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에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분석

        이소영,신태섭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affecting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writing, a research model in which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writing ability was empirically tested. The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Moder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a Bootstrap method. A survey that measur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writing ability was administered to 563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stery approach has a direct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y and writing ability. Mastery avoid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self-efficacy. Performance avoidance influences writing meta-cognitive strategy directly.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corporating motivational components in writ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쓰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쓰기와 관련된 자기효능감과 상위인지전략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쓰기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에 포함된 숙달접근목표는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숙달회피목표는 부적, 수행접근목표는 정적으로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회피목표는 상위인지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상위인지전략과 쓰기능력에, 상위인지전략은 쓰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나타난 경로계수는 남학생집단은 쓰기의 수행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면, 여학생집단은 쓰기의 숙달접근목표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적용한 학습에서의 쓰기 및 쓰기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연구보고서 2012-09] :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이소영,오은주,이희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12 No.-

        본 연구는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 및 농촌할 것 없이 지역 전반에서 야기되고 있는 심각한 지역쇠퇴문제에 대응하여 지역 전반의 쇠퇴실태 및 관련 지역재생정책 분석을 통하여 쇠퇴지역의 재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도시쇠퇴 또는 중심시가지 쇠퇴에 대응한 도시재생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들이 이미 존재하므로, 먼저 제2장에서는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지역쇠퇴 및 지역재생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지역쇠퇴를 ‘기초자치단체의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의 전체 또는 지역의 한 부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태가 악화된 현상’으로 개념 정의하고, 지역재생이란 말 그대로 ‘지역을 재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시 소생시킨다는 의미에서 이미 전제되어 있듯이, 이는 한 때 번성했던 지역이 쇠퇴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회·경제적·물리적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고 재활성화해야 한다는 정책적 목표를 지니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의 지역재생 관련 정책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역재생에 관한 종합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도 지역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독자적인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있지 못함을 파악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2장에서 규정한 지역쇠퇴의 개념 정의에 따라 228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쇠퇴지역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지역쇠퇴진단을 위한 지표는 경제·사회·물리적 부문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하여 쇠퇴양상을 파악하였다. 관련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경제·사회·물리적 영역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복합쇠퇴지수 지표체계를 구성하여, 228개 지역에 대한 복합쇠퇴지수를 산출, 쇠퇴수준 상위 30%에 속하는 시군구를 쇠퇴지역으로 선정하여, 한국의 쇠퇴지역 특성을 밝혔다. 쇠퇴지역이 가장 밀집되어 나타나는 곳은 경상북도와 전라북도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규모가 작은 군지역들이 많았다. 2005년과 비교하여 보면, 2010년 들어 자치구들의 쇠퇴가 심화되어가는 지역들이 늘어나고 있었으며, 특히 산업·경제 영역에서의 쇠퇴가 현저하게 눈에 띄는 곳이 많았다. 한편, 정량지표의 기술통계로는 밝힐 수 없는 지역쇠퇴의 특성 및 원인 등을 보다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제5장에서는 복합쇠퇴지수에 의해 쇠퇴지역으로 선정된 지역 가운데 시군구별로 한 지역을 선정하여 심층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단위에서는 대구 서구, 군 지역으로는 경북 울진군, 시 지역으로는 남원시에 대해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쇠퇴지역의 쇠퇴 추세 및 특성, 각 자치단체들의 지역재생 관련 제도 여건 및 시책을 분석하고, 그간의 지역재생정책을 평가하여 향후 재생방안을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해외의 지역재생제도를 영국 및 일본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한국의 지역재생제도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상의 분석과정을 통하여 제7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목적이었던 지역 재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쇠퇴지역의 지역 재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은 단기적 방안과 중장기적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단기적 개선방안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한 현행 지역발전정책체계가 유지됨을 전제로 지역재생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중장기적 개선방안은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수립 가능성을 전제하고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단기적 개선방안으로 쇠퇴지역에 대한 지역 재활성화를 위한 지역재생사업 시책 추진을 제안하고, 시책 추진을 위하여 균특법의 개정을 통한 쇠퇴지역의 정책적 개념 및 선정 기준 등 마련, 광특회계 지역개발계정의 포괄보조사업군으로 쇠퇴지역 재활성화의 사업을 추가 등을 제시하였다. 중장기적 제도 개선방안으로는 지역재생특별법 제정, 지역재생특별회계의 설치 또는 지역재생기금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policy for declining regions in urban and rural areas. Chapter 2 discusses the existing literatures on declines of cities or central places and suggests the concept of regions' decline and regeneration in this study. Chapter 3 explores policy structures of central government for regions' regeneration and the regulations and efforts of local government. It points out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till does not have comprehensive supportive systems for the regeneration and local government does not have stable institutional grounds for regeneration programs and polices. Chapter 4 tries to identifies the decline patterns of 228 local governments (Si-Gun-Gu) using multiple decline index. The multiple decline index is composed of indicators considered to represent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features. The top 30 percent among 228 local governments are extracted and majority of them are small-sized Gun regions and inland areas of Gyeongsangbuk-do and Jeollabuk-do. Chapter 5 conducts in-depth cases studies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declining regions selected from the top-30-percent regions one by one according to Si-Gun-Gu system. The chosen regions are Seo-gu, Daegu, Namwon-si, Jeollabuk-do, and Uljin-gun, Gyeongsangbuk-do. Chapter 6 looks into regeneration policy and projects in advanced countries to identify successful elements of their regeneration strategies. Chapter 7 proposes institutional changes necessary to execute successful regeneration programs in declining regions.

      • KCI등재

        조정대화에 나타나는 조정자의 대화전략 - 입장차이를 중심으로

        이소영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9 No.-

        본고에서는 갈등이 일어나는 대화 상황에서 제 3자로서의 조정자가 개입하여 대화참가자들이자신의 대화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을 연구한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하는 조정대화는 중재대화보다 폭 넓은 개념으로, 법적인 구속력이 없더라도 제 3자가 나서서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시도가 포함된 대화단면을 포괄한다. 대화참여자들은 대화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입장차이의 상태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대화목표를 설정하게 되며, 조정자는 이러한 입장차이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 즉 협력을 위한 대화전략을 모색한다. 본고에서는 조정자의 전략을 입장차이의 조정 양상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입장차이를 고정하는 조정이 있는 한편 입장차이에 변화를 가져오게하려는 조정 전략이 있을 수 있다. 입장차이에 변화를 시도하는 전략 중에는 조정자와 피조정자간의 입장차이에 변화를 주는 전략과, 피조정자들 간의 입장차이에 변화를 주고자 하는 조정 전략을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피조정자들 간의 입장차이에 있어서의 변화는 조정대화에서 생각할수 있는 전형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는 쌍방의 입장차이에 대한 변화를 주고자 하는 전략이 있을 수 있고 일방의 입장에만 변화를 주려는 전략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자는 피조정자들의 중간 입장을 취하면서 이들의 입장변화에 따르는 부담과 충격을 최소화하기위한 전략을 사용한다.

      • 자녀 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이소영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보건복지포럼 Vol.268 No.-

        이 글에서는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를 통해 나타난 우리나라 15~49세 기혼 여성의 자녀 출산에 관해 살펴보았다. 조사에 응답한 기혼 여성 중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9.9%로 2015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 감소한 수준이다. 이상자녀수는 2.16명이나 실제 출산한 자녀수는 1.75명으로 이상자녀수보다 0.41명 적으며, 향후의 출산계획까지 고려하여도 이상자녀수보다 0.24명이 적다. 이는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기혼 여성은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출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국가의 경제적 지원과 일·가정양립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안전망을 견고히 함으로써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이 높아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에 의한 무인항공기 수출통제 정책 연구

        이소영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3 국방연구 Vol.66 No.1

        This paper examines the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exports, as the importance of these vehicles increases in modern warfare,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s policy to acquire them. Unmanned aircraft are controlled by the Missile Technology Control System (MTCR), an international regime designed to prevent their use as a transport system fo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 MTCR was formed by the U.S. and has evolved in response to changes in U.S. export control policies. This paper confirms that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subject to either strict or relaxed export control, depending on their loading capacity and range, and analyzes changes in U.S. export control policie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from the Reagan administration to the Biden administration. Specifically, the paper discusses how the U.S. has changed its interpretation of the MTCR through two policy announcements by the Trump administration, which have relaxed export control on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even suggest a new interpretation that the MTCR may not regulate these vehicles in the future. Given these changes in U.S. policy, Korea needs to reconsider its direction for acquiring unmanned aerial vehicles. 본 논문은 현대전에서 무인항공기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무인항공기의 수출이 어떻게 통제되고 있으며 그것이 한국군의 무인항공기 획득정책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가를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무인항공기는 대량살상무기의 운반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라는 국제레짐에 의해 통제되어왔다. MTCR은 미국의 주도로 형성된 체제이며 미국의 수출통제 정책 변화에 맞추어 발전해왔다. 이에 본 논문은 MTCR의 구체적 조문 분석을 통해 무인항공기가 적재능력, 사정거리에 따라 엄격한 수출통제 또는 완화된 수출통제를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레이건 행정부부터 시작하여 바이든 행정부에 이르기까지 무인항공기에 관한 미국의 수출통제 정책 변화 및 그 원인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특히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두 차례에 걸친 정책발표를 통해 MTCR에 관한 해석을 변경하여 무인항공기 수출통제를 완화하였고, 이는 향후 MTCR이 무인항공기를 규제하는 틀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새로운 해석까지 제시하고 있다. 한국은 이와 같은 미국의 정책변화를 고려하여 무인항공기 획득방향을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화 속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공손성

        이소영 한국독어독문학회 2020 獨逸文學 Vol.61 No.2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Höflichkeit im Gespräch hinsichtlich der konstitutiven Perspektive erläutert. Zu diesem Forschungszweck wurden zuerst die bisrherigen Untersuchungen im Themenbereich Höflichkeit beschrieben. Dabei wurde verdeutlicht, dass bei der Erforschung der Höflichkeit weniger das Konzept ‘Face’ die entscheidende Rolle spielt, als vielmehr der Zusammenhang zwischen Interaktanten und Kontexten. Aus diesem Grund wu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vor allem authentische Gespräche in Hinsicht auf die Höflichkeit analysiert. Zunächst wurden einige alltagssprachliche Äußerungen im Gespräch anlaysiert. Diese können als nicht unhöflich eingeordnet werden, obwohl sie normalerweise als unhöflich zu betrachtende Ausdrücke enthalten. Danach wurden Audsrücke zur Analyse verwendet, welche in der Regel als nicht unhöflich, aber im bestimmten Kontext als unhöflich angesehen werden können. Zur Bestimmung des Höflichkeitsgrades einer Äußerung müssen bestimmte Kriterien festgelegt werden. Dafür wu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Höflichkeitsmaximen von Leech(2005; 2014) zur Analyse herangezogen. Aus der Analyse lässt sich schließen, dass Ausdrücke erst im konkreten Kontext der Interaktion als höflich oder nicht höflich interpretiert bzw. rezipiert werden können. 어떤 표현을 공손한 표현으로서 생산하거나 받아들이는 것은 문화권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공손표현은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목적달성을 도와주는 핵심적인 요소에 속한다. 그런데 어떠한 표현은 일상적으로 공손하지 않은 것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특별한 맥락에서는 충분히 용인되기도 하고 또 전혀 문제가 없는 일상적인 표현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맥락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라 매우 무례한 표현이 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표현들을 실제 사용된 대화의 맥락 속에서 분석하여 공손성과 맥락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표현의 공손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리치(2014)의 공손이론에 바탕을 두고 공손격률을 근거로 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의해 공손한 것으로 혹은 공손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표현이라 할지라도, 특정 맥락에서는 이와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후의 대화 진행에서 나타나는 대화협력도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대화 분석하는 방법론을 취하였다. 발화자의 대화를 공손하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상대는 자신의 대화협력도를 낮춤으로써 발화자의 대화목적 달성의 속도를 저지하려 할 것이다. 따라서 대화 맥락에서 상대가 대화협력도를 낮추었는가 아닌가는 대화기여의 공손성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공손성은 반드시 맥락과 상관없이 미리 정해져 있거나 확고하게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행위의 참여자와 맥락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다양한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디지털 X-선 영상복원 시뮬레이션 및 정량적 화질평가

        이소영,최성일,오지은,조희문,이성주,박연옥,조효성 한국방사선학회 200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2 No.4

        의료영상 시스템을 통해 볼 수 있는 모든 X-선 영상은 피사체 본래의 특성만이 표현된 영상이 아닌 그 영상 시스템 고유의 특성이 반영된 영상이라 할 수 있다. 영상화질에서 시스템에 의한 열화는 시스템응답함수인 변 조전달 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로 설명되며 잡음력 스펙트럼(noise power spectrum; NPS) 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열화된 영상은 영상시스템의 MTF와 NPS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그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설계된 필터에 의해 원영상에 가깝게 복원(restoration)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복원 시뮬 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직접 역필터링(direct-inverse filtering), 제한된 역필터링(limited-inverse filtering), 위너 필터링(Wiener filtering) 기법을 바탕으로 열화된 영상을 원 영상에 가깝도록 복원하고 복원영상의 화질 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Images acquired by a digital X-ray imaging system are inherently degraded due to system degradation process and additive noise sources. The system degradation in image quality is typically described as the system response function characterized by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and the noise term described as the noise power spectrum (NPS). In this case, we can restore the blur imag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riginal image by using modified filtering designed for digital imaging system, as we know more precisely about the MTF and the NPS. In this paper, by performing simulation, we tried to restore blurred images taken from a digital X-ray imaging system based upon conventional filtering techniques such as a direct-inverse filtering, limited-inverse filtering, or a Wiener filtering, and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