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칭대명사를 통해 본 ‘이, 그, 저’의 의미 영역

        이소흔(Lee, So-he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6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9

        본고는 ‘이, 그, 저’의 인칭대명사 실현 양상을 통해 ‘이, 그, 저’의 의미 영역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그, 저’의 대명사 용법이 없어져 가는 시기인 20세기 초에 3인칭대명사로 ‘그’가 선택되어 쓰이기 시작하였는데, 본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3인칭대명사 ‘그’는 일반적인 3인칭대명사 용법과 다르다. ‘그’가 어떻게 3인칭대명사로 선택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의 의미를 살펴보아야 한다. 국어의 지시 체계는 3계열이지만, 대립 구도는 ‘이’와 ‘저’이다. ‘이’와 ‘저’는 결합하면 [+전체 영역]의 의미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대립 구도의 기준은 ‘화자와의 거리’이다 ‘저’와 ‘그’의 의미 영역은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나 이 또한 ‘화자와의 관계’에 따라 영역을 구분 지을 수 있다. 이것은 인칭대명사의 실현 양상을 통해 알 수 있다. This paper determine semantic domains of ‘i’, ‘geu’ and ‘jeo’ through aspect of realization of person pronouns, ‘i’, ‘geu’ and ‘jeo’. In early 20C, when usage of ‘i’, ‘geu’ and ‘jeo’ had been missed, ‘geu’ was chosen to be used as a third person pronoun. ‘Geu’ is different from other third person pronouns in terms of having its original meaning. For detemining how ‘gue’ was chosen as a third person pronoun, meaning of ‘gue’ should be examined. Although Korean direction system is three sequence, there is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i’ and ‘jeo’. When ‘i’ and ‘jeo’ are combined it means [+whole domain]. In this case, a criteria of the conflict composition is ‘distance from a speaker’. Although a boundary between ‘jeo’ and ‘geu’ is not dear, their semantic domain also could be divided depending on ‘relationship with a speaker’. It could be known through aspect of realization of person pronoun.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하게’체 어미와 ‘해’체 어미의 의미·기능 실현 양상 ―평서형 어미와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이소흔(Lee So-Heu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기 ‘하게’체와 ‘해’체에서 형태가 같은 평서형과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의미·기능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초에서 현대국어로 이어지는 종결어미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하게’체 어미 중 일부는 ‘해’체로 분화되는데, 이유는 ‘하게’체와 ‘해’체로 실현될 때 기능이 같지 않아서다. 즉 ‘해’체 어미로 분류되는 것은 어미에 양태 의미가 나타날 뿐 아니라 ‘-요’와 결합해서 ‘해요’체가 실현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게’체 일부 형태가 문맥에 따라 의미·기능이 달리 실현됨으로써 하나의 형태에서 의미·기능이 분화돼 ‘하게’체와 ‘해’체로 나뉜다. 그런데 특성상 양태 의미를 유지하는 ‘-더-’와 ‘-ㄹ’이 결합된 ‘-데’와 ‘-ㄹ가’의 경우 두 화계의 구분은 쉽지 않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20세기 전반기 텍스트에 나타난 평서형 어미 ‘-네’와 ‘-데’, 의문형 어미 ‘-ㄴ가’와 ‘-ㄹ가’의 사용 양상을 통해 ‘하게’체와 ‘해’체가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살폈으며, 3장에서는 4~50년대 영화 속 대사를 중심으로 Praat 실험을 통해 이 어미들의 억양을 살폈다. 그럼으로써 ‘하게’체와 ‘해’체가 분화되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ransition of final endings from the first 20th century to the contemporary Korean through investigating the realization of semantic functions focused on declarative endings and interrogative endings that have the same form in ‘Hage’ style and ‘Hae’ style. Some of ‘Hage’ style endings are divided into ‘Hae’ style, because their functions are different when they are realized. That is, being classified as ‘Hae’ style endings has not only modal meaning also is combined with ‘-yo’, being realized to ‘Haeyo’ style. In this way, some of ‘Hage’ style forms are divided into ‘Hage’ style and ‘Hae’ style as semantic functions are differentiated and rea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case of ‘-deo-’ in which modal meaning is maintained due to the nature with the cases of ‘-de’ and ‘-eulga’ combined with ‘-eul’. Based on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Hage’ style and ‘Hae’ style were realized in texts of the first 20th century through the usage patterns of declarative endings ‘-ne’ and ‘-de’ and interrogative endings ‘-eunga’ and ‘-eulga’ in Chanpter 2, and their intonation patterns were examined by praat experiment with the lines in the movies of 1940s and 1950s in Chapter 3. In doing so, we could identify the aspect in which ‘Hage’ style and ‘Hae’ style are di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