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 KCI등재
      • KCI등재

        청둥오리에서 Riemerella anatipestifer 감염 증례

        이성효 ( Seong Hyo Lee ),임채웅 ( Chae Woong Lim ),서석열 ( Surk Yul Seo ),도홍기 ( Hong Ki Do ),노수일 ( Soo Il Roh ),이호일 ( Ho Il Lee ),임병무 ( Byung Moo Rim ) 한국가축위생학회 1999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22 No.3

        Riemerella anatipestifer (RA) infection is a contagious disease of domestic ducks, turkey, and various other birds. In a flock of mallard ducklings, about 30% of the birds, 3 weeks old, showed lethergy, greenish diarrhea, tremor of head and neck, and died 2-3 days after signs appeared. Grossly, fibrinous exudates covered the heart and surface of the live. Microscopically, mononuclear cells and heterophils were primarily inflammatory cells in the exudate. These were also observed in the meninges in brain. Microbiologically, gram (-) short rod bipolar shaped bacteria were recovered on blood agar and agglutinated by antisera of R anatipestifer. Sulfamethoxasole/trimethoprim were administered and clinically effective. This case was a R anatipestifer infection caused fibrinous pericarditis, hepatitis and meningitis in mallards.

      • 아우구스티누스의 『인내론』(De patientia) 친저성 문제와 내용이해

        이성효(Lee, Seong-Hy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4 가톨릭신학 Vol.5 No.-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인 『인내론』의 친저성의 문제는 이미 오래 전 15세기에 에라스무스(Erasmus)에 의해 제기되었다. 구스타프 콩베(G. Comb?s)는 『인내론』을 둘러싼 세 가지 문제점을 소개하고 이에 대해 반박하면서 친저성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아고스티노트라페(A. Trap?)가 제시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눈으로 아우구스티누스를 읽어야 한다.”라는 방법론을 구현하는 실천 방법으로 『인내론』의 친저성 문제를 부각시킨다. 친저성에 이의가 없는 다른 작품에서 발견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고유한 내적 문제(아우구스티누스의 눈)로 『인내론』을 새롭게 읽는다. 내적 문체로서 ‘기쁨’ 개념이 사용된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기쁨은 하느님 안에서는 분산되지 않고 오히려 하느님 안으로 응집되지만, 인간 안에서는 사라질 수 있다. 완전한 기쁨은 “당신의 모상대로 우리를 창조하신 삼위일체 하느님을 향유하는 것”에서 기인한다(『삼위일체론』 I, 8, 18). 그러나 인간은 하느님의 향유를 외면하고 일시적인 것들에로 ‘확장할’(distensus)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고백록』 XI, 29, 39). 이러한 인간의 한계는 교회 안의 형제들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 교회 안에서 발견되는 기쁨은 삼중적인 차원(나-너­하느님)을 가지고 있는데, 이 기쁨은 우리(너와 나)가 하느님의 시선 아래에 있음을 항상 상기시키면서 ‘너’에게 열린 나를 요구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문체를 형성하는 ‘기쁨’ 개념은 하느님에게서 출발하여 인간에게로 향하는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 『인내론』이 설명하는 ‘기쁨’ 개념에서 바로 이 역동성과 인간의 기쁨이 갖는 삼중적인 차원(나-형제들-하느님)이 발견된다. 따라서 『인내론』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내론』의 친저성을 확인하는 가운데 “아우구스티누스의 눈으로 아우구스티누스를 읽는다.”는 방법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The question of the authenticity of St. Augustin's "The Patience" was raised by Erasmus in 15th century. G. Comb?s introduced three questions about this authenticity and showed his agreement to "The Patience." We can also insist "St. Augustin be read with Augustin's eyes," which was originally presented by A. Trap?, and suggester the authenticity of "The Patience" be used as a way to read St. Augustin with Augustin's eyes. We use one concept, the joy, represented in St. Augustin's internal literary style. Joy is not dispersed but condensed in God, but in man it may disappear. The perfect joy is caused by "the enjoyment of the Trinity God who created the world in his image and likeness." (『The Trinity』 1.8.18) But there is a limit that man tends to avert his eyes from the enjoyment of God and tries to catch the transient. (『The Confession』, XI, 29, 39) That limit can be overcome by the believers in the Church. The joy in the Church is triple-dimensional (I-you-God), and it reminds us of the fact that God always looks at us (you and I) and "I" am required to be open to "you." The joy represented in St. Augustin's internal literary style has dynamics which comes from God to man. The dynamics and man's joy which has triple-dimension (I-brothers-God) are found in the concept of "Joy" explained in "The Patience". Therefore "The Patience" can be authenticated as Augustin's work. While making sure of the authenticity of "The Patience," we can understand how the method that Augustin should be read with Augustin's eyes is carried out.

      •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기쁨의 이중적 여정(旅程)' : 「입문자 교리교육」(De catechizandis rudibus)을 중심으로

        이성효(Seong-Hyo Lee)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가톨릭신학 Vol.7 No.-

        「입문자 교리교육」(De catechizandis rudibus)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데오그라티아스 부제 사이에 오간 편지이다. 데오그라티아스 부제는 교리교육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듣고자 편지를 썼다. 이에 대한 답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교리교육에 대해 본질적인 부분부터 실천적인 부분까지 데오그라티아스 부제에게 알려 준다. 본질적인 부분의 핵심에 그리스도와 사랑이 위치하며 실천적인 부분의 핵심에 기쁨이 위치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설명하는 기쁨은 “하느님께서는 기쁨으로 주는 사람을 사랑하십니다.”(2고린 9, 7)라는 바울로 사도의 말씀에 근거한다. “이 기쁨은 어떤 종류인가?” 또한 “이 기쁨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하는 기쁨이 무엇인지 밝힌다. 이 기쁨은 항상 영원하며 영적이다. 달리 말하면 영원성(永遠性)과 영성(靈性)은 무엇이 기쁨과 일치하는지 밝히는 일종의 기준 역할을 한다. 이 기준에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 작품에 나타나는 ‘미소 짓는 얼굴’이나 ‘감미로운 말’은 기쁨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이며 사목적 기쁨과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입문자 교리교육」 에서 발견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교 육의 원리는 ‘그리스도-사랑’이다. 데오그라티아스에게 건네는 그의 충고에 따르면 이 원리는 기쁨의 이중적 진행을 통해 성취된다. ‘감미로운 즐거움’에서 ‘영적 즐거움’으로 발전하는 영적 기쁨에 대한 현실적인 경험과, ‘인간의 기쁨’에서 ‘영원한 기쁨’으로 발전하는 기쁨의 영원성에 대한 희망 안의 긴장이다. De catechizandis rudibus is the letters of Augustine and Deogratias. Deogratias wanted to obtain advice from Augustine to seek the effective method in educating catechism. In response to this inquiry, Augustine informed Deogratias about the method of catechism which covered from fundamental to practical issues. The love of Jesus stood in the core of the fundamental issue, whereas joy was the main theme for the practical issue. The joy Augustine described is based on the words of St. Paul, "God loves a cheerful giver." (Ⅱ Co. 9,7). The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joy is this?" or "What is this joy for?" are used to reveal the joy Augustine had in mind. The joy, in his definition, is everlasting and spiritual. In other words, eternity and spirituality both act as a measure to decide what belongs to joy. This measure reveals that the terms in his work such as 'a smiling face' or 'a sweet words' express joy and at the same time coincide with ministerial joy. In conclusion, the principal of education found in De catechizandis rudibus is 'Jesus-love'. In the advice from Augustine, it is found that this principal operates with two different paths to joy - the real experience of evolving from' sweet pleasure' to 'spiritual joy' and the tension fanned in the hope of achieving eternal joy through developing from 'joy of human being' to 'eternal joy'.

      • KCI등재후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앙과 신경」에 나타난 ‘신경’(symbolum)에 대한 소고

        이성효(Seong-Hyo Lee)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7 가톨릭신학 Vol.11 No.-

        신경(symbolum)이란 초대 그리스도교 공동체부터 고백한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종합적인 표현의 틀에 담아 제시한 것으로 ‘신앙고백’, ‘신앙 규칙’, ‘크레도’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가톨릭교회는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경 두 가지 공식적인 신경을 가지고 있다. 니케아 신경의 기원은 확실한 반면 사도신경의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2세기 말까지 소급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 「신앙과 신경」 은 ‘니케아 신경’과 확연히 구별되는 4세기 북 아프리카교회가 사용한 세려l신경을 소개한다. 이 신경을 공송된 형태로 복원하면 세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복원한 신경의 형태가 ‘사도 신경’과 유사한 면이 많다. 둘째, 아우구스티누스가 북 아프리카교회 시노드에 참석한 모든 주교 앞에서 공적으로 설명한 신경이다. 셋째, 고백 형태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설교집」 212, 213, 214, 215에 나오는 신경과 부분적으로 닮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시될 수 있다. 북 아프리카교회는 알려지지 않은 단일한 신경을 전승받았다. 이 신경의 원천은 사도신경의 원천과 같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북아프리카 교회의 모든 주교들이 알고 있는 전승된 신경을 자신의 작품 「신앙과 신경」에서 해설한 것이다. Creed(symbolum) is a kind of STATEMENT which suggests cores of faith, which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framed their general expression of Faith and is called confession of faith , rules of faith or credo . The Catholic Church has two kind of official creeds, one is the Apostles Creed and another is the Nicene Creed . The origin of the Apostles Creed is not certain, while that of the Nicene Creed is, and it goes back to the end of second century. In the work Faith and Creed , Augustine introduced the Baptismal Creed , certainly different from the Nicene Creed , which had been used in North African Church during the 4th century. In this Creed restored to the form of common recitation, we can find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restored Creed has many similarities to the Apostles Creed in morphology. Second, the Creed was explained officially in front of yhe bishops who attended the Synod of North African Church by Augustine. Finally, the form of confession is partly similar to the Creed expressed in the paragraphs 212, 213, 214, 215 of the Augustine s Sermons . When we consider it in all these bearings, we can suggest the following hypothesis. A unknown unique Creed had been handed down in the North African Church. The origin of the Creed is equal to that of Apostles Creed . Augustine elucidated the descended Creed which was known to all bishops of the North African Church in his own work Faith and Creed .

      • KCI등재
      • KCI등재
      • 통시적(Diachronique) 관점에서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1 No.-

        통시적 방법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살펴보면, 시기에 따른 특징적인 해석기준을 밝혀낼 수 있다. 이 해석기준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를 재조명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초기작품(386-388)에 나타나는 인간 이해에 대한 특징적인 면은 먼저 아우구스티누스가 하느님과 영혼에 대한 이해에 집중하는 점이다. 비록 그리스 철학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해 anima, animus, mens 등 영혼을 지칭하는 개념을 인간의 ‘이성적 영혼’(anima rationalis)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의 전통적 가르침인 ‘하느님 모상(imago Dei)’과 ‘하느님 유사성(similitudo Dei)’을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으로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니교 반박 시기(388-411)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육체가 없는 것’과 ‘영적인 것’을 모순되지 않다고 보고 이를 영혼 개념 안으로 통합시킨다. 더 나아가 인간존재의 보다 심층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정신적육체적 상태’(affectio)를 통해 사람을 이해한다. 마니교도 논박을 위해 제시한 인간 이해의 해석기준은 하느님께로 '향하는 사람’(conversio)과 ‘등을 돌리는 사람’(aversio), 곧 ‘conversio - aversio’로 나타난다. 펠라기우스 반박시기(411-430)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내면으로 들어가 심리·내면적 인간 이해를 시도한다. 펠라기우스는 신플라톤적 인간 이해의 세 요소(영 혹은 정신Νους-영혼Ψυχη-육신Σαρξ)와 육신(corpus)이란 범주에 모두를 하나로 묶는 스토아적 인간 이해를 그대로 수용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러한 펠라기우스의 인간 이해가 성경의 인간 이해와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spiritus와 mens개념을 통해 논증한다. 또한 ‘영혼’과 ‘영’을 ‘영혼’으로 통합시키면서 펠라기우스파의 주장의 오류를 밝힌다. 영혼은 사람의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영혼에 대한 이해 없이 하느님을 알 수 없고 하느님에 대한 이해 없이 사람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기준은 ‘하느님 모상’, ‘하느님 유사성’, ‘회개와 회피’(conversio-aversio), ‘육체·정신적 상태’(affectio), ‘내적 인간’(homo interior) 등이다. 이 해석기준은 그의 인간 이해에서 차지하는 ‘영혼’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가치를 잘 드러낸다. 바로 ‘영혼’은 하느님의 모상이요 유사성이며, 회개와 회피 사이에 또한 겸손과 교만 사이에 노출된 인간존재이고, 그리스도의 은총에로 향하는 내적인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Si nous recherchons à la manière diachronique la compréhension par Augustin de l'homme, nous trouvons sa concentration sur Dieu et l'â̂me de l'homme dans les oeuvres écrites entre l'année 386 et 388. Il adopte les conceptions de la philosophie grecque, qui désignent l'â̂me, à savoir anima, animus, mens, pour traiter de l'â̂me rationnelle, mais son critère principal de cette compréhension es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notions que l'on emploie à propos de l'homme dans la tradition ecclésiale.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manichéens(388-411), Augustin relève le lien entre la conception d’incorporéité et celle de spirituel dans l’âme. Bien plus il comprend l’homme par l’affection spirituelle et corporelle, en regardant le plus profond de l’homme. Ainsi, nous découvrons que le critère principal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lui est l’aversion et la conversion. A la période de la controverse contre les pélagiens(411-430), Augustin, entrant dans son intérieur, essaie de comprendre intérieurement et psychologiquement l’homme. Les pélagiens acceptent la compréhension platonicienne de l’homme composé d’ésprit(Νους), d’âme(Ψυχη) et de corps(Σαρξ), et celle stoïcienne de l’homme harmonisé dans le corps. En utilisant les concepts de spiritus et mens, Augustin révèle la différence entr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dans la Bible et celle faite par les platoniciens et stoïciens. Enfin il manifeste la fausseté pélagienne, en intégrant l’âme et l’esprit dans l’âme. A cette époque-là, pour lui, l'â̂me désigne l'homme total. Car on ne peut pas comprendre Dieu sans comprendre l’âme, et l’homme non plus sans comprendre Dieu. En conclusion, les critères principaux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hez Augustin sont l’image et la similitude de Dieu, l’aversion et la conversion, l’affection corporelle et spirituelle, ainsi que l’homme intérieur. Cela trahit l’importance du concept d’âme dans sa pensée, âme qui est l’homme en tant qu’image de Dieu, située entre l’aversion et la conversion, et entre l’humilité et l’orgueil. Enfin, l’âme désigne chez lui l’homme intérieur se mouvant vers la grâce du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