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을 통한 의류 구매시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이승아,정성지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2000 디자인포럼21 Vol.3 No.-

        본 논문은 인터넷 의류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높은 의류 제품 유형과 소비자의 특성(연령, 성별) 및 의류 제품의 특성(상표인지도, 유행성, 맞음새)에 따른 인터넷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인터넷 쇼핑몰을 구성하는 의류 업체들에게 의류 상품 기획 시 실용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지역의 네티즌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얻었고,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 구매의도 및 구매경험, 그리고 의류 제품 특성에 따른 구매의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인터넷 소비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류 상품 아이템간의 구매의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Tukey Test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판매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태도를 알 수 있었고 특히 30대가 유력한 소비자 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캐주얼 의류, 스포츠 웨어, 상하의 단품류 순으로 편하게 입을 수 있고 사이즈에 크게 구애 받지 않는 의류, 유행을 크게 따르지 않는 basic한 상품, 약간 비싸더라도 잘 알려진 상표의 상품에 높은 구매의도를 나타내어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유통망에 접근하는 의류 소비자에게 무리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아이템을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ntion of purchase of shoppers through interne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ers and apparel goods. For the measurement,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hoppers and apparel goods and risk on buying apparel through internet.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Tukey`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Women ha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apparel through internet than men. And when consumers purchased goods through internet, they preferred famous or well-known brands, basic items, and free-size items.

      • 유기성 첨가물이 다공성 지오폴리머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승아,이지환,박재석,정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지오폴리머는 SiO<sub>2</sub>, Al<sub>2</sub>O<sub>3</sub> 등의 무기물이 알칼리 조건에서 용해된 다음 중합반응으로 결합되는 무기성 재료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적은 친환경재료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고성능 재료이다. 고강도 및 조기강도 발현, 낮은 투수성 등의 다양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입경이 매우 작은 무기성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공성 구조를 갖기가 어렵고, 경량화에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기물을 첨가하여 지오폴리머를 제조한 다음 열분해 공정을 통해 유기물을 제거하여 저비중의 다공성 지오폴리머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지오폴리머는 메타카올린과 플라이애쉬를 사용하였으며, 배합조건은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최적 조건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유기물은 톱밥, 왕겨, 셀룰로오스, 분말활성탄이며, 첨가량은 중량기준으로 10~20%로 하였다. 시편은 크기 5×5×5㎤로 9개씩 제조하였으며, 24시간 상온 양생 후 탈형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고온으로 양생하였다. 고온 양생 후에는 상온 양생을 실시하였으며, 7일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열분해는 시편을 먼저 105℃에서 24시간 건조 후 500℃에서 24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첨가한 유기물의 크기는 톱밥 및 왕겨 125㎛~1㎜, 셀룰로오스 20~100㎛, 분말활성탄 4㎛~60㎛로 하였다. 톱밥, 셀룰로오스, 왕겨 및 분말활성탄의 열분해 특성을 TGA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 승온 속도에 따라 상이 하지만 톱밥, 왕겨, 셀룰로오스의 경우 500℃이전에 초기 중량의 80~90% 이상, 분말활성탄은 대략 600℃에서 80%가량 감소되어 대부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분해 전 시편의 압축강도는 분말활성탄의 경우(첨가량에 관계없이 공시체의 압축강도 85.0Mpa와 비슷하거나 높음)를 제외하고는 유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즉, 톱밥, 셀룰로오스를 10% 첨가한 경우 열분해 전 시편의 압축강도는 각각 45.5Mpa, 48.0Mpa이었으며, 첨가량이 20%가 되면 압축강도는 25~50% 정도 감소하였다. 열분해 후 시편의 압축강도도 톱밥, 왕겨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20% 첨가한 경우 각각 14.1Mpa, 9.6Mpa로 나타났다. 셀룰로오스는 첨가량별 강도 차이가 미미하였다. 분말활성탄은 첨가량에 관계없이 45.0Mpa 이상으로 공시체의 평균 압축강도 약 38.0MPa 보다 더 높았다. 열분해 후 겉보기 밀도를 비교한 결과 톱밥·셀룰로오스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밀도가 감소하여 약 0.95g/㎤ 까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왕겨, 분말활성탄의 경우 첨가량에 관계없이 약 1.2g/㎤로 나타났다. 열 분해 전·후 공극 생성 특성은 SEM 및 Porosimeter로 확인하였다. 압축강도와 겉보기 밀도 자료를 비교하였을 때, 한 가지 유기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여러 유기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높은 강도와 다양한 크기의 공 극을 만들 수 있어 밀도 조정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Non-aspectual Uses of the English Progressive

        이승아 한국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 영문학 Vol.57 No.6

        While there is a high degree of convergence in linguistics in the treatment of the progressive as an aspect, the English progressive is unusually wide in its range of uses. This paper highlights the distinction between aspectual and non-aspectual progressives. The primary function of the progressive is to present a situation as ongoing, and this strictly aspectual use of the progressive is referred to as ‘aspectual progressive’. On the other hand, the uses of the English progressive that are not, in a strict sense, aspectual is called ‘non-aspectual progressive’. There are at least three basic uses of non-aspectual progressives. The first is the so-called progressive futurate (e.g., John is leaving tomorrow). In English, the present progressive can be used to express future time reference. This use of the progressive is regarded as a non-aspectual one, on the grounds that its meaning cannot be accounted for in terms of ongoingness. The second use is the habitual progressive (e.g., She’s smoking a lot these days). Given that the habitual is an aspect, it is natural that the habitual progressive is not an aspectual progressive because one cannot view a situation in two different ways. In addition, ongoingness is not a defining property of the habitual progressive but is only a contingent or subsidiary property. The real essence of the habitual progressive is habituality. The third use of non-aspectual progressives is the experiential or interpretative progressive (e.g., You’re imagining things), whose main characteristic is the subjectivity of the speaker’s interpretation. The experiential or interpretative progressive does not serve a primarily aspectual function because the meaning of ongoingness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 of the utterance.

      • UML을 이용한 3-Tier 환경에서의 p2p 시스템 설계

        이승아,권영직 한국의사결정학회 2002 경영과학연구 Vol.11 No.-

        인터넷의 발전은 사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요구를 급속히 증가시키고 있으며, 고급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료에 대한 부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각자가 보유한 정보들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오픈 시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네티즌들이 서로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대방이 가진 정보들을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는 p2p(peer to peer) 시스템인 「p2p-3」을 제안하게 되었다. 「p2p-3」시스템은 객체지향설계 기법인 UML을 이용하여 개발함으로써 시스템 구현의 효율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p2p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tier 분산시스템을 이용하였다.

      • 자질계층이론에서의 [lateral]의 위치

        이승아 이화영어학회 1996 영어학 연구 Vol.- No.1

        There are two competing views concerning the position of the feature [lateral] in the feature geometry: the non-coronal hypothesis (Sagey (1986)) and the coronal hypothesis (Levin (1988), McCarthy (198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argument for the coronal hypothesis from Korean lateral assimilation. It is only under the coronal hypothesis that we can provide an adequate account for why lateral assimilation in Korean targets only the coronal nasal, without having recourse to such unwanted principles (or conditions) as Kiparsky's (1985) Structure Preservation Principle or the Well-formedness Condition.

      • KCI등재

        Comprehension of Count/Mass Shifts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FL Learners

        이승아 한국응용언어학회 2014 응용 언어학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count/mass shifts in English by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Korean EFL learners. Based onthe proposals made by Bach (1986) and Corbett (2000) for native speakers, the target materials of the present experiment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 mass-to-count shifts involving inanimate nouns (MCI, e.g., The waiter brought three beers to the table), (ii) count-to-mass shifts involving inanimate nouns (CMI, e.g., There is apple in the salad), (iii) mass-to-count shifts involving animate nouns (MCA, e.g., I just bought two whole chickens from the market), and (iv) count-to-mass shifts involving animate nouns (CMA, e.g., After I ran over the cat with our car, there was cat all over the road).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groups—native speakers, advanced learner, and intermediate learners—each of which consisted of 15 subj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type and group—in the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count/mass shifts. However, neither Bach's nor Corbett's hypotheses were borne out by the present study. Contrary to these hypotheses, the MCA type was found to be the easiest for all three groups. Some of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findings are included.

      • KCI등재

        Gerundive versus Participial Complements

        이승아 한국언어학회 2006 언어 Vol.31 No.4

        Lee, Seung-Ah. 2006. Gerundive versus Participial Complement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1-4, 601-635. This paper argues that ing complements in English are not of a single homogenous type, and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tell one type from another. A number of distributional diagnostics (e.g. passivisation) distinguish gerundive complements, which are noun phrases headed by a verbal ing form, from participial complements, which are verb phrases headed by a verbal ing form. Aspectual verb constructions provide a particularly clear case of this demarcation, as the ing complements of aspectual verbs (e.g. begin, continue, finish) are verb phrases, not noun phrases. The analysi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lements lies not in the ing form itself but in the constructions into which it enters supports a construction-based approach to grammatical description. (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