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적합수혈후 초래된 지연성 용혈작용이라 추정한 1 례 보고

        이신우,김병권,이정웅,박무길 대한마취과학회 1975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8 No.1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may occu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onor bloods even when they have been shown compatible apparently by crossmatch tests. Such episodes present a diagnostic challenge and raise serious doubts about our understanding of blood group incompatibility. Fever, hemoglobinuria, oliguria and marked fall in hematocrit values developed in a patient 30 hours after she had received one unit of apparently compatible blood during oper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of routine serologic studies at the time of the transfusion reaction were normal. She died on 40 hours after operation.

      • 감자 育成種의 Callus培養 및 再分化植物體의 增殖에 미치는 植物Hormone의 영향

        이신우,최주호,이철호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2003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6 No.-

        본 연구는 순수 국내에서 육성한 감자품종들에 대하여 callus형성율 및 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인자들을 조사하여 품종별 최적 조건을 설정하고 유기된 신초들의 증식 및 뿌리형성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육성한 5품종(‘추백’, ‘남서’, ‘자심’, ‘조품’, ‘조원’)을 공시 재료로 하여 잎과 줄기 조직을 사용하여 배지내 호르몬 조성별 캘러스 생성율을 조사한 결과 캘러스 배양과 신초 유기 단계를 구분하여 호르몬 조성을 달리한 배지를 사용한 indirect재분화 방법을 적용한 경우, BA와 IAA를 포함한 M7배지에 비하여 NAA를 포함한 M6배지에서 평균 index가 잎조직은 3.0, 줄기조직은 4.0으로 높은 캘러스 형성율을 보였다. 2) 반면에 직접 신초를 유기하는 배지인 M1부터 M5배지의 경우, 옥신계통 호르몬을 포함한 M4와 M5배지가 보다 캘러스 형성율이 높았으며, 특히 NAA(0.01㎎/ℓ), Zeatin(2㎎/ℓ), GA3(0.1㎎/ℓ)을 포함한 M5배지에서, 잎조직보다는 줄기조직에서 가장 높은 캘러스 형성율(평균 index, 4.2)을 보였다. 3) 품종별로는 잎조직을 치상하였을 경우, ‘남서’(평균 index 3.2), 줄기조직을 치상하였을 경우, ‘조풍’(평균 index 3.6)이 높은 캘러스 형성율을 보여, 품종간, 치상조직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유기된 신초들은 MS기본배지에 Sucrose(30g/ℓ)와 GA3(0.1㎎/ℓ)를 포함한 액체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하였다. 5)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MS고체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대부분의 신초로부터 발근이 유도되었다. 그러나 호르몬을 첨가한 M1∼M7배지에 계속 배양한 경우 발근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A number of potato cultivars bred in korea were subjected to establish the best condition for the callus induction and multiplication of their regenerated plants. For indirect shoot induction through the callus, M4 and M5 media which contain auxin hormone induced calluses more vigorously and M5 medium containing NAA(0.1㎎/ℓ), zeatin(2㎎/ℓ), GA3(0.1㎎/ℓ) was identified to be the best hormonal composition for the callus induction(average index 4.2). Meanwhile, M6 and M7 media were designed for direct shoot induction, and M6 medium containing BA hormone(2.25㎎/ℓ) produced more callus (average index 4.0). In general, the more calluses were induced from the stem explants compare to leaf explants. Out of 5 different cultivars in this experiment, 'Namsuh'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allus induction(average index 3.2) from leaf explants and 'Jopung' from the stem explants(average index 3.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generated shoots from calluses were able to be multiplicated in the liquid medium containing GA3 prior to the rooting step and MS basic solid medium without any phyto-hormone was identified to be the best for the root induction of regenerated pla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당귀(Angelica spp.)의 기원분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현황 및 향후과제

        이신우,이수진,한은희,신의철,조계만,김윤희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4 No.1

        The dried root of Angelica species i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East Asia, particularly in Korea, China and Japan. Since the plant origin differs in these countries, they are often misused or adulterated in the commercial markets, resulting in distrust among the consumers. Enormous efforts have therefore been focused to distinguish the origin for the Angelica genus, by using morphological or cytogenetical analyses, and chemical markers based on biochemical analyses of secondary metabolites. DNA is considerably stable against different cultivation conditions, and to treatment and processing after harvesting of plants. Hence,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filed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based on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specific regions of DNA. However, there are several obstacles for application in the commercial markets, concerning the reproducibility, accuracy, sensitivity, and rapidity of these test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research achievements that help classify the origin of Angelica species, in particular, Angelica gigas Nakai. A. sinensis(oliv.) Diels, A. acutiloba Kitag., and A. acutiloba var. sugiyamae Hikino.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for practical applications.

      • KCI등재

        보령지역 충남 분지 중생대 초기 하조층의 퇴적상 분석

        이신우,정공수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1

        Facies analysis of the Late Triassic Hajo Formation, the lowest stratigraphic unit in the Chungnam Basin,shows that the lower part is composed mainly of breccias or conglomerates; the middle part, conglomerates; and the upper part, conglomerates and sandstones. The formation consists of 13 facies, which include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clast-supported massive breccia,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 or conglomerate, matrixsupported graded conglomerate, massive pebbly sandston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massive sandstone, graded sandstone, inversely graded sandstone, planar cross-bedded sandstone, trough cross-bedded sandstone, low angle crossbedded sandstone, and massive mudstone. These are grouped into 4 facies associations (FA). FA I consisted of clastsupported and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s presumably deposited in the talus or upper fan delta environment. FAⅡconsists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and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of cobble size and it seems to have been deposited in the upper fan delta environment. FAⅢ consisted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of pebble siz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may have been deposited in the middle fan delta environment. FAⅣ consists of massive pebbly sandston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and presumably was deposited in the lower fan delta environment. In general the Hajo Formation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at the talus/upper fan delta environment in early stage; it might have been deposited in the alternating environments of upper and middle fan delta in middle stage; and it seems to have been deposited in alternating environments of middle and lower fan delta in late stage. 충남 보령 지역 트라이아스기 후기 하조층은 충남분지의 최하위층으로서 하부는 주로 각력암이나 역암, 중부는역암, 상부는 역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하조층은 입자지지 수평층리 역암, 입자지지 균질 각력암, 기질지지균질 역암, 기질지지 점이층리 역암, 역질 사암, 평행 엽층리 사암, 균질 사암, 정상 점이층리 사암, 역전점이층리 사암,판상 사층리 사암, 곡상 사층리 사암, 저경사 사층리 사암 그리고 이암의 13개의 암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4개의 상조합을 이룬다. 상조합 1은 테일러스나 상부 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입자지지 및 기질지지 균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조합 II는 기질지지 균질 역암과 수평층리 입자지지 역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II은 기질지지 균질 역암, 평행엽층리 사암 및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중부선상지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V는 균질 역질 사암, 수평엽층리 사암과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하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하조층은 초기는 테일러스와 상부 선상지 삼각주 환경에서 퇴적되고, 중기는 상부 선상지 삼각주와 중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한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말기에는 중부 선상지 삼각주와 하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여가탈입(閭家奪入) 논의와 정책의 추이

        이신우 연세사학연구회 2024 學林 Vol.53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여가탈입에 대한 법률의 추이와 위반 사례, 그리고 정책의 완화 논의를 통해 조선후기 신분과 계층의 변동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에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가탈입률은 사대부가 피병 등을 목적으로 여염집을 임시로 빼앗아 들어가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령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정부의 여가탈입 정책은 현종대 이후 점차 강화되어 영조대에 이르면 양반의 여가탈입뿐 아니라 차입, 세입, 나아가 백문과 사문을 통한 매입을 전면적으로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은 탈입의 사례가 증가할 뿐 아니라 사대부들의 탈입 은폐 시도가 다양화됨에 따라 정부가 금령을 강화한 결과였다. 여가탈입에 대한 영조의 입장은 억강부약(抑强扶弱), 즉 강자를 누르고 약자를 돕는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여가탈입 금령의 강화와 처벌 사례의 증가는 역설적으로 여가탈입 사건에서 가해자로 인식되었던 양반층에 대한 영조와 집권층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처벌 대상자 가운데에는 힘과 신분을 이용해 여염집을 탈입한 권세가도 있었지만, 양반 신분내에서 분화한 잔반이나 향반과 더불어, 유학이라는 직역을 통해 양반으로 새롭게 직역을 상승시킨 서얼이나 중인 등 다양한 계층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은 여가탈입률의 적용과 시행에 있어 새로운 문제점을 던져주었다. 여가탈입률 처벌 대상에 포함된 양반층에 대한 동정론과 함께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가 등장한 것이다. 영조대 여가탈입규제 완화 논의는 사대부의 여가매입 허용의 기준을 양반 매입자의 신분내 계층에 두고 서얼과 중인에게 허용할 것인지, 매입자의 경제력에 두고 초가집에 한해 허용할 것인지로 좁혀졌다. 이러한 논의는 정조대에 이르러 초가집과 10칸 이하 기와집에 한해 허용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여가탈입 정책의 변용은 양반층의 팽창과 더불어 사회적 계층과 경제적 계급이 불일치하는 조선후기의 사회현실을 반영한 것이며, 양반과 상민간의 주택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를 더 이상 국가가 규제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section between social status, rural-urban migration, and housing crisis in Seoul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by examining legal cases, legislative changes, and policy discussions regarding the yangban’s illegal occupation of commoners’ houses, known as yŏga t’arip. The government’s policies on yŏga t’arip intensified during the reign of King Yŏngjo (1724~1776), where not only yangbans’unlawful occupation but also borrowing, leasing, and even acquiring through purchase were entirely prohibited. Yŏngjo’s fundamental stance on yŏga t’arip was grounded in the logic of “suppressing the powerful and supporting the weak”(ŏkkang puyak). Paradoxically, the reinforced law and increased penalties during his reign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yangban class. This was because the violators included not only those who abused power and status to unlawfully occupy commoners’ houses but also various subgroups within the yangban status, including those whose entry to the yangban class was newly allowed, such as sŏŏl, as well as falling yangbans whose economic power was not any better than commoners. As such, the discussion led to the decision to allow the yangban’s purchase of commoners’ houses that were thatched-roofed houses and tile-roofed houses under ten kans. This adaption in law resulted from the reflection on the changing socio-economic reality of late Chosŏn Korea as well as the active housing transitions between the yangban and commoners.

      • KCI등재
      • SCIEKCI등재

        반복배열된 토마토 phenylalanine ammonia-Iyase(p AL X1, PAL X2) 유전자의 구조해석

        이신우,여윤수,Lee, Shin-Woo,Yeo, Yun-So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9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2 No.1

        토마토의 genome내에는 적어도 5개 이상의 PAL유전자 좌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 등(1992)이 이미 genomic Southern blot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여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작한 genomic DNA libraries를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PAL유전자 이외에 약 15 kb 와 10 kb에 해당하는 큰 EcoRI 단편을 확보 할 수 있었다. 이들 단편을 BamHI, HindIII등 9종의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행한 결과 PAL X1의 경우는 모든 효소에 대하여 2개의 단편이 hybridization 되었으며, 특히 BamHI으로 절단하여 얻은 3개의 단편중 두 개는 PAL5 유전자의 exon 2 부위에서 취한 oligomer(18 mer)와 primer extension 반응이 진행되어서 약 200 bp의 PAL유전자와 아주 높은 상동성을 갖는 염기서열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PAL X1유전자는 2 copy의 유전자가 나란히 존재하거나 아니면 염색체 재배열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적어도 7개 이상의 PAL유전자 좌가 토마토 염색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observed the structure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gene (PAL) which is one of the best studied plant defense-related genes responding to pathogen infection by producing suberin, lignin, and phytoalexins. In tomato, at least 5 different genetic loci have been identified by genomic southern blot hybridization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partially cloned gene fragments (Lee et al. 1992). However, our results suggest that two other isoforms designated as PAL X1 and PAL X2 are located on the chromosome in tomato plant. Furthermore, the preliminary results obtained from southern blot hybridization analyses of subcloned fragment digested with several restriction endonuclease indicated that PAL X1 and PAL X2 clones contain at least two copies of PAL gene and partial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of each subcloned fragment with the same primer taken from known nucleotide sequence of PAL5 gene indicated that they are located side by side on the same chromoso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