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몇 가지 과제

        이승왕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한국어 교육의 교육적 상황을 살펴본 후,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실현을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몇 가지 문제에 대 해서 논의하는 데 있다. 관찰과 질문을 통해서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다 문화 가정의 학습자는 교과 학습에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와 가정의 연계 교육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학습 언어 능력이 부족하여 학습 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사들의 경우에도 수업을 설계할 때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 다른 교과와는 달리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는 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습 언어를 가르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문제 상황을 겪고 있다. 국어과가 창 의성, 가치, 비판적 사고 등을 목표로 두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한국어과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학습을 위한 언어 능력 신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다문화 학습자는 이중언어 환경에 있다 는 점에서 언어 발달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겪을 수도 있다. 다문화 학습자 의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초등 한국어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명세적 목표 설정, 교사의 교육 기회 확대,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 교과서 보 조 자료의 개발과 같은 교육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 탐색

        이승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배경 학습자가 학교에서 겪게 되는 실제적인 어려움의 원인으로서의 언어 환경과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한 후,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다문화 배경 학습자 수의 증가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논의가 여전히 부족하다.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경우 학습 상황에서 언어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학습 한국어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첫째, 체계적 한국어 문법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와의 연계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에 초점화된 활동 구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to improve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academic Korean language proficiency. Most multi-cultural students have had language problems in schoollife. That means there is a necessity to examine their language environment in school, and then inspect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for them. Lastly, suggest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to learn better.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s, interest to Korean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However, multi-cultural students are lacking cognitive academic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ey are suffering from trouble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text.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n education needs to improve academic Korean language ability. Therefore the auther suggests these three ways to help them. First, systemize Korean grammar education, second, emphasize links to subjects and last, introduce acts of focused learning.

      • 초등학교 저학년 어휘 지도의 주안점

        이승왕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저학년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장 지도에 참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데 있다. 읽기에서는 새로운 어휘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쓰기에서는 중심 낱말을 생각하며 글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듣기에서는 정확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말하기에서는 명확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법과 문학에서는 바른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둘 수 있다. 또한,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명식 지도를 배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부분적으로 탐구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어휘의 개념을 좀 더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자와 교수자 변인을 고려하여 사용 상황에서 어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저학년에서부터 어휘 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국어생활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이승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8 No.-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n be called digital natives, their language use is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economy in communication,frequent use of profanities, slang words and insults, and blurred boundary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s these phenomena bring confusions to the Korean language system and have negative impacts on emotional develop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Korean language life. Thus,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Korean language life,and teachers’ perceptions found through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children use negative expressions such as profanities, slang words and insults frequen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children’s Korean language life. Third, there should be learning activities for right Korean language life. Fourth, there should be affective education related to right Korean language life.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teachers’perceptions as above, we reviewed existing problems and identified problems such as imbalance of research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imbalance among the subjects of research, and lack of discussion on specific improvement strateg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research o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conducted in different levels, and balanced research is requir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What is m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improvement plans in terms of goals,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경우 의사소통에있어서 경제성을 추구하고, 비속어, 은어, 욕설 사용이 빈번하며, 구어와 문어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어 체계에 혼란을 가져올뿐만 아니라 정서 발달에도 좋지 않다는 점에서 초등학생들의 바른 국어생활 개선을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사들의 초등학생 국어생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는데, 조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속어, 은어,욕설 등과 같은 부정적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둘째, 국어생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바른 국어생활에 대한 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바른 국어생활과 관련된 정의적 교육 필요하다. 교사 인식 조사를 근거로 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동안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문어와 구어에 대한 연구 불균형의 문제, 연구 대상에 대한 불균형의 문제, 구체적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 부족의 문제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에서 국어사용 현상에 대한 연구 이루어져야하며, 발달단계에 따른 균형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개선 방안으로서 목표, 내용, 방법에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 국어과 보조 교과서의 특징과 방향 모색

        이승왕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적 용되는 국어과 보조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 로 적용하기 위한 실제적 구성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어 교과서는 제1차에서부터 제4차에 이르기까지 ⌈국어⌋라는 명칭으로 편찬되었다가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언어의 영역별 기 능을 고려하여 분책되었다. 그러나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통 합적 언어 사용을 고려하여 주 교과서인 ⌈국어⌋와 보조 교과서인 ⌈국어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국어과에서 새롭게 적용되는 보조 교과서인 ⌈국 어 활동⌋은 차시 내 학습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 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등 교과 교육에서 보조 교과서는 학습량에 대 한 부담과 활용상의 문제로, 그동안 활용되던 도덕과, 사회과에서는 사라 졌으나 국어과에서는 보조 교과서로 새로이 편찬되었다. ⌈국어 활동⌋이 학습자의 국어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창의?인성 교육을 위 한 교과서, 통합적 국어 사용 활동을 위한 교과서, 체계적 분산 학습을 위 한 교과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 문법 교육의 특성과 가치 탐색

        이승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4 No.-

        Grammar education is implement in three parts; pre school, elementaryschool, middle school grade.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search in elementaryschool grade especially. So this study aims at looking into features and values ofelementary school grade grammar education. Two major problems are cause of lack and difficult to study grammar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grade. One is the absence of unique system torepresent elementary school grammar’s character. And the other is lack ofunderstanding to need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grade. But thetime of elementary school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leaner’s language ability,and this study research four factors related elementary grammar education;leaner, teacher, content, method; which have character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between the ages of 8 and 13. It’s goodtime to develop language ability and we can watch various sides of grammardevelopmen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al with various subjectscompared to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y are interested in integratedsubjects than serious systematic study of one subject. Third, useful contents inlife and attitude contents in each developmental stages are help moving to onesubject to another easily. And last, method factors are make up of interestingactivities than understanding knowledge system. Therefore it is suitable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based knowledge of development Korean language ability, possible time to acceptlanguage development systematically and good time to make interesting, rightattitude, true values. So four factors are important keys to overcome grammareducation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and this study will help to approach toelementary school grade grammar education efficientl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문법 교육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한 후, 교육적 가치를살펴봄으로써, 초등 교육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문법 교육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기초 논의 과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문법 교육 이론 영역은 발달 단계에 따라 유아, 초등, 중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거시적 관점에서 특성과 가치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부족하다. 또한, 초등 문법교육은 가치 인식 부족이라는 외적 문제와 독자적 체계 형성 부족이라는 내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학생과 교사, 교육 내용, 교육 방법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은 8세에서 13세라는 점에서 학년별 언어 발달 단계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년간간극에도 큰 차이가 나타난다. 교사의 경우에도 교과에 대한 통합적 활동과 학습자 흥미를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게 된다. 교육 내용은 중등 문법 교육의 체제와유사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내용 요소에 대한 심도 있는이해보다는 활동에 흥미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된다. 초등 문법 교육은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기저 지식 형성의 적기인 초등 학습자들에게 언어 발달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정의적 교육을 체계화하여 국어에 대한바른 태도를 형성하고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실천적 문법, 국어생활 개선, 정의적 교육의 실현이라는 초등 문법 교육에서 다루어야할 주안점으로서 그 가치를 탐색할 수 있다.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발음 교육 방법 - 변별적 자질의 탐구 학습을 중심으로

        이승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6 No.-

        이 연구의 목적은 발음 교육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기초 논의과정으로서, 발음 교육 의 흐름을 고찰하고 새로운 교실 상황에서 적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변별적 자질을 백워드 설계 템플릿에 적용함으로써 실제적 탐구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발음 교육은 교육과정이 변화하는 동안 모국어 화자를 위한 실용적 가치를 표방하며 교실 수업의 변화를 모색해왔다. 그럼에도 실제 학습 상황에서 언어적 지식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법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내용 선정, 내용 조직,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발음 교육은 발음 에 대한 핵심 개념을 통해 말소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탐구 의지를 기르는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변별적 자질을 적용하여 탐구 학습을 구성해 보면, 전통적인 방법으로서의 ‘지식-이해-적용’이 아니라 백워드(backward) 설계 템플릿 에 따라 성취 기준을 분석하고 발음 분류표를 작성한 후 ‘인식-분류-구조화’로 수업의 흐름으로 탐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교사는 핵심 질문을 통해 학습자가 영속적 인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탐구 학습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onunciation education by applying distinctive features to backward design. In the past, pronunciation instruction consisted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correcting of linguistic knowledge pronunciation. Along with the changes to the new curriculum, pronunciation instruction needs to be changed. After studying the concept and cont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we examined the changes to pronunciation instruction that are need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were suggested to enable inquiry learning on distinctive features. Distinctive features are crucial to classifying phonemes in a language or distinguishing opposing phonemes. This helps to raise the sensitivity of phonemic awareness for pronunciation instruction. Depending on the backward design module, differentiated qualities can be applied through ‘recognition - classification – structuring’.

      • KCI등재

        한글 자모 제시 순서에 대한 교육적 고찰

        이승왕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3 No.-

        이 연구는 한글 자모의 체계와 특성에 대하여 개괄한 후 학습 대상에 따른 자모의 제시 순서를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한글 자모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훈민정음 에서는 한글 자모의 순서를 별도로 정하지 않고 있는데, ‘ㄱ, ㄴ, ㄷ...’,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와 같은 순서는 훈몽자회 범례(凡例)에서 사용된 것이 현재까지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행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서는 자음을 먼저 제시하고, 모음을 제시하고 있는데 대체로 ‘기본 자모’, ‘복잡한 자모’의 순서로 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에서는 모음을 먼저 제시한 후 자음을 제시하였는데 자음의 경우 다양한 순서로 제시되어 있다. 이처럼 국어·한국어 교재에서 한글 자모의 순서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순서를 위한 원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통성’, ‘체계성’, ‘용이성’이라는 한글 자모의 제시 순서를 위한 원리를 설정하여 이에 따라 학습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자음자의 경우 전통성(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체계성(/ㄱ, ㅋ, ㄲ/, /ㄴ, ㄷ, ㅌ, ㄸ/, /ㅁ, ㅂ, ㅍ, ㅃ/, /ㅅ, ㅆ/, /ㅈ, ㅊ, ㅉ/, /ㅇ, ㅎ/), 용이성(/ㅂ, ㅍ, ㅃ/, /ㄷ, ㅌ, ㄸ/, /ㅅ, ㅆ/, /ㅈ, ㅊ, ㅉ/, /ㄱ, ㅋ, ㄲ/, /ㅁ, ㄴ, ㅇ/, /ㄹ/, /ㅎ/), 용이성(/ㅂ, ㄷ, ㄱ/, /ㅅ, ㅈ/, /ㅍ, ㅌ, ㅋ, ㅊ, ㅎ/, /ㅃ, ㄸ, ㄲ, ㅆ, ㅉ/, /ㅁ, ㄴ, ㅇ/, /ㄹ/)으로 제시할 수 있고, 모음자의 경우 전통성(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 가획모음), 체계성(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ㅟ, ㅚ → 이중모음), 용이성(/ㅣ/, /ㅓ, ㅏ/, /ㅕ, ㅑ/, /ㅡ/, /ㅗ, ㅜ/, /ㅛ, ㅠ/, 복잡한 모음 )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