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균일 음속 다중경로환경에서 선배열 센서를 이용한 근거리 표적의 3차원 위치추정 기법

        이수형,최병웅,Lee Su-Hyoung,Choi Byung-Woong 한국음향학회 2006 韓國音響學會誌 Vol.25 No.4

        최근에 Lee 등은 1차원 수평배열 센서만을 사용하여 다중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로부터 표적의 3차원 위치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이 기법에서 음속은 수심에 상관없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음속이 수심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제 해양환경에서는 그 추정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균일 음속 환경에 적합한 근거리 표적의 3차원 위치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선형의 음속구조를 가지는 근거리 다중경로 환경에서 음파전달 모델을 기반으로 한 위치추정함수를 구성하였으며 이로부터 표적의 방위각, 거리 및 깊이를 3차원 탐색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선형 음속구조 및 실제 환경과 유사한 비선형 음속구조를 적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기존의 기법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기법에 비해 거리 추정 오차는 최대 100m, 깊이 추정 오차는 50m정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Recently, Lee et al. have proposed an algorithm utilizing the signals from different paths by using bottom mounted simple linear array to estimate 3-D location of oceanic target. But this algorithm assumes that sound velocity is constant along depth of sea. Consequently, serious performance loss is appeared in real oceanic environment that sound speed is changed variously. In this paper, we present a 3-D near field localization algorithm for inhomogeneous sound speed. The proposed algorithm adopt localization function that utilize ray propagation model for multipath environment with linear sound speed profile(SSP), after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earches for the instantaneous azimuth angle, range and depth from the localization cost function. Several simulations using linear SSP and non linear SSP similar to that of real oceans are us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estimation error in range and depth is decreased by 100m and 50m respectively.

      • KCI등재

        실물 재하시험을 통한 짧은말뚝의 횡방향 저항거동 평가

        이수형,최영태,이일화,유민택,Lee, Su-Hyung,Choi, Yeong-Tae,Lee, Il-Wha,Yoo, Min-Taek 한국지반공학회 2017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33 No.8

        근입깊이가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말뚝은 편심이 큰 횡방향 하중을 받는 경우 전도되어 파괴된다. 지금까지 횡방향하중을 받는 짧은말뚝의 지지거동에 대해서는 주로 모형실험을 적용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전주, 표지판, 가로등 기초와 같이 매우 큰 모멘트를 받는 짧은말뚝의 지지거동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직경 750mm의 실물크기 말뚝에 대한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하중조건을 모사하기 위하여 기초로 부터 8m 이격된 지점에 횡방향 하중을 가하여 매우 큰 모멘트를 유발하였으며, 말뚝의 근입깊이를 2.0m, 2.5m, 3.0m로 변화시킨 3회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큰 모멘트를 받는 짧은말뚝은 파괴 직전까지 변위나 회전각이 거의 발생하지 않다가 전도로 인해 급격한 변위가 발생하는 취성형태로 파괴 되었다. 이러한 거동은 기존의 횡방향 위주의 하중을 받는 짧은말뚝에서 나타난 연성파괴 거동과는 대조적이다. 기존에 제안된 세 종류의 지지력 예측식으로 부터 구한 짧은말뚝의 극한 횡방향지지력을 시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말뚝 근입깊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는 말뚝선단 중심의 회전을 가정한 제안식이 적절하지만, 근입깊이가 커지면서 회전점을 중심으로 응력방향이 반전되는 토압분포를 가정한 제안식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When a lateral load is applied to a short pile whose embedded depth is relatively smaller than its diameter, an overturning failure occur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laterally loaded short piles, several model tests in laboratory scales had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behavior of large moment carrying piles for electric poles, traffic sign and road lamp, etc. have not been revealed yet. This paper deals with the real-scale load tests for 750 mm diameter short piles. To simulate the actual loading condition, very large moment was mobilized by applying lateral loads to the location 8 m away from the pile head. Three load tests changing the pile embedded lengths to 2.0 m, 2.5 m, and 3.0 m were carried out. The test piles overturned abruptly with very small displacement and rotation before the failures. These brittle failures are in contrast with the ductile failures shown in the former model tests with the relatively smaller moment to lateral load ratio. Comparisons of the test results with three existing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the ultimate lateral capacity show that the method assuming the rotation point at pile tip matches well when the embedded depth is small, however, as the embedded depth increases the other two methods assuming the inversion of soil pressure with respect to rotation points in pile length match better.

      • KCI등재

        수격펌프의 효율성 및 현장 적용성 평가

        이수형,윤희성,김동훈,신에스더,김용철,고경석,하규철,Lee, Soo-Hyoung,Yoon, Heesung,Kim, Dong-Hun,Shin, Esther,Kim, YongCheol,Ko, Kyung-Seok,Ha, Kyoochu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3

        본 연구는 수격펌프를 이용하여 용수 공급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남면 임곡리로 과거 석탄개발에 사용된 갱도로부터 지속적으로 지하수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유출되는 지하수는 일평균 약 $260m^3/day$의 수량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격펌프는 수격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없이 공급원으로부터 고도차(압력)에 의해 물의 일부를 높은 곳으로 이송시키는 펌프이다. 수격펌프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격펌프와의 고도차에 따라 3지점(${\Delta}h=19m$ (1지점), 30 m (2지점), 40 m (3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1지점에서는 약 $8.6{\sim}10.8m^3/day$, 2지점은 약 $3.98{\sim}4.39m^3/day$ 그리고 3지점에서는 약 $2.35{\sim}2.59m^3/day$의 물을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수격펌프가 산간지역 등에서 전력없이 물공급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efficiency of water supply using hydraulic ram pump. Study area is the Imgok-ri, Hwanam-myeon, Sanju-si, Kyeongsangbuk-do. There is an abandoned coal mine, where groundwater is discharged from its entrance with a flow rate of approximately $260m^3/day$. Hydraulic ram pump uses the waterhammer phenomenon and utilizes the power of falling water for pumping part of that water to a higher elevation than the water sources without electric power.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hydraulic ram pump, the flow rate was measured at three points according to the altitude difference (${\Delta}h=19m$ (point 1), 30 m (point 2), 40 m (point 3)). Flow rate measured at 1, 2, and 3 were about $8.6{\sim}10.8m^3/day$, $3.98{\sim}4.39m^3/day$, and $2.35{\sim}2.59m^3/day$, respectively.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hydraulic ram pump could be applicable for the water supply system in mountain areas without external power supply.

      • 해포석과 숯을 이용한 보수성포장의 노면온도 특성 평가

        이수형,이학주,김제원,유인균,Lee. Soo-Hyung,Lee. Hak-Ju,Kim. Je-Won,Yoo. In-Kyoon 한국방재학회 2007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Water retaining pavement is a pavement to lower the surface temperature by using evaporation of the water that the pavement contains when the pavement is heated by the sun in the day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ater retain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sepiolite and a charcoal as a water retaining material. We produced dense grade asphalt pavement, porous asphalt pavement, semi-rigid Pavement, semi-rigid pavement included a charcoal and semi-rigid pavement included a sepiolite, and then tested surfac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The test result says that water retaining pavements using a sepiolite and a charcoal lower surface temperature more than <TEX>$10^{\circ}C$</TEX> compared to dense grade asphalt pavement. We confirm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sepiolite and a charcoal as a water retain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 韓國海岸 眞珠담치의 重金屬含量

        이수형,이광우,Lee, Soo Hyung,Lee Kwang Woo 한국해양학회 1984 韓國海洋學會誌 Vol.19 No.2

        동해안의 임원, 새해안의 반월, 그리고 남해안의 진해만과 여수 등지에서 진주담치 시료를 채취하여 생체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함량을 1981∼8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조사한 중금속은 Cd, Cr, Cu, Pb, Zn, Mn, Fe 등 7가지 였다. 시료채취시 시료는 깨끗한 해수에 담가 청장(depuration) 시키는 것이 좋으며 시간은 48시간 정도가 적당하였다. 진주담치 중의 중금속함량은 임원 해역의 자연산이 Cd, Cr, Cu 등이 특히 높았으나 Mn과 Fe 등은 조사 지역 중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에 여수는 Pb, Mn, Fe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에서는 마산만 입구의 양식 진주담치도 중금속함량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중금속들은 Cu를 제외하고는 진주담치가 성장해 감에 따라 건증량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재료모형 거동연구

        이수형,이창준,김제원,유인균,Lee. Soo Hyung,Lee. Chang Joon,Kim. Je Won,Yoo. In Kyoon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6

        Geocell is one of the effective tools for reinforcing geotechnical materials such soil, sand, and so 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on unbounded granular material (UGM), which is used for subbase of pavement structures. For this purpose, a mathematical model for UGM reinforced with cylindrical geocell was formulated. A MATLAB program code for the mathematical solution was developed. In oreder to investigate the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on the UGM,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ed using the MATLAB code. The parameters used for the study were Young`s modulus of geocell(<TEX>$E_G$</TEX>=800, 1600, 2400 MPa), radius of geocell(R=50, 100, 150, 200 mm), and thickness of geocell(t=1.2, 2.4, 3.6 m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inforcing effec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Young`s modulus and the thickness, and with the decrease of the radius. In addition, lower stress level showed a better reinforcing effect of geocell compared to higher stress level in terms of relative strain reduction ratio. 지오셀은 지반재료의 보강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포장구조의 보조기층으로 사용되는 입상재료의 지오셀 보강효과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원통형 지오셀로 보강된 입상재료의 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정식화 하였으며, 수치적 해석을 위해 MATLAB 프로그램 코드를 개발하였다. 지오셀이 보강된 입상재료의 역학적 거동 영향인자로서 지오셀의 탄성계수(<TEX>$E_G$</TEX>=800, 1600, 2400 MPa), 지오셀의 반지름(R=50, 100, 150, 200 mm), 지오셀의 두께(t=1.2, 2.4, 3.6mm)를 설정하였다. 수치적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오셀의 보강효과는 지오셀의 탄성계수와 두께가 증가하고, 지오셀의 반지름이 감소할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며, 동시에 채움재인 입상재료의 재료적 비선형성으로 인해 보강효과의 증가가 비선형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입상 채움 재료의 응력상태가 낮은 경우가 응력 상태가 높은 경우에 비해 지오셀 보강효과가 상대적으로 더욱 뚜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진해만 퇴적물중의 중금속 함량

        이수형,이광우,Lee, Soo Hyung,Lee, Kwang Woo 한국해양학회 1983 韓國海洋學會誌 Vol.18 No.1

        진해만의 중금속 오염 현황 파악을 위하여 퇴적물중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 하였다. 조사된 중금속은 Cd, Cr, Cu, Fe, Ni, Mn, Pb, Zn등 9가지 원소이며 모두 23개 조사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원자흡수 분광법에 의해 중금속 함량을 분석 하였다. 본 조사 결과로는 Cd, Cr, Cu, Pb, Zn 등의 함량은 마산만이 다른 해역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또 내만에서 외양으로 나갈수록 함량이 뚜렷하게 감소 하였으나 Co, Fe, Ni, Mn 등은 해역간에 별다른 농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중금속의 통계학적 상관 관계를 보면 Cd, Cr, Cu, Pb, Zn group과 co, Fe, Ni group 으로 나뉘어져 각 group 내에서중금속 상호간에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group 간에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페렛에서 발생한 coronavirus 감염 증례 보고

        이수형,고두민,이정하,장운기,김대영,김대용,Lee, Su-Hyung,Go, Du-Min,Lee, Jeong-Ha,Jang, Woonki,Kim, Dae Young,Kim, Dae-Yong 대한수의학회 2016 大韓獸醫學會誌 Vol.56 No.4

        A female domestic ferret (Mustela putorius furo) presented to a veterinary clinic with a clinical history of anorexia and poor body condition. Due to gradual deterioration of the body condition, explorative laparotomy was performed. Diffusely, the mesentery was severely thickened and adhered with prominent mesenteric lymph nodes. A portion of the mesentery and mesenteric lymph nodes were biopsied and fixed.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severe pyogranulomatous peritonitis and lymphadenitis, but staining revealed no bacterial organisms. However, immunohistochemistry for feline coronavirus exhibited strong immunoreactivity, primarily in the macroph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ase was diagnosed as ferret coronavirus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