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 공통 과정 국어 교과서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 연구

        이숙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적 듣기의 본질과 교육 원리에 비추어 국민 공통 과정인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Ⅰ’교과서의 공감적 듣기 단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 해보는 데 있다. ‘우리’보다 ‘나’를 중시하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팽배해지는 오늘날 상 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공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감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관점에서 경청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화법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중등교과서에 실린 공감적 듣기 단원 은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공감적 듣 기의 본질에 비추어 교육 원리를 태도, 지식, 수행으로 설정하여 중등교과 서를 분석해보았다. 중등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감적 듣기의 본질에 따른 지식이 학습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간략 하게 제시되어 있다. 둘째, 공감적 듣기 단원 구성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낮다. 학습 내용과 학 습 활동이 내용과 수행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수행을 할 수 있게끔 그 구성이 짜임새 있게 연계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 하고 적절한 단원 구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셋째, 화법교육은 삶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를 이끌어야 하는데 단원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기술적이고 경직된 차원의 활동으로 그쳤다. 넷째, 공감적 듣기는 지식의 습득과 수행에 앞서 태도가 함양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 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공감적 화법을 다루는 단원에서 듣기보다 말하기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을 바탕으 로 공감적 듣기의 교육 원리에 비추어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 고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반영한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중등교과서를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in the speech education, to analyz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e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I’ for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were the Korean common subject in perspective of sympathetic listening’s nature and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se days when the self-centered tendency valuing ‘me’ more than ‘us’ is overflowing, there is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aring,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thinking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 speech education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enabling one to listen to the other’s opinion from his/her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him/her. Unlik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 unit of sympathetic listening in middle school textbook does not fully refect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sympathetic listening’s educational principles as the attitude, the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with follow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ll five problems were commonly reveal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e knowledge of sympathetic listening following its nature was not fully contained in the learning content or was briefly suggested in some abstract shapes. Second, the systemicity and the connectedness in composing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were low. Though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have systematically been connected in order that learners c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uld perform relevant tasks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and performance, but middle school textbooks could not suitably compos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Third, though the speech education should lead learners as the education to be specifically used in life, but the learning activities in its unit did not fully reflect a learner’s life context and remained in the technical, stiff activity level. Fourth, for the sympathetic listening, its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the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its knowledge, but th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attitude for sympathetic listening. Fifth,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s dealing sympathetic speech mainly dealt the speech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roblems analyzed so,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reflecting from its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templated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s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speech education, and set its educational principles reflect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concerning the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효과적인 서민금융상품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이해당사자 집단심층면접(FGI)을 중심으로

        이숙현,석희정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1 GRI 연구논총 Vol.23 No.4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icro-credit policy and the assetbuilding program. In order to retract a practical solution, this study went over three focus-groupinterviews. The professionals and clients from various micro-credit institutions participated focusgroup interviews in this study. This study adapted the four-step methods of analyzing focusgroup interviews suggested by Krueger(1998). Therefore, this research formed the questionnaire together with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from Kyunggi-welfare-foundation before proceeding each focus-group-interviews. Secondly, we transcribed the interviews and requested additional information if necessary, to the participants of focus-group-interviews. Thirdly,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went over the in-group discussion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ocus-group-interviews. Lastly, we analyzed and summarized data using ‘open-coding’ methods suggested by Strauss&Corbin(1998). The research concludes by suggesting effective micro-creditpolicies based on the opinions given by the professionals and clients from micro-credit policy institutions 본 연구는 서민금융정책 개선 방향에 대한 현실적인 논의를 통해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서민금융정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현실적인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하여 경기도 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총 3회의 표적집단심층면접(FGI)을 진행하였다. FGI는 Krueger(1998)가 제시한 4단계 과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즉,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회의를 바탕으로, 사전에 개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반구조화 면담방식 형태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2단계에서는 녹취한 FGI를 전사한 후 서면으로 보완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실무자와 연구진들이FGI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서민금융정책 개발 방안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4단계에서 전사한 FGI 진술 내용을 Strauss와 Corbin(1998)의 개방 코딩 형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서민금융 종사자와 이용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한현실적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서민금융사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 ‘기러기 아빠’의 스트레스와 대처전략

        이숙현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4 젠더연구 Vol.- No.19

        본 연구에서는 조기유학과 세계화의 영향으로 자녀를 더 나은 환경에서 교육시키기 위해 자녀와 부인을 해외에 보내고 혼자 국내에 남아 경제적 뒷바라지를 하고 있는 기러기 아빠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대처 전략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법을 활용하였고, 면접에 참여한 기러기 아빠들은 부인과 자녀를 외국에 보내고 혼자 한국에 남아 생활하고 있는 40〜50대의 아버지로서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남성 17명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과의 분리’라는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하고 있는 기러기 아빠들은 ‘자녀의 발전을 위해서’라는 명분 아래 상당한 대가를 치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이들은 가족과 떨어져 한국에 홀로 남아 생활하면서 뼈 속 깊이 외로움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살아갔다. 두 번째로 이들을 어렵게 하는 것은 부부간의, 부모 자녀간의 관계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로 이들은 학비, 생활비, 여행 경비 등의 과다 지출로 인해 엄청난 재정적 압박을 겪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을 잘 꾸려 나가는 일도 이들에겐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들은 이런 변화와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오히려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참여 기러기 아빠들에 의해 가장 많이 언급된 대처 전략으로는 통제감을 통한 자기관리, 상황에 대한 긍정적 해석, 사회적 지원 확보하기, 그리고 가족 간의 유대감 강화를 위한 노력 등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 참여한 기러기 아빠들은 정서 집중적 대처 보다는 문제 집중적 대처를 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iculties that Korean ‘wild geese fathers’ experienced and how they coped with. To understand their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from their perspective, in 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he interviewees were 17 Korean males in their 40s and 50s. The difficulties these participants experienced were extreme loneliness and longing for their families, dramatic changes in father child relationships as well as marital relationships, financial burden, and household care and maintenance. However, they did not passively respond to, but actively applied various strategies to cope with such stresses. Those were self regulation,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ir situation, seeking help and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friends, and their effort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y members.

      • KCI등재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이숙현,서석종,이경혜,양종범,최성업,박성수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4

        The following study was present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el extracts (PE)from three citrus fruits: Citrus unshiu, Citrus limonia Osbeck and Citrus hallabong. According to this study, cytotoxicity,NO-production and protein levels of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macrophage cell were analyzed,which had been incubated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 of PE from those three citrus fruits. According to Citrus unshiu peel extracts (CUP), Citrus limonia Osbeck peel extracts (CHP) and Citrus hallabong peel extracts (CLP) treat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cell growth inhibited below 2 mg/mL. Comparing the NO-production of the cell with LPS (100 ng/mL) and the treatment without LPS, significant increase of NO-production was detected. However NO-production also showed decrease tren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For each treatment,at the concentration of 1 mg/mL, NO-ihibitory activity showed significant result with following order: CUP >CHP > CLP.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Western blot,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iNOS protein from CUP and CHP showed fairly similar performances. Also inhibitory activity of COX-2 showed the following order: CUP > CHP>CLP. There was no doubt that all the treatments of CUP, CHP and CLP hav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also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CUP treatment was the strongest among those three. 본 연구에서는 감귤류 중 온주밀감, 레몬, 한라봉의 과피추출물(PE)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감귤류 세품종 과피추출물(PE)에 대한 murine macrophage cell lineRaw 264.7세포를 배양하여 세포독성, NO생성량, 세포내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UP, CHP,CLP 처리구의 경우 2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육을 저해하지 않았다. LPS (100 ng/mL)를 처리한 세포의NO생성량을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상당량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가 증가할수록 NO생성량은 감소하였다. 각처리구에서 각 1 mg/mL 농도에서는 CUP > CHP > CLP 순으로 NO 저해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Western blot의 결과상으로는 CUP와 CHP의 iNOS 단백질 저해활성이 비슷한 강도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OX-2 효소의 저해활성은 CUP > CHP > CLP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UP,CHP, CLP 처리구는 모두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또한 CUP 처리구가 세 개의 추출물 중에서 가장 저해활성이 강하였다.

      • KCI등재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집단 간 다집단 분석

        이숙현,한창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1

        Problem drinking can cause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in daily l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rinking proble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ge groups by using multi-group analysis. The study sample is 8104 and the missing values were substituted using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Method (FIM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likelihood of having drinking problems. Moreover,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drinking problems vari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pecifically, the effect,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male middle-aged group, was not significant on the male-youth group. And the effects of self-esteem was higher on the male-middle-aged compared to the female youth. Also the influ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female-youth and male-middle aged groups compared to the female-middle aged group, which had no effect.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 to enhance self-esteem and the alcohol addiction program specialized in different age groups are necessary.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스트레스를 발생하는 사회환경의 여러 요인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자원이다. 자아존중감은 통제에 필요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같은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인간사회환경에서 발생한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음주가 아닌 자주적인 해결을 할 수 있게 한다. 자아존중감과 음주의 관계는 성별 및 연령집단을 고려해야만 한다. 남녀 간 음주율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커진다. 2016년을 기준으로 청년은 일주일에 5일 이상 음주하는 비율의 남녀 차이가 0.4%였던 반면, 중장년기의 경우 차이가 4.5%에 달했다. 실증적 검토를 위해 11차년도(2016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연령집단(청년, 중장년) 간 다집단분석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8104명이며, 결측치는 완전정보최대우도법(FIML)으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문제음주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청년에게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남성중장년에게는 유의미하였다. 동일선상에서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이 남성중장년에게서 유의미하였지만, 여성중장년에게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성청년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지만, 여성중장년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남성중장년에게서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청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성과, 연령집단별로 특성화된 알코올 중독프로그램 마련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이숙현,이영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ICU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in G city by using the Korean patient culture survey instru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measurement too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ICU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the mean of 3.55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were the mean of 3.81 out of the total scor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t=2.09, p=.039) and ICU experiences (F=2.71, p=.048) and in their competencies according to position (t=-2.13, p=.035) and working experience in safety management (t=2.45, p=.01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662) between total scores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f nurses. Results suggest that systemic efforts to promote nurses’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for patient safety in the ICU and to create organizational culture is required. 안전사고 발생 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문화의 형성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G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조사하고, 환자안전문화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3.55점/5점, 환전안전역량은 3.81점/5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성별(t=2.09, p=.039)과 중환자실 근무경력(F=2.71, p=.048)에 따라, 환자안전역량은 직위(t=-2.13, p=.035)와 안전업무 담당경험(t=2.45,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총점과 환자안전역량 총점은 양의 상관관계(r=.662)를 나타냈다.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형성과 환자안전을 우선순위에 두는 의식의 전환, 안전 관련 교육 등을 통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 양상 표현의 언어유형론적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et de comparer les expressions modal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de la typologie linguistique. Nous commençons par réviser la définition de la modalité selon quelques linguistes en ces deux langues. En général, la modalité est définie comme l’expression de l’attitude du locuteur par rapport au contenu propositionnel de son énoncé. C’est sans doute une notion sémantico-pragmatique, mais la modalité peut s’exprimer non seulement avec des moyens lexicaux comme les adjectifs et les adverbes modaux, les particules, les “tags” modaux, etc. mais aussi avec des moyens syntaxiques comme les modes, les verbes modaux, les affixes, etc. Les expressions modales ont de différents sens à travers le processus de la grammaticalisation avec le temps. De plus, les expressions modales avec la négation ont quelques différences linguistiques particulières selon chaque langue. Nous nous penchons donc sur celles-là en ces deux langues, en particulier, sur des cas où les phrases avec les verbes modaux comme devoir et pouvoir s’accompageraient de la négation en français, parce que nous pouvons constater que ces deux verbes occupent une position tout à fait centrale en dépit de l’importance des autres marques comme des adverbes modaux entre autres. Nous nous attachons aussi à trouver quelques particularités propres au coréen par rapport au français quand il s’agit de la né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