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인어 관사 lo의 역할과 쓰임에 관한 연구

        이승재 ( Lee¸ Seungja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1 스페인어문학 Vol.- No.1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iverse functions and uses of Spanish article lo. Spanish is the only Romance language which has preserved an neutral and unchangeable article, which is called 'article lo'. Lo can nominalize the adjectives, which, in this way, acquire a meaning equal or similar to that of the neuters of Latin. The nominalization with lo gives abstract character to the adjectives in competition with abstract nouns, etymologically and semantically correlatives.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an introduction and a conclusion.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difference between 'article lo'(lo esperado) and 'pronoun lo'(lo esperaba). And we examine a variety of uses of Spanish articles by dividing the second chapter into two sections: the comparison of the definite article with the indefinite one (el libro/un libro),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 lo. The third part, the analysis of different functions and uses of the article lo, is divided, in its turn, into three sections: 'lo + adjective'(lo noble=la nobleza; lo bueno=las cosas buenas; en lo alto=en la parte alta), 'lo + relative clause'(toma lo que quieras), and 'lo + adjective/adverb + que'(todos saben lo simpatica que es tu hermana). The fourth chapter addresses impersonal expressions with a sense of topicalization(lo imporante es (que)=es importante (que) ), and idiomatic phrases, which are structured with lo(a lo lejos); and shows how the article lo is interpreted into other languages like English, French and Italian. This investigation on lo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its diverse functions and also to the solu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천장 브래킷형 모듈러 시스템의 접합부 내진 성능과 설계 프로세스

        이승재,강창훈,박재성,곽의신,손수덕,Lee, Seungjae,Kang, Changhoon,Park, Jaeseong,Kwak, Euishin,Shon, Sudeok 한국공간구조학회 2020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20 No.3

        This paper examines the seismic performance and structural design of the ceiling bracket-type modular connection. The bracket-type system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loss of members and combines units using fitting steel plate, and it has been developed to be fit for medium-story and higher-story building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the cyclic loading test for the performance of the C-type and L-type brackets, and compared the results. The test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commercial FEA program. In addition, the structural design process for the bracket-type modular connection was presented. The two connection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were all found to secure the seismic performance level of the special moment steel frame. In the case of initial stiffness, the L-type bracket connection was found to be great, but in the case of the maximum moment or fully plastic moment, i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ading direction.

      • 전통 목조 건축 교육을 위한 AI CAD 도구 활용 연구 - 주심포 공포를 대상으로 -

        이승재(Lee, Seungjae),정다운(Jung, Da-Un),한명기(Han, Myongki),전해완(Chun, Hae-Wan),류성룡(Ryoo, Seong-Lyong)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1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AI-based CAD tools for teaching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focusing on Gong-po, a key component of vertical expansion and load support. Gong-po consists of several members that are challenging for students to understand in a short time. We developed AI-based CAD tools that enable students to identify Gong-po’s members in drawings and generate 2D and 3D CAD models of them. We also taught a four-week course at a university using these tools. A survey showed that AI-based CAD tools helped students understand Gong-po and its members better.

      • 딥러닝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텐서 어텐션 모듈

        이승재(Seungjae Lee),이수웅(Suwoong Lee),이주원(Juwon Lee),정다운(Da-Un Jung),유원영(Wonyoung Yoo)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딥러닝 모델을 위한 효율적인 채널 및 공간 정보 중요도 모듈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중요도는 특징맵 채널 또는 공간에서 계산되며, 주로 성능 및 연산량 등의 이유로 채널 중심 중요도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풀링 연산 및 1차 필터를 통해 중요도를 계산하여 연산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개선한다. 먼저, 특징맵에 대해서 채널 방향의 중요도를 반영하고, 공간 방향 중요도는 채널과 같은 방법으로 높이 및 너비 방향에 대해 각각 계산 후 곱연산을 통해 중요도를 반영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특징맵은 채널 및 공간에 대한 중요도를 학습하여 딥러닝 모델 성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제안된 방법은 CIFAR-10 및 ImageNet DB에서 MobileNetV2으로 평가하였고, 기존 채널 중요도 방법에 비해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수질예보를 위한 통합시스템 구축

        이승재 ( Seungjae Lee ),김진원 ( Jinwon Kim ),이한진 ( Hanjin Lee ),한지현 ( Jihyun Ha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현재 저수지와 댐의 수질관리를 위한 모형을 적용하고 수질을 예측하는 연구와 각각 모형의 장점을 취할 수 있도록 모형을 연동하는 등 하천과 저수지의 수질관리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질모델링은 대부분의 구축과 분석이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대한 입력자료와 점차 복잡해지는 모형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수질예측을 통한 수질예보를 수행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예측을 위하여 기상-유역-하천-댐저수지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수질 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수질통합예측시스템은 기상(K-PPM), 유역(HSPF), 하천(CE-QUAL-W2), 댐저수지(ELCOM-CAEDYM)에 대해 각각 최적의 모형을 적용하였고 기상-유역-하천과 기상-유역-댐저수지 모형이 서로 연계되어 수질을 예측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그 중 모의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ELCOM-CAEDYM 모형은 병렬화와 최적화를 통해 모의 시간을 최대 15배 이상 단축하였으며, 전용서버를 구축해 매일 자동으로 모형이 구동되고 결과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질모의는 매일5일간의 기상예측자료와 댐·보 운영자료를 바탕으로 수질예측이 수행되고 있으며, BOD, T-N, T-P, 수온, Chl-a, Geosmin, 2MIB항목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수질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유역모형에 자동보정프로그램인 PEST를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검·보정을 통해 예측치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있다. 매 시간단위마다 변화하는 입력자료는 DB를 구축하여 최신 입력자료가 실시간으로 자동입력 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여 입력자료 구축과 자료 확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통합수질예측시스템을 통해 수질사고에 대한 관리 및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점차 범위와 활용방안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韓國 最初의 辭典을 찾아서

        이승재(Lee SeungJae) 한국사전학회 2008 한국사전학 Vol.- No.11

        The dictionari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Zidian[字典], which explains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an individual character, and the other is Yinyi[音義], which interprets contextual information of a Chinese word within a given text. A Japanese commentary cited the Sutra of the Lotus(法華經) Yinyi which was written by SunGyeong[順憬] at the end of 7th century. If Yinyi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ictionary, SunGyeong's[順憬] Yinyi can be considered as the oldest dictionary in Korea. On the other hand, a commentary on the Sutra of Eternal Life(無量壽經) written by GyeongHeung[璟興] from the same time period contains hundreds of annotations to Chinese characters or words. It is demonstrated that his method of annotation is identical with that of Zidian or Yinyi, and that up to 50 percent of the annotations originated not from Chinese sources but from his own descrip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in a Japanese commentary he was listed along with Xuanying[玄應] who was the most famous author of Yiqiejing[一切經] Yinyi leads us to suppose that he must have written a kind of Yinyi himself.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the oldest dictionary in Korea was written by two monks, SunGyeong or GyeongHeung, at the end of 7th century.

      • 이미지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 추출 방법

        이승재(SeungJae Lee),김창화(ChangHw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이미지의 영역구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인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을 소개한다. 빠르고 정확한 이미지 검색엔진을 구현하기 위하여 질의의 결과가 될 이미지들은 전처리기에 의하여 모든 영역을 추출한 뒤 각각의 영역에 따른 특성(feature)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정확한 질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정확히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그 특성도 추출할 수 있는 전처리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정확도만을 중시하여 너무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그 또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경계값을 이용한 영역추출 방법은 이미지의 각 점에 대한 경계값(edge value)을 이용하여 그 경계값이 작은 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계값이 큰 점들을 병합해 가면서 인접한 영역간의 크기, 색상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영역을 구분해 낸다. 이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텍스쳐(texture)를 제외한 일반적인 영역뿐 아니라 텍스쳐 포함하는 영역도 추출할 수 있는 점과 빠른 처리 속도에 있다.

      • KCI등재

        한국 노인에서 식품불안정 (food insecurity)이 건강상태 및 식이섭취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승재(Lee, Seungjae),이경원(Lee, Kyung Won),오지은(Oh, Ji Eun),조미숙(Cho, Mi Sook)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6

        본 연구는 식품불안정이 일반적 특성,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량, 한국인영양섭취기준 (KDRIs) 대비 영양소 부족 섭취자의 비율, 식사의 질과 다양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제 5기 1차년도(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K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품불안정은 측정항목의 답변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인 food secure 군 (FS)과 mildely food insecure 군 (FI 1), moderately/severly food insecure 군 (FI 2)으로 분류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FS군은 33.1%를. 식품불안정군 (FI 1, FI 2)은 67%를 차지하여, 전체대상자의 약 2/3가 식품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식품불안정에 따른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식품 공급이 불안정 할수록 평균 연령이 높아졌으며,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은 낮아졌다. 식품불안정군에서 이혼과 사별을 포함하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배우자가 있는 경우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사별을 많이 경험하게 되는 노인에게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3)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을 분석하였는데, 식품불안정 정도가 심각해질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에서는 식품불안정이 신체적 건강보다는 정신적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인지, 우울 증상 경험, 자살 생각여부를 포함하는 정신적 건강에서 식품불안정 정도가 심각해질수록 그 위험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식품불안정은 우울 증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의 유지요인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식품불안정과 영양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에너지 비율과 영양소 섭취량, 한국인영양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부족 섭취자의 비율을 조사하였는데,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식품불안정군의 절대적인 섭취량이 적었고, 영양섭취기준보다 부족하게 섭취하는 자의 비율이 높았다. 5) 식품불안정군의 식사의 질과 식사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식사의 다양성을 조사한 총 식품 점수 (DVS)와 식품군 점수 (DDS)에서 식품안정군과 식품불안정군 간의 점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노인에게 식품불안정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악화시키고 식이섭취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in Korean elderly and to analyze the health status as well as food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food insecurity status. Methods: A total of 939 elderly subjects (over 65 years old) were used in our analysis from the fifth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The variabl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mental health, nutrient intake, rate of deficient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s compared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and food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he status of food insecurity. Food insecurity status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ed food security questionnaire on the dietary situation in the previous year, an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groups: food secure group, mildly food insecure group, and moderately/severely food insecure group. Results: The proportion of the food insecure group was approximately 67% and the food insecure group had lower income and educational status than the food secure group.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with worse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fter adjusting potentially confounding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food insecurity in Korean elderly significantly affected mental health (including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which exceeded stages of physical health. In addition, food insecurity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ow nutrient intake and high rate of deficient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compared with KDRIs, and a reduction of dietary quality and diversity was indicated in the food insecur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may affect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dietary intake of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Therefore, food in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