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손연 ( Son-yeon Lee ),변길희 ( Kil-hee Byon ),심성경(교신저자) ( Seong-kyung S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과 K어린이집의 만 3세 4개 학급의 유아 총 64명으로, 두 학급의 유아 32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만 본 연구자가 고안한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영자,이종숙, 신은수(2002)의 유아용 정서지능 평정척도와 Barnett(1982)이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것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 인식과 표현, 정서에 의한 사고촉진, 정서 지식의 활용, 정서의 반영적 조절 등 유아의 정서지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다. 둘째,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등 유아의 놀이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동화에 기초한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children of 3 years of age in 4 classes at two day care centers in D city, South Korea.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thirty two children of one center respectively.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designed by researcher were implemented to only experiment group. Test tool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for children of Lee Young ja, Lee Jong sook and Shin Eun soo(2002) and a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of Yoo Ae Yeoul(1994)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generally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terms of four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thinking stimulation by emotions, use of emo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control of emotions. Second, indoor sandplay activities based on fairy tales generally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terms of five sub-areas of playfulness: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voluntariness, expression of delight, and sense of hum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