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문장 종결 억양에 관한 연구

        이쌍 문창어문학회 2019 문창어문논집 Vol.56 No.-

        本文主要針對韓語文章終結語調進行研究, 運用實驗音聲學方法對韓語敘述句, 疑問句, 命令句, 祈使句, 感歎句的終結語調的音長, 音域變化範圍, 傾斜度以及語調類型四個方面進行分析, 通過對實驗結果的統計檢驗和理論分析來得出韓語各類型文章終結語調方面的異同。 語調不僅承載著說話人的語言信息, 也承載著說話人的態度, 情感, 以及說話人的弦外之音言外之意, 並且通過語調可以判斷出說話人的個性特征, 語調在交流溝通中有著極其重要的作用。在日常對話中韓國人使用最頻繁的“해체”在陳述句, 疑問句, 命令句, 祈使句, 感歎句中都由“-아/어/여”結尾, 那麼“해체”在不同的文型中是否有差異, 對此本文通過對六位標準韓語母語說話者的語音進行分析, 對各文型韓語文章終結語調的特征進行了系統性的考察。 本文對韓語的敘述句, 疑問句, 命令句, 祈使句, 感歎句的語調進行客觀可視化的對比分析, 擺脫傳統的依靠聽覺判斷的對比分析方法, 藉助語音分析軟件Praat對語調的特征進行數值化轉換, 對語調數值進行對比, 并通過統計檢驗和理論分析對韓語進行具體細緻的系統化對比分析, 考察韓語各文型在終結語調方面的異同。 本文的研究課題與韓語教學息息相關, 對韓語語調的正規化制定有一定的貢獻。本文的局限性在于此研究成果是基於六位母語發音人的朗讀語音進行的, 在研究結果普遍化方面具有局限性, 在此課題今後的研究中, 将會針對更多的發音人的日常生活言語語料進行實驗, 更加系统全面的深入分析韩语語調的特征。

      • 한국어와 중국어의 활음 대조 연구

        이쌍 문창어문학회 2016 문창어문논집 Vol.53 No.-

        韓語與漢語的滑音對比研究 李 双 本文内容以韓語和漢語滑音比较为中心,重点比较韓語和漢語中滑音在全部母音 部分所占的比例,即以韓語和漢語滑音的长度为中心展开比较. 第一章绪论部分主要叙述了本文的研究目的,先行研究和研究方法. 第二章主要叙述了滑音的出现形式即二重母音的韓語和漢語的体系和特征,然 后进行比较分析. 第三章是本文的中心内容,主要叙述韓語和漢語滑音音声学方面的特征.本文主要 进行滑音的调音音声学和音響音声学的研究.在音響音声学部分主要采用音聲实验 的方式来阐述韓語和漢語滑音的特征.实验时考虑韓語和漢語滑音可以出现的所有 环境设计单词目录,并且单词主要以日常生活用語为主进行选择.参加实验的人员都 是20岁左右的釜山大学学生.录音及分析时用的机器是 Mac book pro 笔记本电脑 中下载的音聲分析软件 Praat ver.5.2.16. 得出实验结果后进行韓中滑音对比分析. 第四章主要以完善第三章为主进行叙述分析.第四章进行了韓語和漢語中滑音在 音韵论方面的比较.主要叙述了韓語和漢語滑音舆音节构造的关联性和舆滑音有关 的音韵现象. 最后第五章进行了本文的论旨整理并提出本文的研究结果和研究意义. 关键词: 滑音, 二重母音, 音声学, 调音音声学, 音響音声学, Praat, 音韵论, 音节 构造, 音韵现象.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쌍이(Ssang-Lee Lee),이수진(SuJin L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상하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업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3.47, p<.001),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상하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13.31, p<.001)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부적 상관(r=-.24,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68,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upo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lected 30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ttending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sex, it was shown that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did not differ by sex and girls indicate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howing high self-resilience indicated lower overall academic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47,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lower scores in th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comparis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received a high score in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31,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high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ince children’s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rrelation (r=-.24, p<.01) with academic stress in general, as self-resilience is higher, academic stress gets lower.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exhibit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68, p<.01)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o as self-resilience i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becomes bett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elf-resilience in the preventive dimension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als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elf-resilience.

      • KCI등재

        한ㆍ중 활음의 포먼트에 대한 연구

        이쌍(Li Shuang),권경근(Kwon Kyung-geu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6 No.-

        일반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의 모국어의 언어적인 특징은 학습하는 언어에 영향을 준다.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울 때에도 이러한 면이 나타난다.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를 배울 때 활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한국인 학습자는 중국어의 1음절을 2음절로 발음하기도 하며, 한국인의 중국어 이중모음의 발음은 중국인에게는 촉급하게 들리기도 한다. 이런 현상들은 모두 활음과 연관된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활음을 포먼트를 통해 분석ㆍ대조하였다. 활음은 안정된 조음 위치가 없기 때문에 활음의 특성은 전이구간에서 나타나는 포먼트의 변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전이구간의 F₁, F₂값의 변화를 통해 활음을 발음할 때 개구도와 혀의 움직임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활음의 길이와 F₁, F₂값과 기울기 등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활음을 대조하였고, 특히 유사한 이중모음에서 나타나는 활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learner s native tongue affect the language he or she learns. This is what happens when Chinese people learn Korean and when Koreans learn Chinese. Chinese learners tend to pronounce a glide like a single vowel when they learn Korean. In addition, Korean learners pronounce one Chinese syllable as two syllables, and the pronunciation of Korean Chinese diphthongs sounds urgent to the Chinese. These phenomena are all related to the glides. In this article, the glide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re analyzed and contrasted by means of formants. Because glides have no stable articulatory 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glides can be analyzed in detail through values of formants appearing in the transition section. The changes in the F1 and F2 values of the transition section mean changes in the movement of the tongue and the aperture when pronounced. The Korean and Chinese glides are contrasted through the length of the glides and the F1, F2 values and the formant slope,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glides of similar diphthongs a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문문 억양 대조 연구

        이쌍(Li Shuang),권경근(Kwon Kyung-Keu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8 No.-

        억양은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높이의 움직임으로 문법적 기능 및 화자의 태도 및 감정을 전달하는 기능을 지닌 초분절음적 자질 중의 하나이다. 억양에는 다양한 의미와 정보가 담겨 있어서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억양이 좋을수록 의사소통의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외국인 학습자의 발화는 단어 및 문법 등의 오류가 없다 할지라도 억양이 틀린 경우 한국어답지 않게 들리는 경우가 많다. 억양의 양상은 발화의 유형에 따라 언어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문문의 억양을 분석·대조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의문문과 중국어 모어 화자가 발화한 중국어 의문문의 억양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의문문의 억양에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를 음성 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한국어 의문문의 각 유형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의문문의 억양은 억양 패턴, 길이, 음역, 기울기 면에서 어떤 대조적인 특징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교수·학습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며 학습자의 의문문 억양 오류의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contrast the intonation of the Korean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We take Korean and Chinese native speakers as the test subjects, analyze their interrogative intonations, and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intonations of the Korean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This study uses the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to contrast and analyze the duration, the pitch range, the quarter-tone slope, and the intonation pattern of the intonations in Korean and Chinese interrogative sentences. Through the statistical test and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tona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re check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tones used in various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are different from those in Chinese. The intonational duration of interrogative sentence of Korean is shorter than that of Chinese, the pitch range of Korean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and the quarter-tone slope of Korean is larger than that of Chinese. The experimenal results have to do with the fact that Chinese is a tone language. When speaking Chinese, we must first ensure that the meaning of the words that make up the sentence should be unchanged by guaranteeing the original tone of each word. So the tone of the sentence cannot rise or fall too much. Otherwise,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ill be changed, so the pitch range and quarter-tone slope of the interrogative tones of Chinese are smaller than those of Korean. It seems that this result is helpful for the intonational education for Korean and Chinese learners. In the follow-up study, we try to show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result.

      • KCI등재

        프라트(Praat)를 활용한 한국어 연구 동향 분석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 분야를 대상으로-

        임현진(Lim Hyon-Jin),이쌍(Li Shuang),이지은(Lee Ji-Eu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이 연구는 한국어를 실험음성학적 방법으로 논의한 연구에서 프라트를 사용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69편을 대상으로 연도, 논문 유형, 연구 대상, 프라트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라트를 사용한 연구 중 한국어교육학이 14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어학 75편, 대조언어학 53편으로 나타났다. 논문 유형으로 보면 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이 156편, 박사학위논문이 24편이었고 학술지논문은 89편이었다. 연구 대상은 분절음 연구가 18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운율 연구가 83편, 혼합 연구가 6편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어 연구 분야에서 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 연구자들에 의한 프라트를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 프라트를 활용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동향을 살펴본 첫 시도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반적인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논의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which using Praat to provide basic data of acoustic phonetic study. In order to approach this, we selected total 269 articles in the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June 2019, And categorizing each text according to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function of Praat and yearly tren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studies using Praat, The most common studies we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nded by 141 studies, and followed by 75 Korean language studies. And to be last, there were 53 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In terms of research type, there were 156 master s thesis, 89 journals, and 24 doctoral dissertations. Also, For the research subject category, Segmental sound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with 180, and 83 studies were founded in Intonation and Prosodic units, and 6 studies founded in mixed studies. Recently, as interest in spoken language issue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the number of studies using Praat by individual researchers has increased.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look at experimental phonetic research trends using Praat at this point in time. To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identify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 and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discu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