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원발성 하지정맥류의 임상적 고찰 - 209례 보고 -

        이연재,박철,김종석,김한용,유병하,Lee, Yuen-Jae,Park, Chul,Kim, Jong-Seok,Kim, Han-Yong,Yoo, Byu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하지정맥류는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혈관 질환으로 흉부외과 영역에서도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하지정맥류 환자 209명 혹은 269족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 관찰하였다. 결과 : 남자는 52명, 여자는 157명으로 1:3의 비율이었고, 연령은 평균 42.2$\pm$9.7세 이었으며, 평균 발생기간은 12.2$\pm$9.7년이었고, 평균 추적간은 2001년 7월을 기준하여 평균 14.8$\pm$6.1개월이었다. 증상은 하지 통증이 122례(58.4%)로 가장 많았다. 장시간 서있는 직업(44명), 임신(37명), 가족력이 있는 경우(7명) 및 이들의 조합이 주원인으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주병소는 대복제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26례, 소복제 정맥까지 침범한 경우가 18례, 망상혈관 및 모세혈관확장증만 있었던 경우가 65례 있었다. 치료는 대복제정맥 발거,분절 절제술, 대복재정맥-대퇴정맥 연결부위 결찰, 혈관 경화요법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 발거를 시행한 군(A군)과 혈관경화요법을 시행한 군(B군)을 비교했을때, 시술후 합병증은 A군에서 많았고(p 0.05), 재발은 B군에서 많았다(p 0.05). 소복재정맥까지 침범한 경우 stab avulsion을 시행한 경우(C군)와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D군)의 비교시 D군에서 2례의 재발이 있었으나 합병증 및 재발에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혈관 경화요법에서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경우(B군)와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이 있는 경우(E군)의 비교시 합병증은 차이가없었으나(p 0.05), 재발률은 B군에서 높았다(p 0.05). 발거후 합병증으로는 발목 무감각 및 저린 느낌(2례), 발목 통증(2례), 족부부종(2례),창상감염(1례)등이 있었고, 혈관 경화요법의 경우 정맥혈전염(1례), 피부궤양(1례)등이 있었다. 결론 : 대복재정맥의 혈관경화요법은 발거술 보다 재발률이 높았지만. 망상정맥 및 모세혈관확장증에서의 혈관경화요법은 대복재정맥을 침범한 정맥류의 혈관 경화요법을 시행한 경우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하지만, 혈관경화요법은 수술 및 입원이 필요없는 간편한 치료이기에 대복재정맥의 경우에도 더욱 연구 보완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Varicose vein is a very common vascular disease and has recently become a matter of concern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ns. Material and Method : We analyzed 209 cases or 269 feet with varicose vein retrospectively, which had been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April 1999 to December 2000. Result : Male : Female ratio was 1:3(Male : 52 cases, Female : 157 cases), mean age was 42.2$\pm$9.7 years old, mean duration of varicosities was 12.2$\pm$9.7 years, and mean follow up was 14.8$\pm$6.1 months from July 2001. Most common symptom was leg pain(122 cases, 58.4%). Long standing job(44 cases), pregnancy(37 cases), and family history related to varicose vein came to 79.9% as the major predisposing or precipitating factors. Anatomic classifications of main lesion were GSV (greater saphenous vein,126 cases), LSV(lesser saphenous vein,18 cases), and reticular veins and telangiectasias(65 cases). Main treatments were stripping of GSV, stab avulsion, ligation of saphenofemoral junction, sclerotherapy, and conservative treatment. Comparing A group (stripping of GSV) with B group(sclerotherapy of GSV), A group had more complications than B group; however, A group had less recurrences than B group(p 0.05). Comparing C group(stab avulsion of LSV) with D group(sclerotherapy of LSV), there were 2 cases of recurrence in 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mplication and recurrence(p>0.05). Comparing B group(sclerotherapy of GSV) with E group(sclerotherapy of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lication; however, B group had more recurrences than E group. Post-stripping complications were ankle numbness and tingling(2 cases), ankle pain(2 cases),ankle swelling(2 cases), and wound pain(1 case). Postsclerotherapy complications were thrombophlebitis(1 case) and skin ulcer(1 case). Conclusion: 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 involving GSV had more recurrences than stripping for lesions involving GSV. Sclerotherapy for reticular vein and telangiectasia had less recurrences than sclerotherapy for lesion involving GSV. Sclerotherapy is a very convenient method without operation and admission, thus further research is demanded in case of varicose vein involving GSV.

      • KCI등재

        부동산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의 평가 기준 간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이연재,신승우,Lee, Yeon-Jae,Shin, Seung-Woo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3 No.3

        Purpose - This study surveyed real estate financial consumers and financial company staff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system to seek detailed improvement plans for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is applied. Findings - Both consumers and staff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the preventive measures in the main classification factors. Regarding the sub-classification factors of preventive measures, consumers emphasized the responsible management of investment staff and financial institutions; however, the staff stressed the principle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Regarding the elements of ex-post remedies, consumers answered that fast remedy w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At the same time, staff believed that punitive measures hinder free trading and investment activities. Regarding the sub-sub classification factors of prevention measures, the consumers value responsible management of staff and financial companies, while the staff tend to prefer the importance of the self-regulatory governa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nancial regulatory authorities should find a balance between preventive and ex-post components once focusing on preventative measures. Our paper is one of the first research findings in this field of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system in Korea.

      • KCI등재

        상황적 자기이해 및 정책인식이 취업한 지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연재,조은정,전유라,이미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ual self-understanding and policy perceptions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index (QEI) of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By using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nd wave, one sample t-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ly, the average QEI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58.05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10.97. Secondly,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QEI were age and employment status. The older the age, the lower the QEI. Also, non-regular workers showed lover QEI. Thirdly, among the sub-factors of contextual self-understanding and policy perceptions, self-esteem and employment services perception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the QEI. Conclusion: Continuous support measures are needed and effective employment related services or policies need to be actively implemented to improve the QEI for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상황적 자기이해와 정책인식이 고용의 질 수준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조사지적장애인 DB를 바탕으로 고용의 질 단일표본 t-검정,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인의 고용의 질 평균은 58.05점이었고, 표준편차는 10.97이었다. 둘째, 고용의 질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정규직 여부가 있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비정규직일수록 고용의 질이 낮아지는 모습이 나타났다. 셋째, 상황적 자기이해와 정책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아존중감과 고용서비스 인식은 고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지적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의 방안이 필요하며, 고용 현장에서 인식하는 실효성 있는 고용서비스 관련 정책이 적극적으로 실시 및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SCOPUSKCI등재

        자연 기흉의 개흉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연재,황산원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12

        자연기흉은 장측 늑막 기포의 공기 유출로 인해 폐가 허탈된 상태이다. 폐쇄식 흉강삽관술,흉강천자술 및 단순한 관찰이 효과적인 치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가 비효과적일 때, 개홉술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자연 기흉이 흉부외과적 영역에서 매우 흔하게 접하는 질환이기에, 개흉례의 수술 적응증에 따른 병리소견을 비교함이 향후 수술적응에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했다. 1988년부터 1996년까지 9년동안 마산삼성병원 흉부외과에 입원 치료한 기흉 환자 중에서 개흉술을 시행한 242례(236명)에 관한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녀비는 11.7:1로 남자가 현저히 우세했다. 2. 가장 빈발한 연령층은 10대와 20대이었다(10대=29.3%,20대=30.2%). 3.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과 호흡곤란이었다(흉통=41.7%,호흡곤란=36.8%). 4. 자연기흉의 원인은 원발성 자연기흉(86.4%)이 제일 많았고, 속발성 자연기흉으로는 결핵(9.1%),폐기종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3.7%) 등이 있었다. 5. 자연기흉의 발생위치는 우측 52.1% 좌측 45.4%, 양측 2.5%이었다. 6. 개흉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은 재발(44.2%), 지속적 공기유출(31.8%) 및 奴舅\ulcorner폐확장이었다(15.7%). 7. 수술수기는 후흉회측절개 및 정중흉골절개를 통한 개흉술을 주로 시행했다. 8. 수술시 기포가 가장 많았던 곳은 우상엽 첨구역(35.1%)와 좌상엽 후첨구역(41.3%)이었다. 9. 수술시 기포수는 대개 1~5개(88%)이었고, 수술 적응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0. 수술시 기포 크기는 대개 5cm(81%) 기하였으며, 수술적응증이 재발된 기흉이었던 경우는 작은 기포(1cm 이하)가 많았고, 지속적 공기유출 및 불완전 확장이었던 경우는 비교적 큰기포(5cm초과)가 많았다. 11, 늑막유착은 54.5%에서 있었고,수술적응증이 재발인 경우 64.1%, 지속적 공기 유출인 경우 11.9%,불완전 확장인 경우 47.4%이 었다 Spontaneous pneumothorax is the sudden collapse of a lung usually caused by air leakage from a subvisceral pleural blob. Responses to closed thoracostomy,thoracentesls and simple observation are usually prompt and effective. But in some cases, these are unsucceful and open thoracotomy is indicated. A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242 cases(236 patients) of open thoracotomy in spontaneous pneumoth rax who were admitted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Masan Samsung General Hospital during the past 9 years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x ratio was male predominance(M:F=11.7:1) 2. The most common age group were 2nd, 3rd decades(2nd=29.3%, 3rd=30.2%). 3.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s were chest pain and dyspnea(chest pain=41.7%. dryspnea= 36.8). 4. The etiologic factor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86.4%), tuberculosis(9.1%), COPD(3.7%) and pleuritis(0.8%). 5. The site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as 52.1% in right, 45.4% in left and 2.5% in both. 6. The common indications of open thoracotomy were recurrence(44.2%), persistent air leakage(31.8%) and inadequate expansion(15.7%). 7. The operative procedures were bullectomy or mechanical pleurodesis through posterolateral thoracotomy or median sternotomy. 8.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bulla or blob were apical segme t oi RUL(35.1%) and apicoposterior segment of LUL(41.3 %). 9. The number of bulla or blob were mainly 1 to 5(88%),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peration indications. 10. The size of bulla or bleb were mainly below 5cm(81%)and small bulla($\leq$1cm) were predominant in recurrence group but large bulla(>5cm)were predominant in persistent air leakage and inadequate expansion group. 11. The pleural adhesion was seen in 54.5%.(Recurrence group 64.1%,Persistent air leakage group 51.9%,Inadequate expansion group 47.4%).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원발성 자연기흉에서 2 mm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기포절제술

        이연재,박철,김한용,유병하,Lee, Yuen-Jae,Park, Cheul,Kim, Han-Yong,Yoo, Byu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3

        비디오흉강경을 통한 기포절제술이 술후 통증, 창상으로 인한 감염등의 합병증을 줄였고, 미관상의 효과와 더불어 짧은 입원기간으로 빠른 사회로의 복귀를 가져왔다. 1999년 11월 18일부터 2000년 4월 19일까지 6개월동안 수술적응증이 되는 20례의 원발성 자연기흉 환자를 개흉술로의 전환 없이 2mm 비디오 흉강경을 이요하여 기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창성은 단순 흉강삽관술을 시행하였을때와 거의 흡사했다. 원발성 자연기흉 환자에서는 병변이 상엽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늑막유착이 없거나 심하지 않아서 2mm비디오 흉강경으로도 기포절제술이 가능하게 되어 수술창상을 줄일수 있었다.

      • KCI등재
      • 내부경영평가 성과지표(KPI)의 중장기 경영목표 달성 기여도 분석모델 개발 :한국가스안전공사 구축사례

        이연재,김범식,이용철,탁송수,허덕회 한국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준정부기관 최초로 내부경영평가 성과지표(KPI)의 중장기 경영목표 달성 기여도 측정 프로세스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KPI의 경영목표 연계성과 비전달성에 미치는 각 KPI의 중요도를 명확히 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영목표 달성 우수 KPI의 확산·공유, 부진 KPI는 가중치 강화 등 환류조치로 CEO의 전략 실행력을 강화하였다. 즉, 기여도 분석모델을 최초로 적용한 2012년도 전체 KPI130개에 대한 중장기 경영목표 달성 기여도는 2020년 1.0목표대비 0.1119로 분석되었으며, 국민체감도 등 기여도 하위 20% KPI(26개)에 대해 2013년도 가중치 상향조정 등 후속조치를 시행하였다. 구축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과평가와 경영목표의 연계로 평가제도의 실효성 확보 -분석결과 하위 KPI에 대한 조정 등 환류로 경영목표 달성에 대한 실행력 확보-BSC 전산시스템과의 연계로 체계적이고 과학화된 경영목표 달성 시스템 구축

      • KCI등재

        북한의 이중적 담론전략, 집단적 혁신담론 이면의 개인적 욕망의 수용

        이연재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oexistence of contradictory discourse to emphasize material incentives and accept personal desires behind North Korea’s ideology-oriented collective innovation discours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discourses as a dual discourse strategy that drives the national goal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socio-economic structural, and economic strategies. Currently, North Korea is showing a distance from its past perception of material and personal desires as a threat to the regime. However it is not enough to accommodate personal desires. If leaders and systems do not show the ability to realize personal desires, trust in them will inevitably falter. In order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iscourse strategy,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more detail interests by each generation and class and the flow of collective and personal desires that are not bound together and the discourse strategies to cope with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