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정양립의 최근 동향연구 : 국내 가족과 관련된 학회지를 중심으로

        이예운,이승미,박경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2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기별 연구의 흐름과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일·가정양립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 논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6-2020년 기간의 논문 수(37편)가 본 연구 분석논문의 39.8%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설문조사(43%), 2차 자료 분석(30.1%), 심층면접(14%), 문헌연구(7.5%) 등이 사용되어 양적방법의 활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2000년대 초반에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다룬 연구(6.4%), 그리고 현상 파악을 위해 기혼여 성(26.9%), 기혼 남성·여성(20.4%)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2016년 이후에는 결혼여부와 관계없는 근로자(16.1%) 를 대상으로 한 연구, 미혼(5.4%)을 대상으로 한 연구, 특정직업군의 근로자(9.7%)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넷째, 연구내용은 내용의 중복값을 허용한 114편의 전체 분석대상 논문 중 정책연구 24편 (21.0%), 현상분석 연구 90편(78.9%)으로 현상분석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For this purpose, research period, methods subjects, and content were analyzed in percentages for pape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published from 2000 to 2022 in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domestic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00.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pers(37) for 2016–2020 accounts for 39.8% of the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Second, surveys(43%), secondary data analyses(30.1%), in-depth interviews(14%), and literature research(7.5%)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indicating the high prevalence of quantitative methods. Third, in the early 2000s, studies addressed work-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policies(6.4%) and focused on married women(26.9%) and married men and women(20.4%) to understand. Since 2016,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xploring workers regardless of marital status(16.1%), unmarried workers(5.4%), and workers in a specific occupational group(9.7%). Fourth,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there were 24 policy studies(21.0%) and 90 phenomenon analysis studies(78.9%) out of 114 total analysis subject papers, indicating an overlapin content and high proportion of phenomen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