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흡수성 핀을 이용한 소아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 - 수술 술기 -

        이수찬,양일순,서희수,Lee, Su-Chan,Yang, Il-Soon,Seo, Hee-Soo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목적: 성장판이 남아 있는 청소년기 환자에서 발생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에 대해 생흡수성 핀을이용한 간단한 관절경적 정복 및 고정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외측 및 전내측 삽입구를 통하여 진단적 관절경 검사를 시행 후, 손상부를 잘 관찰하기 위하여 미세 골절파편과 응고된 혈액을 제거한다. 탐침을 이용하여 골절편을 정복한 상태에서 1.1 mm K-강선을 관절의 전상부에서 경피적으로 삽입하여 임시로 골절편을 고정한다. 드릴 가이드를 관절 내로 삽입 후, poly-p-dioxanone로 만들어진 40 mm 길이의 생흡수성 핀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삽입하여 골절편을 완전히 고정한다. 수술 후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장하지 석고 고정을 4주간 시행하여 술 후 슬관절의 완전 신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론: 전방십자인대에 의한 경골 과간부 견열 골절을 생흡수성 핀을 이용하여 관절경적으로 고정하는 술기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골절 치유와 관절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Purpose: We describe a new and simple technique for arthroscopic fixation of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avulsion fracture using bioabsorbable pins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Operative Technique: Diagnostic knee arthroscopy is performed using anterolateral and anteromedial portals. Fracture debris and blood clot are debrided to expose the injured site well. The fragment is reduced with the probe and fixed temporarily with a 1.1-mm diameter K-wire that is inserted percutaneously from the anterosuperior aspect of the knee joint. The drill guide is introduced into the joint and the fragment is secured by bioabsorbable, poly-p-dioxanone 1.3-mm pins inserted from different angles. The pins are 40 mm in length. The knee is placed in a long leg cast in extension for 4 weeks to assure that full extension is obtained. Conclusion: Arthroscopic fixation of an tibial intercondylar eminence avulsion fracture using bioabsorbable pins is not a technically demanding, suitable method that ensures fracture healing and restores the stability of the joint.

      • KCI등재

        드롭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연속보의 처짐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

        이수찬(Lee, Su-Chan),김광만(Kim, Kwang-Man),이용준(Lee, Yong-Jun),김상우(Kim, Sang-Woo),김길희(Kim, Kil-Hee),이정윤(Lee, Jung-Yoon) 대한건축학회 201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0 No.5

        In this study, a double beam system was proposed to reduce the defl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The system consists of two small size beams and a drop panel. The proposed method took into account the effect of a drop panel placed at the center of the continuous beam. Because the drop panel increases the negative moment of the beam, but decreases the positive moment of the beam, it is expected that the drop panel might reduce the deflection of continuous beams. Five reinforced concrete continuous beams were tested. The main parameters of specimens were the length and width of drop panel.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drop panel reduced the deflection of continuous beams. The deflection of the continuous beams with a drop panel was 24. 5 percent less than that of the beams without a drop panel. The deflection of continuous beams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length of drop panel.

      • KCI등재

        퇴행성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의 국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과 FRAX<SUP>®</SUP> 기준에 대한 비교 연구

        이수찬(Su Chan Lee),남창현(Chang Hyun Nam),윤지열(Ji Yeol Yoon),정광암(Kwang Am Jung),황보현(Bo Hyun Hwang),안혜선(Hye Su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고령의 퇴행성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기준과 세계보건기구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SUP>®</SUP>, http://www.shef.ac.uk/FRAX/)에서의 골절 확률을 바탕으로 한 골다공증 치료 대상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6월부터 2011년 3월까지 퇴행성 슬관절 골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전치환술 시행예정인 65세 이상의 환자를 조사하였다. 치료 대상은 국내 HIRA 기준, T 점수 -2.5 이하이거나 FRAX<SUP>®</SUP> 기준의 10년 주요 골다공증 골절 확률 20% 및 대퇴골절 확률 3% 이상으로 정하였다. 결과: 929명 환자 중 골다공증 치료 대상은 국내 HIRA 기준 562명(60.5%), FRAX<SUP>®</SUP> 기준 372명(40.0%)이었다. 두 기준 모두 치료 대상으로 만족하는 경우는 339명(36.5%)으로, 비치료 대상 334명(36.0%)을 포함하여 673명(72.4%)의 낮은 진단 일치도를 보였다(κ값=0.471). 골감소증 319명 환자 중 33명(10.3%)은 FRAX<SUP>®</SUP> 기준의 치료 대상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치료함에 있어 국내 HIRA 기준에 FRAX<SUP>®</SUP>를 반영한 적정 치료 지침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and evaluate any differences in the osteoporosis treatments of elderly patients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joints,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criteria versu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SUP>®</SUP>, http://www.shef.ac.uk/FRAX/) criteria, which is a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e WHO.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0 to March 2011, we investigated and screened the target populations of osteoporosis treatments among 65-year-old or older patients with degenerative osteoarthritis of the knee joints who scheduled to undergo elective total knee arthroplasty. They were classified in the treatment group only if they met either the HIRA criterion, defined as having a T score of ≤?2.5 points, or the FRAX<SUP>®</SUP> criteria, defined as the 10-year probability of a major osteoporotic fracture and hip fracture of ≥20% or ≥3%, respectively. Results: Of a total of 929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e treatment group as screened according to the HIRA or FRAX<SUP>®</SUP> criteria was 562 (60.5%) and 372 (40.0%),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tients who met both criteria was 339 (36.5%), and including 334 non-treated patients (36.0%), a total of 673 patients (72.4%) showed low diagnostic concordance (k=0.471). Of 319 patients diagnosing osteopenia, 33 (10.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treatment group according to the FRAX<SUP>®</SUP> criteria. Conclusion: A combination of the HIRA and FRAX<SUP>®</SUP> criteria is required to improve the current guidelines for osteoporosis treatment.

      • KCI등재

        노안환자에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수술 및 단안시 굴절수술의 임상결과 비교

        이수찬(Su chan Lee),장철원(Cheol won Jang),공석준(Seok Joon Kong),김재우(Jae Woo Kim),조영주(Young Joo Cho),임태형(Tae Hyung Lim),최기용(Kee Yong Choi),조범진(Beom Jin Cho)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2

        목적: 노안이 동반된 근시환자에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 수술(laser blended vision, LBV) 및 고식적 단안시 레이저 굴절 수술(monovision laser refractive surgery)의 효능과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LBV를 시행 받은 환자 21명 42안, monovision을 시행 받은 환자 25명 5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술 전과 술 후 3개월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과 굴절력 변화를 단안과 양안 모두에서 조사하였으며 LBV군에서는 추가로 술 후 3개월에 구면수차를, 술 후 3-6개월에 환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LBV군에서 47.9세, monovision군에서 41.7세였다. 술 후 3개월에 구면 대응치는 LBV군에서 우세안 +0.11 ± 0.17D, 비우세안 -1.52 ± 0.36D인 반면, monovision군에서는 우세안 +0.23 ± 0.26D, 비우세안 -0.82 ± 0.28D였다. 술 후 양안 원거리 나안시력의 경우 두 군 모두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시력으로 0.10보다 좋은 경우가 100%였으며, 중간거리 나안시력의 경우 0.10 이상은 LBV군에서 86%, monivision군에서 100%였다. 근거리 나안시력은 LBV군에서 0.18 이상이 95%, monovision군에서 100%였다. LBV군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 평균 구면 수차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후 최대 교정시력저하나 각막 혼탁 등 시력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두 군에서 모두 없었으며 전반적인 환자의 만족도는 LBV군에서 80%였다. 결론: 노안이 동반된 근시 환자에서 LBV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에도 불구하고 monovision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aser Blended Vision (LBV) and monovision laser refractive surgery (monovision) for presbyopia correction in patients with myopia.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included 42 eyes of 21 patients with LBV and 50 eyes of 25 patients with monovision. Monocular and binocular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changes wer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3 months after the surgery and compared. The patients in the LBV group underwent further evaluation of spherical aberration 3 months after the surgery and treatment satisfaction 3-6 months after the surgery.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7.9 years in the LBV group and 41.7 years in the monovision group. Three months after surgery, the spherical equivalents were +0.11 ± 0.17 D in the dominant eye and -1.52 ± 0.36 D in the non-dominant eye in the LBV group. In contrast, the spherical equivalents were +0.23 ± 0.26 D in the dominant eye and -0.82 ± 0.28 D in the non-dominant eye in the monovision group. All patients achieved a binocular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of 0.10 (log MAR) or better, and 86% of the LBV group and 100% of the monovision group achieved a binocular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of better than 0.10. Moreover, 95% of the LBV group and 100% of the monovision group achieved a binocular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of better than 0.18. In the LBV group, mean spherical aberration increased after surgery than befor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s such as corneal opacity that could decrease visual acuity were absent in both groups.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after surgery was 80% in the LBV group. Conclusions: Despite the relatively higher mean age of the LBV group, both groups showed similar results regarding presbyopia correction in patients with myopia.

      • KCI등재

        광학부 중앙 원공을 가지는 안내렌즈삽입술 후 발생한 색소분산증후군 및 역 동공 차단

        이수찬(Su Chan Lee),정혜진(Hye Jin Chung),정윤석(Yun Suk Chung),최진영(Jin Young Choi),최기용(Kee Yong Choi),김미정(Mi Jeung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0

        목적: 광학부 중앙 원공이 있는 안내렌즈(AQUA ICLⓇ)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색소분산증후군과 역 동공 차단이 안내렌즈 제거 및 주변부 레이저 홍채절개술 후 호전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양안 근시 소견을 보이는 29세 여자 환자에게 양안 AQUA ICLⓇ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삽입술 후 4주에 양안 모두 색소분산이 발생하면서 안압이 각각 34 mmHg로 증가하였으며 최대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삽입술 후 8주에 안내렌즈를 제거하였다. 안내렌즈 제거 직후 색소 분산이 감소하면서 안압이 조절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제거 수술 4주에, 우안 홍채의 후방이동 및 역 동공 차단이 발생하며 우안 안압이 46 mmHg로 다시 증가하였다. 우안에 주변부 레이저 홍채절개술을 시행한 후 역 동공 차단이 해소되면서 색소 분산이 감소되었고 우안 안압이 13 mmHg로 정상화되었다. 2주 후 좌안에 예방적 레이저 홍채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좌안 레이저 홍채절개술 시행 4주 후, 양안에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4주 후 측정 안압은 점안 안압하강제를 투약하는 상태에서 우안 11 mmHg, 좌안 12 mmHg로 측정되었다. 결론: 광학부 중앙 원공을 가지는 안내렌즈 삽입술 후 조기에 색소분산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색소분산증후군이 안내렌즈 제거 후에도 지속되면서 역 동공 차단이 동반될 경우 주변부 레이저 홍채절개술이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661-1665>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igment dispersion syndrome and reverse pupillary block secondary to the implantation of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with a central hole (AQUA ICL??) that was treated with ICL removal and laser peripheral iridotomy (LPI). Case summary: A 29-year-old woman with myopia in both eyes underwent implantation of AQUA ICL??. Four weeks postoperatively,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increased to 34 mm Hg and the patient showed pigment dispersion syndrome in both eyes. Since the IOP did not reduce with the maximum tolerable medical therapy, the ICLs were removed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pigment dispersion subsided and IOP reduced shortly after ICL removal. However, 4 weeks after removal of ICL, posterior iris bowing and reverse pupillary block occurred in the right eye and the IOP increased to 46 mm Hg. LPI was performed in the right eye, and the reverse pupillary block was dissolved after a reduction in pigment dispersion. The IOP subsequently normalized to 13 mm Hg. Two weeks later, prophylactic LPI was performed in the left eye. Four weeks after prophylactic LPI,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was performed on both eyes. As a result, the IOP was 11 mm Hg in the right eye and 12 mm Hg in the left eye after 4 weeks of treatment with topical IOP-lowering medications. Conclusions: The present case indicates that implantation of ICL with a central hole can lead to early postoperative pigment dispersion syndrome. When this condition persists and is accompanied by reverse pupillary block after ICL removal, LPI can be partially effectiv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661-1665

      • KCI등재

        Achromobacter xylosoxidans Infection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Su Chan Lee(이수찬),Chang Hyun Nam(남창현),Il Seok Park(박일석),Ji Yeol Yoon(윤지열),Kwang Am Jung(정광암),Seung Hyun Hwang(황승현)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Achromobacter xylosoxidans는 기회 균주로 주로 투석 환자 등의 면역저하 환자에서 감염을 일으킨다. 그러나 슬관절 전치환술 후, A. xylosoxidans 감염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며, 정상 면역 환자에서 이 균주의 슬관절 전치환술 감염의 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우리는 면역저하 병력이 없는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A. xylosoxidans에 의한 감염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chromobacter xylosoxidans is an opportunistic organism, mainly causing infection in immune compromised hosts, such as patients on dialysis. However, review of the medical literature showed that few cases of A. xylosoxidans infection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have been reported. This organism has not been reported in prosthetic joint infections of patients who are not immune compromised. Here, a case of periprosthetic infection with A. xylosoxidan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in a man with no medical history of immune suppression is re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