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In Vivo Location of the Vermiform Appendix in Multidetector CT

        이수림,구영미,최병길,변재영 대한영상의학회 201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70 No.4

        Purpose: To provide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vermiform appendix within the right lower quadrant, as seen o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appendiceal position according to patient gender and the pathologic state of appendix.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0, 1157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final analysis: 542 patients with preoperative MDCT and subsequent appendectomy and 615 patients with visible appendix seen on MDCT performed as part of a health checkup. We classified the appendix according to its position relative to the cecum, the terminal ileum, and the external iliac vessels: type 1: antececal; type 2: preileal; type 3: postileal; type 4: subileal; type 5: subcecal; type 6: deep pelvic; type 7: retrocecal; and type 8: paracecal. Results: The relative incidence of various positions of the appendix found in all of our study patients was: type 1: 3.5%; type 2: 1.7%; type 3: 9.0%; type 4: 12.9%; type 5: 42.3%; type 6: 16.2%; type 7: 10.9%; and type 8: 3.0%. According to patient gender, type 1 (male: 3.7% vs. female: 3.3%), type 3 (8.6% vs. 9.8%), type 4 (14.3% vs. 9.8%), type 5 (47.5% vs. 32.7%), type 7 (9.2% vs. 14.4%), and type 8 (3.4% vs. 2.2%) posi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predominance. In terms of the inflamed state, type 2 preileal (normal: 0.8% vs. inflamed: 2.8%), type 3 (10.2% vs. 7.6%), type 4 (14.0% vs. 11.6%), and type 5 (14.1% vs. 18.5%) posi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Contrary to the common assumption that the retrocecal appendix is the most common position, the in vivo appendix is seen more often on MDCT in the subcecal and deep pelvic positions. The relative frequency of various positions of the appendix can also differ according to patient gender and the pathologic state.

      • KCI등재

        상담자의 지혜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수림,조성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1

        The effects of counselor's wisdom on the quality of counseling processes and outcome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were obtained from 189 pairs of a counselor and client. While implemen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easurement model was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out assuming structural relation among latent variables. Two structural model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based on the magnitudes of fit indices and appropriateness of parameter estimates. Finding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counselor's wisdom influenced the quality of counseling processes and outcomes through the four mediators (i.e. case conceptualization, coutertransference, rapport formation, and working alliance). Specifically, counselor's wisdom affected case conceptualization and regulation of coutertransference, and effect of case conceptualization and regulation of countertransference on the quality of counseling outcomes were mediated through the rapport formation and working alliance.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지혜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 189쌍을 대상으로 상담자용, 내담자용 설문을 실시,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측정모형에서는 상담과정의 매개변인들로 사례개념화, 역전이 조절, 관계형성, 작업동맹을 선정하였다. 우선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변인들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에서 설정한 측정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지혜와 매개변인들의 관계를 가정하여 크게 두 가지 경쟁모형을 선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제1경쟁 모형은 상담자의 지혜가 각각 사례개념화, 역전이조절, 관계형성을 매개로 작업동맹, 상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모형이며, 제2경쟁 모형은 상담자의 지혜가 사례개념화와 역전이 조절을 매개로 관계형성에 영향을 주고, 관계형성이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모형이다. 검증 결과, 제2경쟁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첩모형 중 더 적합한 대안모형을 탐색한 결과, 사례개념화와 역전이조절간 공분산을 설정한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애착외상 경험 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이수림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in the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12 adul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ttachment trauma in their period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03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 Also, the central phenomenon of paradigm was demonstrated as 'encountering the necessity of change', causal condition was as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contextual condition was as 'distress and affec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as 'interpersonal character', 'religion', and 'social support'. A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vealed as 'reconstruction of attachment trauma', 'trial of overcoming of influence of trauma', 'action of various activity', and 'finding the new meaning'. A final result was revealed as 'finding of power and achievement', 'maturity of personal relation', 'altruism', 'improvement of positive thinking', 'improvement of coping ability', 'positive evaluation on the life', and 'unresolved problem'. This finding demonstrated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after attachment trauma and has significance on providing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ho have attachment trauma.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의 애착외상 경험이후 외상후성장 과정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핵심적 경험과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착외상을 경험하였고 그 이후 외상후성장을 보고한 성인 12명을 선발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총 103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분석 결과, 중심현상으로 ‘변화 필요성에 맞닥뜨림’이 도출되었고, 인과조건으로 ‘애착외상의 경험’, 맥락조건으로 ‘고통 및 영향’, 중재적 조건으로 ‘개인적 특성’, ‘종교’,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외상에 대한 재구성’과 ‘외상의 영향을 극복하려는 시도’, ‘다양한 개인적 노력의 실천’, ‘새로운 의미 발견’이 나타났고, 결과로는 ‘내적 힘의 발견과 성취’, ‘대인관계에서의 성숙’, ‘이타주의’, ‘긍정적 사고의 증대’, ‘대처능력의 증가’, ‘삶에 대한 긍정적 평가’, ‘미해결 과제’가 나타났다. 과정분석 결과, 애착외상의 외상후성장 단계로는 ‘고통을 마주한 단계’, ‘변화로의 의지 단계’,‘수용 및 재구성 단계’, ‘노력의 단계’, ‘성장 및 의미발견의 단계’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애착외상 경험자들의 외상후성장 과정을 밝히고, 상담 개입에 대한 실제적 함의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 가출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수림,김은영,송미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the youth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A need analysis with 884 of 6th grader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elementary students' needs for this program.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runaway adolescents who were staying at a shelter was conducted in order to derive basic components of a run-away preven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a short-term runaway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uld be run in a classroom as a unit.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covers the following area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unaway, ways to manage one's stress, ways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parents in conflicts, and ways to ask for help. The guidebook for parents and manual book for teacher have been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tested with 430 of 4th, 5th, 6th grad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pre-, post- and followup-test along with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tress coping and in thoughts on runawa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developing the runaway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could be run at a school sett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출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대상 가출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과 선행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초등 학생 6학년 대상 요구조사, 가출 청소년 대상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가출예방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는 가출에 대한 지식, 합리적인 스트레스 대처, 부모와 갈등 시 의사소통 방법, 가출 시 도움 요청하는 방법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활용 성을 위해 2교시 단기교육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 등 시청각 교구재를 개발하고, 부모교육자료 및 교사용 자 료집도 함께 개발하였다. 시범운영 결과, 실험집단의 가출의식 및 스트레스 대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사 후 및 추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참가자 및 교사, 부모 평가에 있어서 긍정적 만족도가 나타났다. 따 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가출 예방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적용점,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 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정신화 척도(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Scale)의 타당화

        이수림,이문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이 연구는 Dimitrijević 등(2017)이 개발한 정신화 척도(The Mentalization Scale: Ment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체 35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무선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첫 집단 160명은 탐색적 요인분석 자료로, 다른 집단 190명은 확인적 요인분석검증 자료로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한국판 정신화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3요인 모델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3개 문항을 제거한 총 25문항의 3요인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88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의 내적 일치도는 .74 - .84로 원척도에 비해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다. 준거 타당도 검증에서 정신화 척도는 공감, 마음챙김, 정서자각, 삶의 만족도, 애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경계선 성격특성, 우울, 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련의 검증을 통하여, 한국판 Ments를 타당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mitrijević et al.(2017) developed The Mentalization Scale(Ments) for Korean. A total of 358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data were used as follows; the first group (N=160)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ata and the other group(N=190)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e same three-factor model as the original scale through the EFA, and the 3-factor model of the total 25 items without the three items was appropriate in the CF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items was .88 and the sub-factors was .74-.84, which was little higher or similar than the original scale. The criterion validities were verified, M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empathy, mindfulness, affection awareness, satisfaction of life, and attachment. And Ments was negatively related borderline personality, depression, and anxiety. The Korean version of Ments were verified through the EFA, CFA, and criterion validit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이수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on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by the data from 247 adults by using path analysis.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traumatic event type groups. At first, The results of the MANCOVA, person-related traumatic ev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in negative coping and trauma stress level, and lower in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The path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raumatic event type was related to wisdom by mediate factors. Traumatic event type affected wisdom through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The significant mediators were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Negative coping was not a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event typ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non-personal traumatic event group are tends to hav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positive coping,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In the end, we described that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본 연구는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에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47명의 성인자료를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스트레스 대처 반응 검사, 사회적 지지척도, 외상후성장 척도, 초월적 지혜척도를 실시하였다. 먼저, 두 외상 유형 집단인 대인외상 집단과 비대인외상 집단을 비교하여 외상후성장과 외상 정도, 사회적 지지, 대처, 지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대인외상집단의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 및 지혜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외상집단의 외상 정도, 회피적 대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경로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상 유형이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을 매개로 지혜에 영향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 긍정적 대처, 외상후성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외상 유형에서 긍정적 대처로 가는 경로와 사회적 지지에서 회피적 대처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대인외상 유형이며, 사회적 지지가 높고, 긍정적 대처를 사용할수록 외상후성장이 높고 지혜가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외상에 대한 개입방안,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