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도 재배환경 중 제초제 Cyclosulfamuron 의 잔류특성

        이영득,송성도 한국환경농학회 200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0 No.4

        Sulfamoylurea계 제초재의 일종인 cyclosulfamuron의 수도재배환경중 잔류특성을 평가하고자 2개 지역의 포장 및 실험실조건에서 토양 중 잔류성, 토양/토양수 및 수직적 잔류량 분포, 그리고 수확물인 현미 및 볏짚 중 잔류수준을 조사하였다. 경산 및 영천토양 중 잔류특성은 1차 분해반응의 양상을 보였으며 그 반감기는 포장과 실험실조건에서 각각 17∼30일 및 14∼16일로 나타났다. 입제살포 후 유효성분의 토양/토양수간 분포비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으로의 분포비율이 높아졌으며 토양 및 토양수에서의 반감기는 각각 19일과 10일이었다. 감수심 5 ㎝/일 조건으로 10일간 수행한 용탈 실험에서 cyclosulfamuron은 토심 0∼4 ㎝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중 수직이동성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포장조건에서 입제 및 액상수화제를 수확전 120∼150일 전에 1∼2회 처리하고 수확한 현미 중 잔류량은 제형, 살포시기 및 회수에 관계없이 모두 0.01 ㎎/㎏ 미만이었으며 볏짚중 잔류량은 <0.02∼0.05 ㎎/㎏ 범위였다. Cyclosulfamuron의 토양 및 토양수 중 비교적 빠른 소실속도와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약제살포에 따른 잔류분이 다른 환경계로의 전이되거나 후작물에 대한 2차 약해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수확물 중 낮은 잔류수준과 독성학적 특성을 감안할 때 수확물 중 잔류분으로 인한 만성독성학적 부작용은 무시하여도 좋다고 판단된다. Several experiments including persistence, distribution, leaching, and terminal residue trial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yclosulfamuron in rice paddies. Cyclosulfamuron was gradually dissipated in two different soils showing the first-order kinetics. Half-lives of the herbicide were calculated to be 17∼30 and 14∼16 days under field and laboratory conditions, respectively. In the paddy soil/water system, the residue tended to reside more in the soil phase as time elapsed. Cyclosulfamuron was less persistent in paddy water than in soil with half-lives of 10 and 19 days, respectively. No cyclosulfamuron was leached below 20 ㎝-deep soil during water percolation with 50 cm hydraulic head, while some downward mobility was observed within the soil column. When EC and SC formulations of cyclosulfamuron were applied to the paddy field at 120 or 150-day pre-harvest intervals, its terminal residues in hulled rice were all less than 0.01 ㎎/㎏, irrespective of formulation type and application timing. In rice straw, however, some residues were found at <0.02∼0.05 ㎎/㎏ as SC formulation was applied. Rapid dissipation, restricted mobility, and low terminal residues of cyclosulfamuron in rice paddies suggest that no significant residues would be transported or carried over to the non-target environment.

      • 식품 중 국가공정 잔류농약 분석법의 실무 이론

        이영득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 워크샵자료 Vol.2010 No.2

        본 발표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잔류농약 분석법의 기초 이론 및 실질적 기술을 식품공전 분석법을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즉 추출, 정제, 기기분석 및 재확인 과정에 대하여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이론 및 기술을 과정별로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향후 적용될 최신 분석기술 및 잔류농약 분석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ROPESTICIDE란 무엇인가? - 안전성 향상, 약효증진, 사용의 편리성 도모 - 기존농약 결점보완한 신농약

        이영득 한국작물보호협회 1990 자연과 농업 Vol.11 No.4

        근대농업에 있어 병해충 및 잡초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화학적 방제법의 이용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방제시 사용되는 대부분의 유기농약들은 많건 적건간에 인축에 대한 독작용이나 환경오염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어 그 대책으로 고선택성 또는 고효율의 신농약을 개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결과의 하나로 최근 propesticide(前驅的 農藥)란 형태의 신농약들이 실용화되고 있는바, 이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초청강연 1 : 농산물 중 잔류농약 허용기준 설정 및 분석법 체계

        이영득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최근 안전한 농산물을 섭취하는 것은 국민들 사이에서 건강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림부 및 식약처 등 정부기관에서도 안전한 먹거리 공급을 주요 국정목표 중 하 나로 설정하고 있다. 농산물 재배과정에서 작물 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농약은 정도 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필연적으로 수확물 중에 일부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잔류농약은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잔류농약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계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현재 농산물 및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확보 에 대한 가장 중요하면서도 실용적인 관리 체계는 잔류허용기준 (MRL)의 설정 및 운용이다. 먼저 작물 재배과정에서 농약을 사용을 하였을 경우, 수확물 중에 잔존하는 잔류농약에 의한 만 성독성학적 위해성 (risk)은 농약 자체의 만성독성 (chronic toxicity)과 노출량 (exposure)의 곱으로 표시된다. 만성독성은 실험동물에 대한 최대무작용량을 안전계수로 보정, 인간에 대하여 적용한 일일섭취허용량 (ADI)의 역수로 표시된다. 노출량은 식품 중 잔류농도에 식품 섭취량의 곱으로 표시되며 이 수치가 ADI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안전성 확보의 관건이다. ADI는 농약 고 유의 독성이므로 그 수치는 일정하다. 또한 노출량 항목 중 식품 섭취량도 거의 일정한 수준이므로 관리가 가능한 부분은 식품 중 잔류 수준에 한정된다. 농산물 중 잔류 수준의 실질적 관리는 농약 및 농산물별로 MRL을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정상적 경작조건에서 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사용은 허용하되 오남용을 방지하도록 수확물 중 잔류 수준의 상한선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농약 사용이 허가된 작물의 각 MRL에 농산물별 섭취량을 곱하여 합산한 이론적 최대섭취허용량 (TMDI)이 잔류농약의 섭취경로를 감안, ADI의 80%를 초과하지 않도록 농약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위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MRL 설정은 정상적 경작 형태 (GAP)에서 최대 농약 살포 조건으로 수행한 잔류성 시험 (supervised trial)의 실험적 결과와 통계학적 평가에 근거한다. 즉, 각 잔류성 시험으로부터 수확물 중 평균 잔류량을 실험적으로 얻고, 다수 잔류성 시험결과의 변이성을 통계학적으로 평가하여 상 위 95% 수준에서 설정한다. 통계학적 처리 방법 및 그에 요구되는 작물잔류성 시험 수는 국가 및 국제기관별로 상이하나 최근 OECD에서 제안한 MRL 설정법으로 통합되는 추세이다. 작물잔류성 시험에는 GAP에 근거한 표준적 포장시험과 더불어 신뢰성이 확보된 잔류분석 체계 가 요구된다. 잔류농약 분석법은 그 분석 목적 및 1회당 분석성분 수에 따라 다성분 동시분석법 (multiresidue method, MRM)과 개별 분석법 (individual method)으로 대별된다. MRM의 경우 분 석조작 1회당 검사가 가능한 농약수가 수십 가지 이상으로 분석효율은 매우 높으나 각각의 성분에 대한 분석의 정밀도나 신뢰성은 다소 열등한 단점이 있다. 즉 다성분 동시분석법에서는 대상성분 들을 물리화학적 특성범위별로 그룹핑하고 그룹별로 시료 추출, 정제 및 기기분석과정에 의하여 시료분석을 수행하므로 1개 분석 대상성분마다 최적의 분석법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 서 각 대상성분에 대하여 최적화된 시료 조제 및 기기분석조건이 적용되는 개별 분석법에 비하여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MRM은 적정한 분석기준을 만족하면서 분석효율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며 주로 잔류농약검색용 (screening) 목적에 적합하다. 개별 분석법은 개별 농약성분별로 최적화시킨 분석법으로 MR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석의 효 율은 낮으나 최고의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보장된다. 따라서 어떠한 시료의 다성분 검색 결과 검출된 의심성분을 보다 정확히 정성 및 정량하며, 특히 법적 및 행정적 목적으로 분석의 신뢰성이 요구될 때 이용된다. 또한 MRM에 포함시킬 수 없는 성분들에 대하여는 각각의 개별 분석 법 확립이 잔류관리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작물잔류성 시험에는 정확한 정량 및 재현성을 요구하므로 MRM 보다는 개별분석법을 적용하여 야 한다. 개별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분석법의 체계적 확립 및 실제 시료에 대한 분석법 검 증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하며 실제 포장 시료군의 분석 시마다 분석의 항상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추가의 회수율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농산물 중 잔류 농약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MRL 설정 체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MRL의 기본적 개념, 설정 이론과 평가체계를 중심으로 국가/국제기관 별 평가법과 현재 국 제적으로 통합되고 있는 설정 체계를 소개함과 동시에 국내 설정 체계와의 비교 및 개선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MRL의 설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물잔류성 시험의 기본 요건 및 수행 과 잔류분석법의 확립, 검증 및 재현성 확보에 필요한 사항을 국제 기준과의 부합성과 연관하여 예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형수도재배구중(小型水稻栽培區中) Carbofuran 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특성(殘留特性)

        이영득,박형만,박영선,박창규,Lee, Young-Deuk,Park, Hyung-Man,Park, Young-Sun,Park, Chang-Kyu 한국환경농학회 198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6 No.1

        수도재배환경중(水稻栽培環境中) carbofura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양상(殘留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소형수도재배구(小型水稻栽培區)를 이용(利用), carbofuran 입제(粒劑)를 2수준(水準)으로 살포(撒布)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질(水質), 수도체(水稻體),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면살포(水面撒布)한 carbofuran 입제(粒劑)는 빠른 속도(速度)로 용출(溶出)되어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일이내(日以內)에 최고치(最高値)에도 달하였다. 용출(溶出)된 carbofuran은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어 처리(處理) 1∼3일(日) 후(後)에 최고치(最高値)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以後) 완만한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의 반감기(半減期)는 4일(日)이었고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처리수준(處理水準)에 따라 8∼12일(日)이었다. 수확물중(收穫物中) carbofuran 잔류량(殘留量)은 현미(玄米)의 경우 0.01∼0.02ppm이었으며 볏짚에서는 0.37∼0.07ppm의 범위(範圍)였다. A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carbofuran in a miniature paddy agrosystem simulated for paddy field. Carbofuran applied onto the paddy water was rapidly absorbed and translocated into rice plants. Carbofuran concentration in rice plant reached its maximum level between 1 to 3 days after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Half life of carbofuran concentration in paddy water was 4 days in both application rates of 0.12 and 0.24Kg a.i./10a. Carbofuran residue in paddy soil was gradually dissipated with the half life of 8 and 12 days in 0.12 and 0.24㎏ a.i./l0a respectively. Range of carbofuran residue in brown rice and rice straw harvested from the paddy agrosystem was 0.01∼0.02 ppm and 0.37∼0.57 ppm irrespective of the two application rate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전설적 불로장생약과 고려홍삼의 현대 과학적 효능과의 연관성

        이영득,Yi, Yeong-Deuk 고려인삼학회 2020 인삼문화 Vol.2 No.-

        In this paper, through the mutual interpret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books with different origin that have been suspected as false documents, it proves that they could be logically real records and reveal that the substance of the legendary 'medicine for anti-aging and longevity', which also had been mentioned in Chinese old books, is Korean ginseng. Furthermore, with reference to the modern Y chromosomal map of the migratory routes of mankind corresponding to these routes recorded in 「Budoji」, the core history book, the formation of the four ethnic constitution groups (Sasang Constitution) based on the life style of each human group has been estimated. And the cause of Korean ginseng with fever problem for Southeast Asians is their pharmacogenomic constitution problem by protopanaxatriol (PPT) type ginsenosides in ginseng. It was resolved with over production of protopanaxdiol (PPD) type ginsenosides against PPT type in Korean red ginseng as historical or scientific point of view. In addition, by explaining that the processing method to Korean red ginseng could increase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s (RGAP), the RGAP, PPD type ginsenosides, and arginine which is originally abundant in Korean ginseng could increase the expression of the 'heat shock proteins' as a kind of chaperone in the body, this paper presents the theory allowing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the efficacy of Korean red ginseng as an 'adaptogen' or 'medicine for anti-aging and longevity'. Lastl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growing environment of American ginseng and Korean ginseng, the differences are presented. 본고에서는 유래가 다른 상고사서의 상호 해석과 검증을 통하여, 위서(僞書)로 의심 받아 왔던 『부도지』, 『환단고기』, 『규원사화』의 기록이 논리적으로 실제 기록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사기』 및 『열자』의 중국사서에도 등장하는 전설적인 '불로장생약'의 실체가 고려 인삼임을 밝혔다. 나아가 핵심 서적인 『부도지』의 인류이동 설명에 부합하는 Y 염색체 인류이동 지도를 참조하여, 각 인류 집단의 생활상을 기반으로 사상체질의 형성과 동남아인에 대한 고려인삼 열감문제의 기원이, 역사적 또는 과학적 관점에서 PPT유형 진세노사이드로 인한 체질문제로 추정하였다. 이 문제의 해결이 홍삼제조시의 PPT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PPD유형 진세노사이드 생산으로 해결되며, 또한 홍삼제조시 홍삼다당체의 함량 증가로, 홍삼다당체, PPD유형 진세노사이드, 원래 고려인삼에 다량 포함된 아르기닌에 의하여, 신체 내 '열충격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는 방법임을 설명함으로써, 고려 홍삼의 '아답토젠' 또는 '장생불사약'으로서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삼(서양삼)과 고려인삼의 생육환경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arbosulfan , Furathiocarb 및 Benfuracarb 처리토양중 Carbofuran 방출특성

        이영득,최주현 한국환경농학회 199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4 No.2

        Carbofuran의 aminothio 유도체로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들인 carbosulfan, furathiocarb 및 benfuracarb를 논 및 밭상태 수분조건별로 토양에 처리하고 토양중 분해양상 및 carbofuran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처리한 유도체들은 토양중에서 carbamoyl N-S간 결합의 붕괴에 따라 carbofuran을 빠른 속도로 방출하였다. 토앙중 분해반감기는 23∼68시간 범위로서 유도체 측쇄구조 및 토양수분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처리 5일후 유도체농약들의 carbofuran으로의 유효전환율은 64∼84% 범위였으며 유도체형태로의 처리는 carbofuran 직접처리에 비하여 토양중 carbofuran 전류수준의 급격한 상승을 완화, 직접살포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ree aminothio derivatives of carbofuran including carbosulfan, furathiocarb and benfuracarb were subjected to the degradation study in soils to investigate how fast and efficiently carbofuran would be evolved from them. Carbofuran was rapidly released from the derivatives in soils as the carbamoyl nitrogen-sulfur bond cleaved. Their degradation rates in soils, with half-lives of 23∼68 hours, were largely affected by structures of aminothio moieties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Conversion rates into carbofuran ranged from 64 to 84% in soils on the basis of parent compounds 5 days after treatment. Application of aminothio derivatives led to less drastic increase in the carbofuran level in soils than when carbofuran was applied as such, and hence this might result in lower side effects in sit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