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계 광양만의 유기물 기원과 분포 특성

        이영식,강창근,최용규,이상용,Lee, Young-Sik,Kang, Chang-Keun,Choi, Yong-Kyu,Lee, Sang-Yong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1

        유기물 증가에 미치는 환경인자를 중심으로 그 수평분포 특성, 원인, 주요오염원의 영향권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해 표층 해수와 표층 퇴적물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물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에 대한 주요 오염원은 크게 섬진강과 동천 등의 담수, 광양시 생활하수, 여수산업단지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었다. 해수와 퇴적물의 환경인자에 대한 수평분포 특성과 해수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이들 주요 오염원의 영향권을 구분한 결과, (I)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 (II) 광양시와 동천의 영향이 큰 해역, (II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오염원의 영향권 별 수질환경인자의 특성으로는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과 $SiO_2-Si$, 담수와 생환하수의 영향이 큰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NH_4-N,\;SiO_2-S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표층해수의 경우 높은 수온, 높은 농도의 $NH_4-N$과 $PO_4-P$, 퇴적물의 경우 높은 농도의 $NH_4-N,\;PO_4-P,\;SiO_2-Si$로 특징 지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nvironment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surface seawater and sediments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main pollution sources and range of their influence in Gwangyang Bay. The main pollution sources for the factors that affect organic matter distribu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in sources: fresh water runoffs from Seomjin and Dong River, Gwangyang-si domestic sewage, and Yosu Industrial Complex.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in horizontal distribution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water column, sediment, and water current regime, the influencing range of these main sources was likely to be divided into three areas within the bay as follows: Area I receiving lots of fresh water from Seomjin River, Area II receiving lots of domestic sewage from Gwangyang-si and fresh water of Dong River, Area III receiving lots of materials from Yosu Industrial Complex. Area I seems to be characterized as low salinity, high concentration of $NO_3-N,\;and\;SiO_2-Si$, Area II as low salinity, high concentration of $NO_3-N,\;NH_4-N,\;and\;SiO_2-Si$, and Area III as high water temperature, high concentration of $NH_4-N,\;and\;PO_4-P$ in water column, high concentration of $NH_4-N,\;PO_4-P,\;and\;SiO_2-Si$ in surface sediments.

      • KCI등재후보

        담수유입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 후의 연안 수질변동 특성

        이영식,박영태,김귀영,최용규,이필용,Lee Young-Sik,Park Young-Tae,Kim Kui-Young,Choi Yong-Kyu,Lee Pil-Y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2 No.2

        연안해역의 수질특성 및 일차생산 증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담수 유입 후 규조류가 대량 번식한 상태와 담수가 유입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수질특성을 조사차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호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된 해역에서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와 Thalassiosira spp.가 각각 $1,200{\sim}5,000cells/mL,\;750{\sim}1,200cells/mL$의 농도로 관찰되었다. 2)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수온, PH,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조사되어, 두 곳 사이의 거리가 20m 정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두 곳의 수질특성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질소 인, 규소의 농도가 낮게 조사되어, 호우로 질소, 인, 규소보다는 규조류가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미량원소가 육지로부터 풍부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DIN/DIP, $DIN/SiO_2-Si$ 비는 모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한 정점과 그렇지 않은 정점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water and mechanism of phytoplankton blooms, factor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diatom bloom area due to rainfall event and no diatom bloom area Diatom blooms occurred after heavy rain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1,200{\sim}5,000cells/mL$) and Thalassiosira spp.($750{\sim}1,200cells/mL$). In diatom bloom area, water temperature, pH, and dissolved oxygen were observed at higher level than in no diatom bloom area Although these two areas were only 20 meters apart from each other, sharp difference in coastal water quality between two areas was observed. In diatom bloom area, concentrations of nitrogen, phosphorus, and silicate were observed at lower level than in no diatom blooms area. This seems to be due to inflow of much trace metal such as Fe, Mo, Se and so on than nitrogen, phosphorus, and silicate by rainfall events. However, distinct differences in DIN/DIP and $DIN/SiO_2-Si$ between these two areas were not observed.

      • KCI등재

        유전자 다형성과 기질특성에 따른 부프로피온 서방정의초기 금연효과

        이영식,김성엽,한덕현,민경준,나철 대한정신약물학회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7 No.2

        목적: 기존연구를 통해 금연효과가 입증된 부프로피온 투여 후 이에 반응하는 군과 반응하지 않는 군 간에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된 유전자 다형성 및 개인의 기질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13명의 니코틴 의존자에서 300mg의 부프로피온을 3주간 투여 후 4주째에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구분하여 두 군 간에 6개 유전자(DRD2, DRD4, DAT, NET, 5-HTTLPR, COMT)의 다형성과 기질특성(TCI)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6개 후보유전자 중 DRD2의 동형 유전자형(A2/A2+A1/A1), COMT의 H/H 유전자형 및 H 대립유전자 소지자인 경우에 부프로피온에 의한 금연반응이 높았다. 반면에 NET-8 GG 유전자형 및 G 대립유전자 소지자인 경우에 부프로피온에 의한 금연반응이 낮았다. 기질특성(TCI) 중 P(persistence)점수만이 반응군과 비반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DRD2, COMT, NET-8 유전자 다형성과 일부 기질특성이 부프로피온 투여 초기에 금연 성공여부를 결정짓는데 관여한다. Objective: Bupropion is an antidepressant with proven 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 response rate is some limited. With this background, Author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early bupropion response in smoking cess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genetic polymorphism an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Method: Subjects were 113 Korean male volunteers who were nicotine dependent and wanted to quit smoking. Author compared 6 candidate genes(DRD2, DRD4, dopamine transporter, norepinephrine transporter, serotonin transporter, COMT), and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TCI) between response group and non-response group after 3 weeks bupropion treatment. Result: Among 6 candidate genes, DRD2 homozygotes(A2/A2+A1/A1), COMT H/H genotype and H allele carriers showed high rate of smoking cessation by bupropion. NET-8 GG genotype and G allele carriers showed low rate of smoking cessation by bupropion. Persistence score in TCI was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DRD2, COMT, NET-8 genetic polymorphisms and som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could predict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by early treatment response of bupropion.

      • KCI등재후보

        Exploring Inhibition Factors of Communicative Learning Practices in Korean University EFL Classes

        이영식,백성주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1 영어교과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inhibitions regarding student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a certain English program and instruction of a university in central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cultural as well as educational issues and learners’ perception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es in a university. In an effort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for those selected students’ English improvement, the major focus of this research was how the participants take part in their university English program. A qualitative design method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int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or by e-mail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s the current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based curriculum in EFL in Korea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tudents’ English acquisition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in the classes. Therefore, developing a course that may promote learners’ communicative skills for active participation is suggested.

      • ADHD와 Tic 장애 아동의 공포

        이영식,구영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98 中央醫大誌 Vol.23 No.1

        1996년 8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인천 중앙길병원과 중대부속 용산병원에 내원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남아 45명과 틱장애 남아 20명을 대상으로 fear survey schedule for children-revised를 실시하여 정상군 자료와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포점수총점, 5개의 요인점수에서 ADHD와 Tic 장애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집단과 ADHD군을 비교하였을 때, 공포점수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제 2요인인 작은 동물 및 공포스러운 단순자극에 대한 공포와 제 3요인인 실패와 비난에 대한 공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집단과 Tic장애 아동군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공포점수총점이 높았고, 공포요인구조상, 제 1요소인 위험과 죽음에 대한 공포와 제 2요인인 작은동물이나 공포스러운 단순자극에 대한 공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제 3요인(실패나 비난에 대한 공포)의 경우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나 정상집단보다 높았다. ADHD집단의 경우 학년이 증가할수록 공포점수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공포요인 구조상 제 2요인(작은 동물 및 공포스러운 단순자극에 대한 공포)과 제 4요인(혼자 남겨지는 것에 대한 공포)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ic 장애의 경우 저학년과 고학년간의 공포점수 총점 및 하부요인점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장에 따른 공포의 감소가 뚜렷지 않았고, 제 4요인(혼자 남겨지는 것에 대한 공포)이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는 ADHD군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두 군에서 가장 심하게 느끼는 공포항목들은 모두 제 1요인인 위험과 죽음에 대한 공표(폭발, 높은데서 떨어지기, 교통사고등)에 속하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ADHD아동과 Tic 장애 아동들은 발달단계에 따른 공포대상 변화가 정상아동 보다 늦고, 질환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ADHD군은 실패와 비난에 대한 공포가 더 많았으며, Tic 장애군은 외적 상황을 보다 더 공포스럽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ntent and intensity of fear are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temperament, past experiences, situational stimuli,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ic disorders are very common mental diseases in child psychiatric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r aspects in ADHD(n=45) and in Tic(n=20) disordered boys by using the fear survey schedule for children-revised C and employing the community sampled boys(n=356) as a control. Tic disordered boy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ADHD boys on fears of small animals and horrible stimuli. ADHD boy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munity sampled boys on the fears of small animal and horrible stimuli, and on the fears of failure and criticism. Tic disordered boy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munity sampled boys on total fear score, fear of death and danger, fear of small animal and horrible stimuli, fear of leaving alone. Tic disordered boys did not demonstrate the age-appropriate decrease in fear found for boys of community sample. Nine of the top 10 fears reported by these ADHD and Tic disordered boys were identical to those reported by community sampled boys. From the above fear content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mainly negative environmental stimuli influence the formation of ADHD boys' fear and global developmental delay phenomenon in Tic disordered bo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