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이신영(Lee, Shin Young),이재모(Lee, Jae Mo) 한국복지행정학회 2009 복지행정논총 Vol.19 No.2

        본 연구는 도시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실태, 취업욕구, 일자리 참여의향, 취업 결정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욕구는 취업노인과 미취업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종합하여 지방정부의 노인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4년 실시된‘대구광역시 노인생활실태 및 욕구조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 2,000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기술통계로는 취업노인과 미취업노인의 차이를 알기위해서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증이 사용되었으며, 미래의 취업 참여 결정요인을 알기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의 특성을 보면 남자이며, 연령이 낮고, 독거노인이나 노인부부인 경우, 학력이 높고 월소득이 낮고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취업 의향 결정요인은 성별, 연령, 월소득, 건강수준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남자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건강할 수록 미래에 일자리를 원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에서 노인취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대상, 급여, 전달체계, 재정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mployment needs and situation of the elderly and to present the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by local government. The respondents were 2,000 elderly residing in the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s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elderly were male, young-old, living alone or living with spouse, and having high education, low income, and good health condition. 2. Gender, age, income, and healt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future work particip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ly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 were presented.

      • KCI등재

        도입 초당옥수수 교잡종의 지역 적응성 및 농업 형질의 유전력 평가

        이신영,강종원,왕승현,박태춘,정종욱,소윤섭,Lee, Shin-Young,Kang, Jong-won,Wang, Seung-hyun,Park, Tai-choon,Chung, Jong-Wook,So, Yoon-Sup 한국작물학회 2021 한국작물학회지 Vol.66 No.2

        본 실험은 지역 적응성 시험을 통한 도입 초당옥수수 자원의 농업 형질을 조사하고 혼합 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조사 형질의 분산 구성요소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형질들의 유전력을 추정함으로써 신규 자원이 가진 육종재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초당 옥수수 품종 육종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육종 및 선발 방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1. 출웅기와 출사기를 제외한 모든 형질의 유전력은 낮게 추정되었는데 이러한 형질은 분산구성요소 중 유전분산이 낮게 추정되었다. 착수고율의 경우 품종과 지역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로 인해 낮은 유전분산이 추정된 것으로 보인다. 2. 측정 형질의 낮은 유전력 추정치는 시험 재료가 모두 최신 상업용 품종이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육종재료로서의 낮은 잠재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낮은 유전분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극복하고 선발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교잡종의 직접적인 자가 수정을 통한 자식 계통 개발을 진행하기 보다 intermating을 통한 유전자 재조합을 먼저 유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valuated newly introduced, commercial super sweet corn hybrids (Zea mays L.) for their potential as breeding materials. Agronomic traits were measured and variance components were obtained using a linear mixed model to estimate the heritability. The trials were carried out in 2018 at two locations (Haenam and Oksan in South Korea). All traits had low heritability, except for mid tasseling and silking days. These traits with low heritability mostly had low genetic variance component estimate. In case of ear height ratio, significant genotype by location appeared to be responsible for low genetic variance, which in turn led to low heritability. Low heritability estimates from the trials with commercial hybrids were perhaps because those hybrids were highly improved for commercial success. Hence, this does not necessarily point to them having poor potential as breeding materials. To overcome low heritability, significant genotype by environment interaction, and achieve high selection efficiency, intermating among hybrids is recommended to create new recombinants before inbred line development.

      • SCOPUSKCI등재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레토르트미반의 최적고온 살균조건

        이신영,천병익,이상규,Lee, Shin-Young,Chun, Byong-Ik,Lee, Sang-Kyu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두께가 서로 다른(5${\sim}$24mm) 레토르트 미반에 대하여 여러온도(110-$150^{\circ}C$)에서 최적품질보유가 가능한 고온살균조건을 컴퓨터 simulation에 의하여 구하였다. 최적조건은 12D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유지할 때 최소의 c-값과 최대의 thiamine retention을 갖는 건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계산결과는 고온일수록 시료두께의 영향이 매우 중요함을 보이면서 미반고온살균의 우수한 음질보유는 두께 10mm이하에서 나타난다. Optimal quality retentions of cooked rice packed in retort pouch were simulated by computer using various thicknesses of retort pouch (5 to 24mm) and process temperatures (110 to $150^{\circ}C$). Optimal conditions were chosen by the minimal c-values and maximal thiamine retention when good bacteriological lethality (12D processing) wa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calculations, it were shown that the better quality retentions of high tharmal processing can be obtained below pouch thickness of l0mm and that the thickness of pouch is critical factor at higher processing temperature.

      • SCOPUSKCI등재

        보리전분 수용액계의 리올로지적 연구

        이신영,최준복,천병익,Lee, Shin-Young,Choi, Jun-Bok,Chun, Byong-Ik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쌀보리와 겉보리전분의 희석 및 농후호화용액에 대한 리올로지적 성질을 여러 점도계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희석전분액(0.05${\sim}$0.3%)의 점도특성은 Huggins식에 따르는 고유점도 및 해수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었으며, 농후전분용액(1${\sim}$5%)의 리올로지적 거동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시간의존성과 의가소성의 성질이 현저히 강해지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지수법칙을 적용하여 구한 점조도지수 값은 지수함수식에 따르는 농도 및 은도의존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결과는 리올로지적 성질이 품종차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보리전분은 겉보리전분보다 더 큰 고유점도값을 나타내었으며, 틱소트로픽성질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점조도지수 값의 농도 및 온도의존성도 더 높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보리전분은 다른 전분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농도의존성과 높은 온도의존성을 갖는 특징을 보였다. The rheological studies on dilute and concentrate solutions of naked and covered barley starches were carried out with various viscosimeters. The rheology of dilute solutions (0.05-0.3%) were characterized by intrinsic viscosity and related parameter according to Huggins equation. Also, the rheology of the solutions of higher concentrations (1-5%) were characterized by time 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pseudoplastic behaviors. The values of consistency index according to the power equation were exponen tially dependent upo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could differ greatly due to difference in varieties. The naked barley starch exhibited higher intrinsic viscosity, more thixotropic behavior and more dependence of consistency index o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an the covered barley starch.

      • SCOPUSKCI등재

        특이 과거력이 없는 소아에서 발생한 Parvimonas micra 뇌농양 1예

        이신영,노태훈,정현주,Lee, Shin Young,Roh, Tae Hoon,Jung, Hyun Joo 대한소아감염학회 202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7 No.2

        Parvimonas micra is a non-spore-forming anaerobic gram-positive coccus and a known commensal of the skin, gums, vagina, and gastrointestinal tract. It is rarely associated with severe infections, which typically follow invasive procedures such as dental treatment. We describe a case of a brain abscess caused by P. micra in an immunocompetent 11-year-old boy without periodontal disease. He presented with a 7-day history of headaches and vomiting, and complained of diplopia that began on the day of presentation. He did not have any recent dental treatment or specific past medical history. A brain abscess in the left frontoparietal lobe was noted on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P. micra was cultured from brain abscess aspirate.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ical drainage and combined antibiotic therapy with ceftriaxone and metronidazole for 6 weeks.

      • KCI등재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신영 ( Lee¸ Shin 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정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심, 놀이 중심의 음악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의 숲유치원 유아 60명과 비교집단의 일반유치원 유아 55명, 총 115명이며,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은 8주간 총 16회기에 걸쳐 실행되었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였고,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의 검사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흥미의 하위요인인 음악적 즐거움, 음악적 호감도, 음악적 지속정, 음악적 적극성, 음악적 주의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비교집단의 결과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의미한다. 둘째,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상상력, 독창성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입증한다. 결론적으로 숲에서의 음악적 놀이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공간 및 놀이자료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또한, 유아․놀이 중심의 음악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o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orest kindergarten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5 general kindergarten inf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16 sessions for 8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as analyzed by covariate analysis(ANCOVA) using SPSS version 2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al interest. The musical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of musical interest such as musical enjoyment, musical preference, musical persistence, musical activism, and musical att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musical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al creativity. The musical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imagination, and original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usic play activities in the forest are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musical interest and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practice of music education centered on young children and play.

      • KCI등재

        신문기사를 통해본 한국 노인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일고찰

        이신영(Lee Shin You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icide trends and causes among the Korean elderly by analyzing 83 articles that daily newspapers have reported during 1990-2004.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ale elderly population had higher suicide rate than the female elderly population. 2. The elderly who were 75 years old and above had higher suicide rates than the elderly who were younger than 75 years old. 3. The elderly who lived with their adult children was far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than their counterparts who lived alone and who lived with their spouse. 4. The methods of fatal self harm were overdose 27.7%, hanging 32.5%, falling from a height 25.3%, and other methods(wounding, drowning) 14.5%. 5. The causes of suicide were psychological problems 27.7%, family problems 22.9%, health related problems 24.1 %, dementia 8.4%, and poverty 8.4%.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건강한 자연출산을 위한 스피닝베이비 기반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조산원 산모를 중심으로

        이신영(Lee, Shin-Young),정미연(Jeong Mi-Yeon),박현순(Park, Hyunsoo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임산부의 건강한 자연분만을 위한 스피닝베이비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조산원에서 자연분만을 희망하는 30~40대 36주차 임산부들을(n=14) 대상으로 4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빈도분석과 t-test를 통해 체성분, 분만자신감, 불안, 분만만족감 및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p<.001)과 BMI(p<.001)는 정상 범위 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자신감(p<.001)도 증가하였으며, 상태불안(p<.01)은 감소하였다. 분만통증은 잠재기가 2.93점, 활동기가 6.29점, 이행기가 8.79점으로 나타났고 분만소요시간은 전체 206.43분(초산모 268분, 경산모 172.22분)이었으며 신생아의 평균 체중은 3.4kg이었다. 산후 1분의 Apgar는 8.57점, 산후 5분의 Apgar는 9.57점이었고 태변착색은 2건(14.3%) 있었으며, 분만만족감는 53.93점으로 나타났다. 모든 대상자는 약물, 마취, 수술과 같은 침습적 내과적 치료 없이 NSVD(정상 자연 질식 분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분만자신감, 분만통증, 불안, 출산결과의 명백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spinning baby for healthy natural childbirth to Korean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Accordingly, a 4-week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36 weeks’ pregnant women (n=14) in their 30s and 40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gions who wished to give birth naturally in midwifery clinics. The effect on body composition, childbirth confidence, anxiety, childbirth satisfaction and childbirth results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ight (p<.001) and BMI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the normal range, childbirth confidence (p<.001) increased, and state anxiety (p<.01) decreased. In terms of labor pain, the latent phase scored 2.93 points, the active phase 6.29 points, and the transitional phase 8.79 points. Length of delivering labor was total 206.43 minutes(primipara 268 minutes, multipara 172.22 minutes) and the newborns average weight was 3.4 kg. Apgar at 1 minute after birth scored 8.57 points and Apgar at 5 minutes after birth scored 9.57 points, meconium-stained occurred in 2 cases (14.3%), in the case of childbirth satisfaction, the score was 53.93. In particular, all subjects were given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without invasive medical treatment such as drugs, anesthesia, or surgery. Through the exercis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clear effects on childbirth confidence, labor pain, anxiety, and childbirth results were confirmed,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of pregnant women and fet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