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골조시스템으로 설계된 복강판-모듈러 구조물의 반응수정계수에 관한 연구

        이어진,홍성걸 한국지진공학회 2011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복강판-모듈러 시스템과 같이 구조 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새로운 시스템의 반응수정계수를 산정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기본 개념은 구조성능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모델링 된 시스템의 비선형 정적 해석 곡선으로부터 세부 구성요소인 초과강도계수와 연성계수의 도출하고, 단자유도 시스템으로 간주하고 평가된 반응수정계수를 다자유도 동적 거동을 고려한 다자유도 밑면전단 수정계수로 수정하여 시스템의 최종적인 반응수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안한 절차에 따라 이중골조시스템으로 설계된 2층부터 5층까지의 복강판-모듈러 시스템에 대해 평가한 결과, 최종적인 반응수정계수는 5층(층고 4m기준)을 복강판-모듈러 시스템의 적용 가능한 층수의 상한으로 하여 4로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present study, a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for a lightweight steel panel-modular system which is not clarified in a current building code was proposed. As a component of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an over-strength factor and a ductility factor were drawn from the nonlinear static analysis curves of the systems modeled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tests. The final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was then computed by modifying the previous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with a MDOF (Multi-Degree-Of-Freedom) base shear modification factor considering the MDOF dynamic behaviors. As a result of computation for the structures designed as a dual frame system, ranging from 2-story to 5-story, the value of 4 was estimated as a final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for a seismic design, considering the value of 5 as an upper limit of the number of stories.

      • KCI등재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 - 마지막 만찬에서 예수의 식사로 -

        이어진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19세기 중반이후 계속되었던 초기교회 문서들의 발견 및 출간은 학자들로 하여금 초기교회의 예배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확장시켰다. 또한 예배회복운동과 교회일치운동은 성만찬 기원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일어나게 만들어준 시대적 배경이 되어주었다. 초기교회의 성만찬은 신학, 내용, 형식에 있어서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지니고 있었다. 성만찬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 다양성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뉘었다. 먼저 전통적 신학자들은 성만찬이 마지막 만찬에서 비롯되었다는 학문적 전제에 대한 강한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 확신은 그들로 하여금 공관복음서와 고린도전서 11장에 기록된 마지막 만찬 기사에서 성만찬의 원형을 찾도록 인도하였다. 그렇게 마련된 성만찬 원형의 틀에 부합하지 않는 초기교회의 식사 행위들에 대해 그들은 성만찬이 아닌 아가페, 이단적 성만찬, 또는 지역교회의 잘못 시행된 성만찬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최근 20여 년 동안 진행된 성만찬 기원에 대한 연구들은 초기교회 성만찬의 다양성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학문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들은 마지막 만찬의 표지들을 담고 있지 않은 초기교회의 식사 전통들이 성만찬이었으며, 그 기원은 예수의 식사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연구들과 최근 20여 년간 강력하게 제기된 성만찬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관점들을 정리하고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 논문은 여전히 마지막 만찬 일변도인 한국교회 성만찬 신학의 확장과 실제적 갱신을 모색하려 한다. The great discovery and publishment of the early church docu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enabled scholars to broaden their appreciation of the early church worship and observe more closely the origin of the eucharist. The liturgical movement and the ecumenical move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research on the studies of the origin of the eucharist. The eucharist of the early church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diversity in theology and practice. There have been two major trends in scholars studying the origin of the eucharist. Some scholars based on the traditional eucharistic understanding believed that the eucharist was originated from the last supper. That belief made them try to reconstruct the prototype of the eucharist through finding something in common in the so-called last supper stories (Matthew 26; Mark 14; Luke 22; 1 Corinthians 11). They recognized the early church meal practices which were inconsistent with the prototype as an agape, a heretic meal practice, or a eucharist conducted in a wrong way by a minor local church. However, in the past two decades the traditional eucharistic understanding has been challenged by a new approach. This new approach attempts to analyz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diversity of the eucharist of the early church. Based on the new approach, scholars prove that the varied meal practices of the early church, in spite of having few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last supper, were the eucharist and deeply related to the meal practices of Jesus. This article will study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the origin of the eucharist and new attempts in the past two decades to rethink the eucharistic diversity of the early church and the meals of Jesus. Lastly, this article will explore a way of renewing the eucharistic theology and practice of Korean church through the new perspective on the origin of the eucharist.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이어진,최수미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is study hypothesized and investigated that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 The data was collected from university located in 6 major cities(Busan, Seoul, Daejeon, Daegu, Jeonju, Gwangju) and online community. 789 people were taken as the analytical subjects among 333 male and 456 female.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acceptance, self-esteem,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second,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can be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psychotherapist can intervene more efficiently by promoting the client's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후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주요도시 6곳(부산, 서울, 대전, 대구, 전주, 광주)에 소재한 대학교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대학생을 유의표집으로 추출하여 789명(남 333명, 여 456명)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수용,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수용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완전매개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자기수용이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을 경유하여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