. In addition to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students from several nearby evacuatio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meeting, surprisingly, what was discussed was more about the future, ideals, and to put them into practice than about war. Furthermore, in order to share their thoughts, they printed a paper and distributed it around them. In addition, one met many people through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hared one's thoughts on the future through discussions. The experience and choice of these individuals in refuge schools and the Busan Wartime Capital are facts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by the current official narrative alone. Pointing to these limitations, the study notes students' choice, determination, and dynamics to overcome the tension and socio-cultural control caused by the war, while evaluating them as assets that created a new future for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Of the vast archives produced and handed down by the K throughout his life, only the Korean War period is extracted, but this will be the first study using his vast archive.

      • KCI등재

        조선후기 제주도 한동리 김해김씨 김덕경 가계와 이들의 경제기반

        이옥부(Lee, Ok Boo)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1

        이 논문은 조선후기 제주도 한동리의 김해 김씨 가문을 대상으로, 특정 가계가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여 가는 과정을 이들의 경제적 기반을 중심으로 논의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김해 김씨 가문에서 전승해 온 방대한 고문서를 분석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주도의 경우 특정 가계에서 고문서가 전승되는 사례는 많지 않으며, 따라서 특정 가계에 대한 연구도 축적된 것이 많지 않다. 그러므로 특정 가계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이들의 경제적 기반을 밝히려는 이 연구는 제주도 지역의 연구에 큰 의미가 있을 것 같다. 논의의 중심은 18세기 중반 이후 장남이 아닌 삼남의 가계로서 점차 김해 김씨 가문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가계에 나타난 일련의 변화이다. 조상을 위한 祭田을 자손들이 나누어 가졌으나 이후 점차 삼남 가계로 집중, 관리되어 나가는 변화는 이 같은 특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와 함께 삼남 가계에서 문서들을 집중 관리하면서 전승해온 것도 이것을 뒷받침하여 준다. 삼남의 이러한 역할은 토지 집적을 통하여 한동리에서 경제적 지위를 확립하는 것에 대응하여 이루어졌다. 반면 장남의 후손들은 한동리를 떠나 인근 지역으로 移住하였는데, 이것은 장남과 그 후손이 한동리에서 경제적 기반을 확립하지 못했고 이주한 지역에서도 그러했던 것도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인근 지역에 장남과 그 후손이 거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지위를 확립한 삼남 가계가 제사권을 행사하면서 김해 김씨 가문의 중심으로 부상한 것이다. 이 연구는 분재기는 물론 각종 명문과 수표를 모두 분석하여 그 구체적인 변화를 추적하였다. 제전이 장남이 아닌 비장남계의 특정 가계로 집중되고, 이들이 종손이나 종가의 위상을 차지해 가는 변화는 조선후기 종법 및 여기에 기초한 종족의 주형과는 맞지 않는다. 다만 이러한 양상은 저명한 인물을 배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계파를 만드는 한국 종족의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연구는 이 점을 강조하면서 지나치게 제주도의 특수성을 내세우는 것을 경계하려 했다. 요컨대 조선후기 가계의 확립 과정에서 지나치게 종족 규범에 기초한 동질적인 역사상 대신 다양한 층위를 보여주려 하였다. 한동리에 세거했던 김덕경 가계의 경제적 기반의 형성과 그 변화에 초점을 맞춘 이 연구는 방대한 고문서를 활용한 첫 작업이다. 이것은 가족과 친족의 형성에서 경제적 지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방대한 문서 덕분에 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지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a lineage hold a prominent position among a family group in Handong-ri of Jeju, focusing on its economic basis. I analyze a large number of old documents handed down by Kim Duck kyung’s lineage for this study. As well known, there are not many cases of well-preserved old family documents being discovered in the region of Jeju and, as a result, the studies on an individual lineage as well as on households in this region have been rare. Therefore,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it attempts to reveal the economic basis of an individual lineage based on the rare old family documents but also because such rare study will substantially contribute to ou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local history of Jeju. The focus is placed on serial changes in the Kim’s lineage whose members were not the eldest son’s descendents but the decedents of the third son who have later taken over the role of the patriarch.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of the old documents through the third son’s lineage, the fact that they, i.e., the third son’s descendents, had collected and administered many lands for Ancestral Memorial Services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se changes well. The role of their lineage increased as the elevation of their economic status. Meanwhile, the eldest son’s descendents emigrated into a nearby region, and in the new region they failed to establish a firm economic basis which would have been required to maintain the leading role and exert influences on extended family members. This is why Kim Duck kyung’s descendents have taken the leading roles instead of the eldest son’s. This study traces the specific changes in this process by analyzing Bunjaemungi(分財記), Myeongmun(明文) and other economic documents. It didn’t accord closely with a common practice in late Chosun that non-eldest son’s descendents collected and owned lands, called Wi-to(位土), intensively, leading to a dominant position as Jongson or the head family. On the other hand, it has not been rare in Korea that a new lineage emerges by the decedents of a social and political celebri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careful not to interpret its result as the peculiarity of Jeju. But instead, I attempt to present the result as the evidences of showing the diversities in establishing the lineages. The current paper is my first study to focus on the analysis of old family documents that show both the process for Kim’s lineage to establish their economic basis and the changes in the process. This study provides a good example showing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basis when lineages were formed. I plan to carry out follow-up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basis and the social status utilizing old family documents.

      • KCI등재

        한말 식민지기 마산의 배후지 舊진해현 진전 면 죽실의 안동권씨 향반 가문과 권오봉의 지역사회 활동

        이옥부 ( Lee Ok-bo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3 石堂論叢 Vol.- No.86

        이 연구는 권오봉을 중심으로 유학자 부친과 사회주의자 아들까지 향반 지주출신 가족 삼대의 선택과 행위를 주변부에서 마산의 배후지로 바뀌는 구진해 지역의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근현대의 변화에 직면한 향반 사회 구성원의 대응을 검토한다. 향반 가족 삼대를 대상으로 하지만 논의의 중심은 권오봉이고, 특히 1910년대 이후의 지역사회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논문은 다음 세 가지 논제를 다루었다. 첫째, 권오봉의 일어과 진학과 관료로 근무한 배경을 중심으로 가족 삼대의 관계와 각 개인의 선택을 비교했다. 둘째, 진해지역의 변화와 진해 향반세계의 대응을 읍지 출간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이면에 깔려있는 학교 등의 근대 시설을 둘러싼 현실적인 경쟁을 밝히고, 구진해현의 전통을 내세워 경쟁하던 권씨나 변씨 가문을 배제하려 한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셋째, 권오봉의 지역사회 활동을 미시적으로 구명하면서 각별히 종족이 미친 영향을 함께 논의했다. 이를 통해 근현대의 변화에 대응해 종족은 오히려 구성원들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개인을 사회적으로 규정할 뿐 아니라 한 개인의 지역사회 활동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oices and actions of the three generations of a family from Hyangban landlords, centered on Kwon Oh-bong(權五鳳), his father as a Confucian scholar, and his son as a socialist, in relation with changes in the Gujinhae area, which changes from the periphery to the hinterland of Masan. Through this, the response of the members of Hyangban society in the fa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anges is reviewed. It targets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Hyangban family, bu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is Kwon O-bong, and it focuses on community activities after the 1910s in particular. The thesis dealt with the following three theme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generations of the family and each individual's choice were compared, focusing on Kwon Oh-bong's Japanese language, higher education, and background of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ial. Second, the changes in the Jinhae region and the response of the Jinhae Hyangban world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conflict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township. Thus, the realistic competition surrounding modern facilities such as schools and myeon(面) offices behind the scenes was revealed, and the fact that they tried to exclude the Kwon(權氏) and Byun (卞氏) families, who were competing with the tradition of Gujin Hae-hyeon, was newly revealed. Third, while investigating Kwon O-bong's community activities microscopically, the influence of the tribe was discussed together. Through this, in response to modern and contemporary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ribes not only strengthened the solidarity of members and socially defined individuals, but also continuously influenced an individual's community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