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화벤지코늄과 구연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살균 소독제 라미아-킬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에 관한 연구

        차춘남,이여은,손송이,유창열,박은기,최현주,김석,이후장,Cha, Chun-Nam,Lee, Yeo-Eun,Son, Song-Ee,Yoo, Chang-Yeol,Park, Eun-Kee,Choi, Hyun-Ju,Kim, Suk,Lee, Hu-Ja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6 No.4

        살균소독제, 라미아-킬(benzalkonium chloride(20%), citric acid(20%))에 대하여 랫드와 토끼를 이용하여 급성경구독 성과 피부 자극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랫드에 라미아-킬 2,000 mg/kg 농도를 최고농도로 하여 단회 투여 후, 14일간 관찰한 결과, 사망, 이상증상 및 체 중변화 등은 관찰되지 않아, 라미아-킬의 $LD_{50}$은 2,000 mg/kg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토끼의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찰과부위와 비찰과 부위에 여러 농도로 라미아-킬을 도포 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라미아-킬의 l차 자극 지수가 0.50으로 비자극성 물질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라미아-킬은 급성경구독성 시 안전한 물질이며, 피부 자극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This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Lamia-Kill$^{(R)}$, disinfectant, containing 20% benzalkonium chloride and 10% citric acid. In acute oral toxicity, Lamia-Kill$^{(R)}$ was orally administered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0 mg/kg body weight.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both sexes of SD rats,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 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Lamia-Kill$^{(R)}$ for 24 hr and observed for 3 days. All rats treated with Lamia-Kill$^{(R)}$ were induced no toxic signs in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body weights and gross findings. Also, the disinfectant did not induce any adverse reactions such as erythema and edema on intact skin sites for the most part rabbits, but on abraded skin sites, some rabbits showed very slight erythema on 24 hr after topical application.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Lamia-Kill$^{(R)}$ have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was classified as a practically non-irritating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5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 KCI등재

        활성슬러지에서의 미생물 성장에 대한 ZnO와 TiO₂ 나노물질의 영향

        하민정(Min Jeong Ha),이여은(Yeo Eun Lee),장암(Am Jang) 大韓環境工學會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4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의 경우 여러 요인(미생물 특성, 원수의 성상, 운전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관계를 갖고 운영하게 되는데 이런 공정에 나노입자의 유입은 분명 공정의 안정성 및 효율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내 하수 플랜트에서 활성슬러지를 채취하여 각각의 균주에 최적화된 배지에 배양시킨 뒤, 배양된 미생물이 각각 나노물질과 나노이온 상태일 때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활성슬러지에 존재하는 대표 미생물 중에 그람양성균인 Bacillus와 그람음성균인 Pseudomonas, E.coli를 대상 균주로 선택하여 ZnO, TiO₂ 두 가지 나노물질에 의한 독성 영향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농도의 나노물질에서 그람양성균인 Bacillus균의 평균 성장 저해율은 60% 이상이고, 그람음성균인 Pseudomonas의 경우는 평균 성장 저해율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노물질에 대한 독성은 그람양성균이 그람음성균보다 높은 것으로 보여지는데 그 이유는, 세포벽 구조, 세포벽 단백질 구성성분, 세포의 생리기능, 물질대사 등의 차이로 그람양성균이 나노물질에 훨씬 민감한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ZnO와 TiO₂ 나노물질의 농도가 같을 때 미생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ZnO가 평균적으로 3배 정도 높았는데 이것은 ZnO 나노물질의 독성이 TiO₂ 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Sewage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is affected by multiple factors such as microbial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sewage and operating conditions, and nanoparticles inflow may cause negative effects on sewage treatment system especially on the system stability and efficiency. It was studied to assess the toxic effects of nanoparticles on microorganism growth. The activated sludge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of university was cultured in the optimized medium for each strain. Bacillus (gram-positive), Pseudomonas and E.coli (gram-negative) in the activated sludge were selected as target microorganisms, and ZnO and TiO₂ were chosen as nanoparticles. For same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average growth inhibition rate of Bacillus was 60% or more, while that of Pseudomonas was less than 10%. The toxicity of nanoparticles was shown to be higher for gram-positive bacteria than gram-negative bacteria because of their differences on structure of cell wall, components of cell wall protein, physiology of cells and metabolism. ZnO affected 3 times more negative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s compared to TiO₂. It was assumed that, therefore, toxicity of ZnO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iO₂.

      • KCI등재

        RAW 264.7세포에 감염시킨 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한 나트륨염 복합조성물의 항균효과

        임정주 ( Jeong Ju Lim ),차춘남 ( Chun Nam Cha ),김대근 ( Dae Geun Kim ),이진주 ( Jin Ju Lee ),이여은 ( Yeo Eun Lee ),손송이 ( Song Ee Son ),김석 ( Suk Kim ),이후장 ( Hu Jang Lee ) 한국예방수의학회(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11 예방수의학회지 Vol.35 No.3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everal sodium salts and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Salmonella gallinarum (S. gallinarum) infection in murine derived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the infection assay of S. gallinarum in macrophage cells pretreated with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and the sodium salt mixture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S. gallinarum in all treated-groups tended to decrease in the process of time after treatment, but the group treated with sodium cyan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After 24 hours of treatment, the number of S. gallinarum in sodium azide (p<0.05), sodium chlorate (p<0.001) and the sodium salt mixture (p<0.001) treated-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nd that in the sodium salt mixture treated-group was decreased the higher than al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h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for S. gallinarum and may be beneficial on the control of intracellular pathog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