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 척도 개발 연구

        이영숙 한국성품협회 2015 東南亞硏究 Vol.0 No.-

        인성교육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교육적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자 교육 문제이다. 인성교육에 대한 강조는 현대의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에 따른 문제들을 궁극적으로 검토하고 해결하려는 교육적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성(人性)’은 “한 개인이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품성, 덕성, 인품, 인격 등과 같은 계열언어를 함축하는 개념(박균섭, 2008)1”으로서 사단법인 한국성품협회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인성과 인성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실천해왔다. 사단법인 한국성품협회의 좋은나무성품학교 인성프로그램 개발자인 이영숙(2005)2은 그동안의 인성교육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특히 주목하였다. 이에 사람의 성품이라는 뜻의 ‘인성’에서 ‘성품’을 키워드로 삼고 ‘한국형 12성품교육’을 창안하여 10년간 실천해왔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인성을 구체적으로 개념화·구조화하고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교육 대상 또한 태아에서 노인까지 전 연령에 걸쳐있으며 국적이 한국인 대한민국 국민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를 공유하고 한국의 정서적 특성을 지닌 모든 사람을 포함한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다양한 환경의 사람들에게 포괄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그 결과를 한국형 12성품교육론으로 종합하였다(이영숙, 20113). 성품은 “한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의 표현(이영숙, 2005)4”으로서 세 영역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경험 안에서 상호작용할 때 성품의 발달이 이루어진다(이영숙, 20075). 성품의 핵심 덕목은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의 두 가지 덕목을 제안하였다(이영숙, 2005). 공감인지능력(empathy)은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정서, 즉 고통과 기쁨, 아픔과 슬픔에 공감하는 능력으로 동정이 아닌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정서적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능력”이다. 분별력(conscience)은 “인간의 기본적인 양심을 기초로 하여 선악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올바른 생활과 건강한 시민정신, 도덕적인 행동을 위한 토대가 되는 덕목”이다.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은 성품의 표현에 있어 각각 다른 영역을 담당하고 있다. 공감인지능력이 감정을 토대로 바른 태도와 행동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라면 분별력은 기준, 가치, 지식에 대한 사고(思考)를 토대로 바른 태도와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덕목이다. 두 핵심 덕목인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은 12가지 주제성품으로 구성된다(이영숙, 2011)6. 이는 핵심 덕목의 다양한 측면을 더욱 세분화하여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공감인지능력은 6가지 주제성품, 경청, 긍정적인 태도, 기쁨, 배려, 감사, 순종으로 이루어진다. 분별력은 인내, 책임감, 절제, 창의성, 정직, 지혜의 6가지 주제성품으로 이루어져있다. 12가지 주제성품은 각기 서로 다른 측면에서 성품의 고양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개념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총체적인 덕을 이룸으로써한 사람의 성품으로 나타나게 된다(이영숙, 2011)7. 한국형 12성품교육의 주제성품별 정의는 다음과 같다(이영숙, 2005)8. ① 경청이란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잘 집중하여 들어 상대방이 얼마나 소중한지 인정해 주는 것이다. ② 긍정적인 태도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장 희망적인 생각, 말, 행동을 선택하는 마음가짐이다. ③ 기쁨이란 어려운 상황이나 형편 속에서도 불평하지 않고 즐거운 마음을 유지하는 태도이다. ④ 배려란 나와 다른 사람 그리고 환경에 대하여 사랑과 관심을 갖고 잘관찰하여 보살펴 주는 것이다. ⑤ 감사란 다른 사람이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인정하고 말과 행동으로 고마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⑥ 순종이란 나를 보호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시에 좋은 태도로 기쁘게 따르는 것이다. ⑦ 인내란 좋은 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불평 없이 참고 기다리는 것이다. ⑧ 책임감이란 내가 해야 할 일들이 무엇인지 알고 끝까지 맡아서 잘 수행하는 태도이다. ⑨ 절제란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지 않고 꼭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다. ⑩ 창의성이란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것이다. ⑪ 정직이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생각, 말, 행동을 거짓 없이 바르게 표현하여 신뢰를 얻는 것이다. ⑫ 지혜란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도록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기존에 실시된 선행 연구들과 한국형 12성품교육을 비교, 검토해보면 한국형 12성품교육의 특색과 통합성을 잘 살펴볼 수 있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기존의 인성 연구에서 제시한 인성 덕목들을 의미면에서 포괄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인 교육부의 ‘초·중등 학생 표준화 인성검사(KEDI 인성검사) 개발 연구(2013. 9. ~ 2014. 7.)’와 상응하고 있다. KEDI 인성검사에서 제시한 인성 덕목은 자기존중, 성실, 배려·소통, (사회적)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용기, 지혜, 정의, 시민성의 총 10개이다(현주 외, 2015). 이는 한국형 12성품교육의 12가지 주제성품과 의미와 맥락을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유사함을 알 수 있다. KEDI 인성 덕목과 달리 한국형 12성품교육만의 특색이 발견되는 부분은 ‘긍정적인 태도’와 ‘기쁨’ 등 자기 자신과 관련된 주제성품을 더욱 세분화하여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관계주의 문화 특성과 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것으로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스스로를 존중함으로써 성품에 있어서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한국형 12성품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또 다른 태도는 ‘창의성’이다. 한국형 12성품교육에서의 창의성은 문제해결뿐만 아니라 일상적 삶에 있어서 스스로 자신의 사고방식을 검토하고 끊임없이 의식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으로서 인간의 생각, 감정, 행동 영역에서 변화의 동력이 되는 궁극적인 사고 태도라고 할 수 있다. 12가지 주제성품과 KEDI 인성 덕목의 의미를 각각 대응시켜 보았을 때,직접 대응되지 않는 KEDI 인성 덕목이 ‘시민성’이다. 시민성은 한국인이 지녀야 할 덕목으로서 애국심, 타문화이해, 세계시민의식이라는 세 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이다(현주 외, 2015)9. 그러나 한국형 12성품교육에서는‘한국인’을 한국의 문화와 정서적 특징을 지닌 인간으로 정의하여 한국 국적의 사람들, 재외 한국인, 북한 동포,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권 사람들 등을모두 포괄하기 때문에 ‘시민성’의 덕목에서 제시하는 세계인으로서의 태도는 한국형 12성품교육의 12가지 주제성품에 이미 포함되어 있으며 태도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계인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서의 시민성은 인종, 국적 등 사회·문화·경제적 배경을 넘어 사람들이 서로를 있는 그대로의 존재 자체로 존중할 때 발휘되는 것이다. 이는 각 주제성품을 뒷받침하는 태도의 원리가 된다. 이러한 특색들을 볼 때 한국형 12성품교육은 오늘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한국인’을 더욱 다양한 측면에서 깊이 이해하고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시도이자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한국인의 정서와 삶의 기본 바탕을 고려하고 끊임없이 변화해 갈 현대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길러내야 할 주제성품들을 제시한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12가지 주제성품들이 한국인의 삶 속에서 서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나가는 것을 도모하는 통합교육이다. 국외의 인성교육 동향을 살펴보면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인성의 개념, 인성교육의 주요 덕목들, 교육 방법에 있어 한국형 12성품교육이 포함하고 있는 면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 미국, 핀란드의 사례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현대 사회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인성교육은 점차로 더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와 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근절하기 위한 방안이자 인간다운 인간을 길러내기 위한 노력으로서 인성교육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세 개 국가에서 인성은 인지적 측면(사고), 정의적 측면(감성), 행동적 측면(행동 또는 태도)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위 요인은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나 교육의 대상, 상황, 강조점에 따라 통합되고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지향점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을 실천함에 있어서는 특정 교과를 만들어 별도로 교육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 활동의 전 영역에 그 내용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교육 활동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국가적 차원의 다양하고 체계적인 진행과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이론적·경험적 기반을 바탕으로 사단법인 한국성품협회에서는 한국형 12성품교육의 방향 및 내용, 방법을 제시하는 구체적 자료를 마련하고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국형 12성품 척도’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과 새로운 문항 개발을 통해 생성한 문항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수를 축소하는 문항개발과정이 있었다. 예비조사를 통해 확정한 한국형 12성품 본조사 문항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KEDI에서 개발한 표준화 인성검사를 준거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다음의 [그림Ⅳ-1]과 같은 문항개발과정과 타당화 과정을 통해 개발된, 한국형 12성품 척도는 경청 15개 문항, 긍정적인 태도 10개 문항, 기쁨 14개 문항, 배려 12개 문항, 감사 11개 문항, 순종 14개 문항, 인내 13개 문항, 책임감 13개 문항, 절제 10개 문항, 창의성 13개 문항, 정직 13개 문항, 지혜 12개 문항으로, 총 150문항으로 구성된다(최종 한국형 12성품 척도는 [부록4] 참고). 한국형 12성품 척도 개발 연구는 개발한 척도의 활용방안 두 가지를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 KCI등재

        Unusual Radar Echo from the Wake of Meteor Fireball in Nearly Horizontal Transits in the Summer Polar Lower-Thermosphere

        이영숙,Sheila Kirkwood,곽영실 한국우주과학회 2018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35 No.2

        The summer polar lower thermosphere (90–100 km) has an interesting connection to meteors, adjacent to the mesopause region attaining the lowest temperature in summer. Meteors supply condensation nuclei for charged ice particles causing polar mesospheric summer echoes (PMSE). We report the observation of meteor trail with nearly horizontal transit at high speed (20–50 km/s), and at last with re-enhanced echo power followed by diffusive echoes. Changes in phase difference between radar receivers aligned in meridional and zonal directions are used to determine variations in horizontal displacements and speeds with respect to time by taking advantage of radar interferometric analysis. The actual transit of echo target is observed along the straight pathwa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xtended as much as a distance of at least 24 km and at most 29 km. The meteor trail initially has a signature similar to ‘head echoes’, with travel speeds from 20 – 50 km/s. It subsequently transforms into a different type of echo target including specular echo and then finally the power reenhanced. The reenhancement of echo power is followed by fume-like diffusive echoes, indicating sudden release of plasma as like explosive process probably involved. We discuss a possible role of meteor-triggered secondary plasma trail, such as fireball embedded with electrical discharge that continuously varies the power and transit speed.

      • KCI등재

        국내의약품의 약물상호작용 정보 분석

        이영숙,이지선,이숙향 한국임상약학회 200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19 No.1

        Adverse drug reactions (ADR) caused by inappropriate prescription are responsible for major socioeconomic loss. Drugdrug interactions (DDI)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part of ADRs and,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prevent possible DDIs to minimize preventable AD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DI information in drug information references an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drug labeling information. Drug ingredients from the formulary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n Korea (HIRA) were included for the study. DDI information source used for the study were Micromedex Drugdex and Drug Information Facts (DIF) with the DDI severity level of “moderate” or more. The DDI information in KFDA drug labeling were collected and compared. Drug ingredients were classified with KFDA Drug Classification and ATC Classification of WHO for the analysis. Among the total 1,355 drug ingredients satisfying inclusion criteria, 738 ingredients involved at least one DDI, which was described in Micromedex and/or DIF. Drug Ingredients of 176 involved DDI only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but not Micromedex nor DIF. Drug ingredients of 35 which DDIs were described in Micromedex or DIF did not have DDI based on KFDA drug labeling. Micromedex and DIF retrieved 7,582 and 3,071 DDIs, respectively 57.6% and 58.5% of DDIs were also described in KFDA drug labeling. Central nervous system (CNS) drugs, cardiovascular system(CVS) drugs and the antiinfectives appeared to have higher frequency of DDIs among all drug classes. The highest number of DDIs with high severity level (“contraindicated” or “major”) were the DDIs of CNS drugs. The antiinfectives are the second drug group having serious DDIs. The DDI pairs of the CNS drug and the antiinfective had the highest contraindication risk (13.6%). DDI information from Micromedex and DIF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 that only 465 ingredients' DDIs are common in both literature (total DDI numbers were 715 vs 488, respectively). And 1,652 DDI information are common in both references among 7,582 vs 3,071 DDIs, respectively. Only 55.2% of DDI information in the database contained in the KFDA drug labeling. Prescribers and pharmacis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rugs for CV system, CNS and infections because of higher risk of possible DDIs compared to other drug classes. KFDA drug labeling is not likely to be recommended as a good information source for DDI due to significant inconsistency of information. Drug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aware that DDI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are not consistent and therefore multiple references should be u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Evolution of Surgical Treatment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ra of Mid-Urethral Slings

        이영숙,이하나,이규성 대한비뇨의학회 2010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Vol.51 No.4

        Based on the integral theory, tension-free placement of a mid-urethral sling (MUS)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has gained substantial popularity owing to the ease of the procedure and its effectiveness. Published series with long-term follow-up show continence rates after the MUS procedure ranging from 70% to 80%. Complication rates after MUS procedures are usually low. This review aimed to describe the historical change and the current use of the MUS. We discuss the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various MUS procedures and the current strategies for managing failed slings.

      • Keats시의 비극 비향성 : 5편의 Ode를 중심으로

        이영숙 울산대학교 1984 연구논문집 Vol.15 No.1

        Keats의 편지는 Keats시의 주제와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목표를 알려준다.: 주제적인 측면에서 Keats는 상상력을 이용하여 고통으로 가득찬 비극적인 우리 삶이 지니는 궁극걱친 의미를 파악코저 했다. :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극화를 통해 주제가 간접적으로 제시되는 비개성적인 시, 드라마로서의 시를 지향했다. 그의 이 두 목표가 실현될 때 시는 비극의 특서을 지니게 된다 ; 비극이란 비극적인 세계상을 초극할 수 있는 초월적인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삶을 긍정할 수 있는 힘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Keats는 궁극적으로 비극을 지향한 시인이라는 결론을 내릴수 있다. Keats Keats의 대표작인 5편의 Ode는 이 결론을 입증하고 있다. "Ode to Psyche"어서 Keats는 상상력이 궁극적인 진리를 포착할 능력이 있다는 인식론적인 측면에서의 상상력의 기능을 주장함으로써, 자신이 상상력의 힘으로 이 삶이 지니는 궁극적인 의미를 포착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Ode on Melancholy"는 Keats가 초극의 대상으로 삼은 유한한 삶의 비극성을 제시하며 "Ode to a Nightingale"과 "Ode on, a Grecian Urn"은 이 비극적인 세계상으로 휴메니스트인 Keats가 겪는 고뇌와 갈등을 부각시킨다. 비극적인 세계상과 이로 인한 Keats의 고뇌와 갈등이 강조되는 세 편의 시는 그의 이상인 극화된 시에 가까워지기 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진술의 시에 접근한다. 삶의 비극적인 실태는 파악했으나 이를 해결할 초월적인 원리를 발견해 내지 못한 상태에서 시의 제재가 되는 삶을 객관적으로 다룰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To Autumn"에 이르러 Keats는 비극적인 세계상을 초극하며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세계관을 제시한다 : 그가 제시하는 초월적인 원리는 삶의 모든 현상이 아름다움과 가치를 지닌다는 세계관으로, 이것은 죽음을 영원히 계속되는 우주의 삶과 죽음의 한 단계로 파악하여 죽음을 수용한 결과이다. 비극적인 삶의 고뇌를 극복할 수 있게 된 Keats 는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제재를 다루며, 극화를 통해 자신의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한다 : 그의 이상인 비개성적인 시를 쓰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주제와 형식상의 목표가 모두 실현된 "To Autumn"은 비극의 특성을 지니는 시가 되며, Keats의 시가 궁극적으로 비극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Keats's letters show his thematic and artistic purposes: as an intense lover of "here and now." he decided to explore through the imagination into the ultimate reality of our tragic life to give it meaning; and unlike other Romantic poets, he, shunning self-expression, wished to write the most objective form of poetry, poetic drama. These goals lead up to the conclusion that his poetic goal turned towards tragedy; because tragedy is a force for life affirmation through suggesting the principle of moral or spiritual transcendence which can absorb the tragic vision. Keats's 5 great odes of 1819 attest to this conclusion. In "Ode to Psyche," Keats suggests a solution that his thematic goal of life affirmation can be achieved be the imagination through extolling the epistemological importance of the invagination that only it can grasp the ultimate reality. His understanding of ironic mutability of life which he tried to overcome is given clear expression in "Ode on Melancholy"; "Ode to a Nightingale" and "Ode on a Grecian Urn" convey Keats's suffering from this tragic vision and emphasize it by showing his conflict between his love of the human and his desire to escape it. He was now in the state that he just understood the burden of mortality without any principle to redeem his agony. Which explains, why these three poems are away from his artistic goal, the theme stated explicitly with his strong uncontrolled voice: he couldn't deal with his subject, that is, life objectively unless he conquered his tragic vision. In "To Autumn", we finally find an achievement of his poetic goal. He overcome limitations of our earthly life by firmly accepting the mutability: seeing death as one process of eternal cycle of death and rebirth, he accepts life as it is with the conviction of "the principle of beauty in all things. " Because of this thematic achievement his artistic goal can be fulfilled : the theme inheres in the subject with the poet adding no explanation or definitions: his poem finally arrives at drama. With his poetic goal attained, "To Autumn" can be read as tragdy, through which we can be sure that Keat's poetic goal is to write trage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