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통사 텍스트 포맷팅을 활용한 학습이 고등학생의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승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6

        This study adopted a Visual-Syntactic Text Formatting (VSTF) program in English reading and writing classes as a strategic learn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STF learning method in improving students’ English language ability and to ultimately define ways of enhancing their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program transforms a linear text into meaningful units and presents it in a visual format to help learners’ language processing. A total of 52 student at a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test,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two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with a VSTF text and the control group used the existing textbook.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used VSTF were able to understand the text in meaningful units and show improvements in reading and writing. Second, their learning attitude toward English did not change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more than 90% of the students in the VSTF group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the program by answering that it was interesting and helpful for their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f a VSTF application plan combined with ICT for various learners. 본 연구는 읽기·쓰기의 전략적인 학습 방법으로 시각-통사 텍스트 포맷팅 프로그램(VSTF)을 수업에 활용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학습 방식이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방안을 찾는 데 있다. 이 프로그램은 선형적 텍스트를 의미 단위로 나누어서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제시해서 학습자의 언어 처리 과정을 도와주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인문계 고등학생 5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2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은 VSTF로 변형된 교과서 본문을 이용해 학습을 했고, 통제집단 학생들은 기존의 교과서를 이용했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형된 텍스트로 학습을 한 학생은 의미 단위로 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고, 읽기와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단기간에 학생들의 영어학습 자세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90% 이상이 프로그램 활용이 흥미롭고 읽기와 쓰기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ICT와 결합된 VSTF 활용방안과 관련하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ktionsart, progressive aspect and underspecification

        이승아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연구 Vol.32 No.1

        This paper focuses on aspectual progressives in English and accounts for the interaction of the progressive aspect and Aktionsart by treating verbs as lexically underspecified for stativity and punctuality. Since Vendler (1957), it has largely been assumed that state and achievement verbs are incompatible with progressives (e.g. *I am knowing the answer and *I am recognising a mistake). Yet, according to Dowty (1972, 1979), Mourelatos (1978), Bach (1981) and Biber et al. (1999), among others, there are progressives that are resistant to this line of analysis (e.g. We are living in London and John is dying). The present account reconciles these positions by proposing that verbs are partially underspecified for aspectual type in the lexicon. More specifically, the proposed account follows Van Valin & LaPolla (1997) in treating Vendler’s (1957) verb classes in terms of bundles of binary-valued features, namely [±static], [±telic] and [±punctual]. However, unlike in Van Valin & LaPolla (1997), these features are not fully specified in lexical entries. States are lexically unspecified for the distinctive feature [static]. The feature [punctual], which characterises achievements, likewise remains unspecified in the lexicon. The key idea of the present account is that the value of any unspecified feature F is resolved once in a given context by the use of certain adverbials and so on. By invoking the notion of ‘under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counterexamples to Vendler’s (1957) claims.

      • KCI등재

        번안소설의 텍스트 변화 과정 연구 -이상협의 「해왕성」을 중심으로-

        이승아,노상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6 No.-

        Translation is not just changing text from a source language into a target language. A translator takes a role to move linguistic and social virtues in one society to another society, as a cultural messenger. Translation is affected by politics and social environments of its place and time, so it reflects virtues of its society. This paper researches this topic by reviewing the adaption process of Hae-Wang-Seong. As Hae-Wang-Seong adapted Gan-Kutsu-Ou, Gan-Kutsu-Ou adapted The Count of Monte-Cristo. Therefore, the adaption process of that time can be revealed by researching them. Kuroiwa Ruiko kept the stage France in his novel, as the original novel did. But he edited text while keeping the original plot, and renamed characters in Japanese names. In contrast, Yi Sang-Heyop changed the stage to China while keeping the original plot, and renamed characters in Chinese names. However, both of them kept the original plot. Korean literature history researchers consider widely that Mu-Jeong, which is regarded as the first Korean modern novel, is developed from Shinsoseol. Howev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dapted novels took a role in providing plots and forms of novel genre, so Mu-Jeong could be developed.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prove the role of adapted novels, which is under estimated. 번역이란 단순히 출발어를 도착어로 옮기는 작업이 아니라, 한 사회의 언어・문화적 가치를 다른 사회로 옮기는 역할을 맡고 있다. 번역은 시대와 장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그대로 반영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이상협의 「해왕성」의 번안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협의 「해왕성」이 쿠로이와 루이코우(黒岩涙香)의 「암굴왕」을 번안하였듯이, 쿠로이와 루이코우의 「암굴왕」은 뒤마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당대의 상황에 맞는 번안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쿠로이와 루이코우는 소설의 무대는 원작 그대로인 프랑스로 설정하였으나, 원작의 플롯을 살리는 한에서 편집을 감행하였고 중심인물의 이름 역시 일본식으로 바꾸었다. 그에 비해 이상협은 「암굴왕」의 플롯은 최대한 그대로 두었으나, 소설의 배경을 중국으로 바꾸었고 등장인물의 이름 역시 그에 맞추어 변화시켰다. 그러나 「암굴왕」과 「해왕성」 모두 원작의 플롯을 그대로 이어온 것은 동일하다. 지금까지 한국문학사는 신소설에서 한국근대소설의 효시로 여겨지는 「무정」으로 발전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 사이에 번안소설이 소설이라는 장르의 플롯과 구성의 면에서 일정한 역할을 맡고 있었기에, 「무정」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근대소설사에서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번안소설의 역할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 UML을 이용한 3-Tier 환경에서의 p2p 시스템 설계

        이승아,권영직 한국의사결정학회 2002 경영과학연구 Vol.11 No.-

        인터넷의 발전은 사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요구를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으며, 고급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료에 대한 부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각자가 보유한 정보들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오픈 시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네티즌들이 서로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대방이 가진 정보들을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는 p2p(peer to peer) 시스템인 「p2p-3」을 제안하게 되었다. 「p2p-3」시스템은 객체지향설계 기법인 UML을 이용하여 개발함으로써 시스템 구현의 효율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p2p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tier 분산시스템을 이용하였다.

      • KCI등재

        대구시민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승아,임규채,이재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8 대구경북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rgeting Daegu citizen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were largely divided into economic factors, satisfaction, civic consciousness, and leisure activ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cluster analysis on the divided items, they were classified to four clusters depending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included satisfaction of welfare provision, satisfaction of cultural art facilities, satisfaction of regional festivals, average cost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and civic pride. Especially, the variables most largely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turned out to be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y,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civic pride.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household income, support leisure activity for the elderly, and increase civic pride for young people.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strategies to prevent out migration in Daegu and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 for Daegu citizens. 이 연구는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경제요인, 만족도, 시민의식, 여가활동으로 대별하였다. 분류된 항목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각 군집은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특징적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시책만족도, 문화예술시설만족도, 지역축제만족도, 평균여가활동비용, 여가활동만족도, 의료기관서비스만족도, 시민자부심의 변수가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정주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여가활동만족도와 월평균가구소득, 대구시민 자부심으로 나타났다. 정주의식 향상을 위해 가구소득 향상과 노인 인구에 대해서는 여가활동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젊은 인구에 대해서는 시민 자부심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대구시 인구 유출을 막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의 정주의식을 향상시키는 전략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