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세진,홍진호,이경수,Lee, Se-Jin,Hong, Jin-Ho,Lee, Gyeong-Su 대한기계학회 200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5 No.2
A throttle/brake control law for the intelligent cruise control(ICC) systems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The ICC system consists of a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algorithm and a throttle/brake actuators. For the control of a throttle/brake system, we introduced a solenoid-valve-controlled electronic vacuum booster and a step-motor controlled throttle actuator. Nonlinear computer model for the electronic vacuum booster has been developed and the simulations were per formed using a complete nonlinear vehicle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e proposed throttle/brake control law can provide the ICC system with an optimized performance.
세종형 주민자치회 실행력 제고를 위한 자치분권특별회계에 관한 연구 : 구조개선 및 합리적 배분방안 검토를 중심으로
김흥주(Kim, Heung Ju),이세진(Lee, Se Jin),박상철(Park, Sang Chul)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자치사업의 안정적 재원확보 측면에서 자치분권특별회계에 대한 검토와 함께 세종형 주민자치회의 실행력 제고차원에서 특별회계의 개선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자치분권특별회계의 구조를 단순・명확화하고 마을자치를 위한 합리적 예산 배분기 준(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시민주도로 마을의 주요사업들이 이루어지도록 자치분권과제(5대 12개 과제)들을 추진하는 등 풀뿌리 주민자치를 실질화 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한 주민자치사업의 재정적 뒷받침을 위해 자치분권특별회계를 신설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자치분권특별회계는 몇 가지 한계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위한 문헌연구, 학계, 공직자, 주민자치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자문 및 전문가 조사를 병행해 자치분권특별회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한 검토를 하였 다. 무엇보다도 특히 자지치분권특별회계의 합리적 배분을 위해 근거가 될 만한 주요지표조사, 전문가 조사를 통한 배분지표 도출, 통계적 분석 방법(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통한 적합한 배분모형설정, 그리고 모형설정에 근거한 읍・면・동별 자치분권특별회계 배분 추정치(시뮬레이 션)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니계수를 활용한 재정불평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치분권특별회계의 개선 방향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자치분권특별회계의 정체성 강화, 단순・명확화 방향 검토, ② 마을계획사업 중심의 확대, 협의사무에 대한 개념정립, 그리고 위・수탁사업에 대한 검토, ③ 합리적 배분지표의 도출및 활용, ④ 우수사례에 대한 평가 및 인센티브 강화, ⑤ 특별회계 배분지표에 예산집행율 반영과 함께 사업선정에 있어서 사전검증 강화 노력, ⑥ 자치분권특별회계를 포괄적 보조금(Block grant) 형태로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국 최초로 설치된 자치분권특별회계 제도를 진단하고 개선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타 자치단체에 참고가 될 수 있다는데 그 차별성과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 account for self-government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secur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resident self-government projects. Also.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 of the special account to improve the execution power of the Sejong-hyung Residents Council. For doing this, we have focused on the accounting structure by simplifying and clarifying the complexity of special accounting and developing indicators for each town, village and dong to present a reasonable budget allocation standard for village autonomy. In terms of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 ① Reinforcement of the identity of the special account for autonomous decent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and clarity, ② Expansion of village planning projects, establishment of consultation work, and review of consignment projects, ③ Derivation and utilization of rational indicators, ④ Reinforcement of evaluation and incentives for best practices, ⑤ Actively reflecting the budget execution rate in the distribution index and strengthening the pre-verification of the project, ⑥ Comprehensive subsidies(block grant) for special accounts of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differentiated and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other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diagnosing and improving the self-governing special accounting system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1960-70년대 경인공업지대의 형성과 노동생산성 : 노동자의 생계비와 규율권력을 중심으로
이세진(Lee Se 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79 No.-
이 글은 경인공업지대의 조성과 노동생산성을 분석하였다. 1960-70년대 한국경제성장의 근간을 이룬 것은 바로 수출지향적 공업화와 높은 노동생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수출지향적 공업화전략과 높은 노동생산성은 박정희 정부의 엄혹한 군대식 규율사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1960-70년대 당시 상황을 살펴보면 한국의 높은 노동생산성은 몇 가지 요소가 결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수출지향적공업화로서, 박정희는 1965년 연두교서에서 “수출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고 하였다. 박정희 정부 입장에서는 수출만이 살길이었다. 박정희 정부는 수출지향적공업화에 한국경제의 모든 것을 희생해서라도 이루어야 할 과업이었다. 둘째 생계비와 높은 노동생산성으로서, 한국의 이촌향도한 이주자들이 도시 공업지대의 노동자로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부딪힌 문제는 도시적 현상과 맞물려 있는 부족한 주거의 전세, 월세 등 도시공업지역의 노동자들은 생계비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초과 노동’, ‘잔업’ 등을 해야만 했다. 도시노동자들의 생계비 마련을 위한 초과노동, 잔업, 도급계약 등이 높은 노동생산성을 유발하였다. 셋째 박정희 정부는 수출지향적 공업화를 추진하기 위해서 사회를 군대식의 규율권력으로 관리, 통제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규율화는 수출지향적 공업화의 필요조건이었으며, 높은 노동생산성의 필요조건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labor productivity of Gyeongin Industrial Zone. The remarkable high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1960s and 1970s is recognized by the world. It can be said that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high labor productivity were the foundations of Korea s economic growth at that tim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strategy and high labor productivit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se two are based on the strict military-style disciplined society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Looking at the situation in the 1960s and 1970s, Korea s high labor productivity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First, a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promoted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62, but failed to produce results, so a supplementary plan was formulated in 1963 and announced in 1964. The core of the security plan was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it was from 1965 that the supplementary plan wa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State of the Union Address in 1965, Park Chung-hee said, “Give me death if it is not for export.” For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exports were the only way to survive.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was tasked with sacrificing everything in the Korean economy for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Second, as the cost of living and high labor productivity, the problem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Korean immigrants from remote villages as workers in urban industrial areas is that workers in urban industrial areas, such as the insufficient housing jeonse and monthly rent, which are intertwined with the urban phenomenon, cannot afford the cost of living. In order to do this, they had to work overtime and overtime . Overtime work, overtime work, and subcontract contracts for urban workers to raise their living expenses caused high labor productivity. Third,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managed and controlled society as a military-style discipline in order to promot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e regulation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can be said to be a military-style mobilization that can succeed in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high labor productivity of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