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조천록(朝天錄)」 연구(硏究)

        이성형 ( Soung Hyung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本稿는 白沙 李恒福이 ``丁應泰의 誣告事件``을 해결하기 위해서 陳奏使로 明에 다녀오면서 見聞과 所懷를 기록한 「朝天錄」을 연구함으로써 文學世界와 함께 使行文學으로써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使行文學은 使命의 완수를 위한 公的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紀行文學과는 다른 성격을 갖고 있지만, 使臣은 일반적으로 뛰어난 文士중에서 선발되었기 때문에 창작된 작품의 수준이 높았으며, 특히 白沙의 「朝天錄」은 對明關係 使行文學 硏究에 중요한 작품으로써의 가치를 갖고 있다. 「朝天錄」의 문학세계는 크게 ``異國景物에 대한 稱歎``, ``使行旅程의 哀歡``, ``憂國愛民의 衷情``, ``歷史의 鑑戒``로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다. 「朝天錄」의 문학적 의의는 기존의 使行錄에 비하여 한층 발전적인 모습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후대 使行錄과 使行文學이 내용과 형식면에서 다양하고 우수한 많은 작품들이 창작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남은 과제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使行文學에 대한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使行文學고유의 문학적 의의를 도출해 내고, 또한 古文家로서 인정을 받았던 白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emissary literature by studying "Jocheonnok" in which experiences and impressions on the way to Ming are recorded by envoy Baeksa Lee Hang-bok to solve the false charge case on Jeong Eung-tae. Emissary literature is different to general travel literature because it has a public goal to accomplish an envoy mission. However, emissary literature works are excellent because they were written by envoys selected among excellent literary men. In particular, Baeksa`s Jocheonnok is valuable as an important work for the study of the emissary literature related to Ming. The literary world of Jocheonnok can be analyzed by roughly dividing it into "impression on foreign culture," "joys and sorrows of the envoy trip," "patriotism," and "historical lessons." Jocheonnok is meaningful in literature in that it was likely to have an effect on the creation of excellent emissary literature works with various contents and styles by suggesting more developed contents and styles compared to the existing emissary literatu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discover the unique significance of emissary literature by investigating its characteristics which have not been fully researched and to study on Baeksa who was recognized as an brilliant literary man in old times.

      • KCI등재

        연헌(蓮軒) 이의무(李宜茂)의 한시(漢詩) 일고찰(一考察) - 『잡시류(雜詩類)』를 중심(中心)으로 -

        이성형 ( Lee Soung-hyung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8 No.-

        李宜茂는 조선 成宗과 燕山君 대에 주로 활동했던 대표적인 문신으로 시문이 뛰어났고, 문장의 품평에 탁월했으며, 문한에 관련된 일에 모두 참여한 인물이었다. 이의무의 문집인 『蓮軒雜稿』에는 352제 496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卷2의 「雜詩類」는 다양한 주제의 215제 338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잡시류」의 작품세계로 먼저 酒中仙의 風貌와 安穩自適의 趨向을 노정한 작품을 보면, 이 의무는 원래 詩酒를 매우 즐겨서 스스로 ‘酒中仙’을 자임했는데, 시주를 매개로 자신의 豪狂함을 드러내기도 하고, 혹은 安穩自適한 생활을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의 혼란했던 정국에서 포부는 크지만 만년에 낮은 관직에 蹇滯되어 시주를 통해서 위안을 받으려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로 典故의 代喩를 통한 포부를 표명한 작품을 보면, 여러 작품에서 전고를 즐겨 사용했는데 그 중에서는 전고의 대유를 통해서 은연중에 자신의 포부를 표명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의무가 강서파의 송시풍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仕宦에 대한 矛盾感情의 노정을 표현한 작품을 통해서는 처한 위치와 상반되는 상황을 동경하고 추구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기실 이러한 심리기제는 관료문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이의무는 당시의 시대 분위기와 자유로운 성품 등으로 다른 문인들에 비하여 그 경향성이 농후한 편이다. 네 번째로 「잡시류」에 목민관이나 사행을 떠나는 인물에 대한 송별시의 비중이 높아 致君澤民과 壯遊를 勸勉한 작품이 많다. 교유했던 인물이 목민관으로 부임을 앞두고 있을 경우는 선정을 권면하는 것과 더불어 歸養을 중시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사행은 장유를 위한 기회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Lee Eui-moo is a representative tattoo that was mainly active in Joseon Seongjong and Yeonsan-gun, and was excellent in poetry, excellent in the quality of sentences, and is evaluated as a person who participated in all publications related work. In Lee Eui-moo’s collection of books, Yeonheonjapgo, contains 352 Chinese poems of 496 verses, while Book2’s “Jabshiryu” contains 215 articles 338 verses of various themes. First, look at the work that expresses the appearance of Bacchus in alcohol and the pursuit of a comfortable and free life, Lee Eui-moo originally enjoyed poetry and liquor very much, and was proud of himself as ‘Bacchus in alcohol’. He showed his excitement through poetry and alcohol, or showed his free life. It is understood that in the turbulent times of the time, hopes were great, but in the later years, he was delayed by a low government office and tried to receive comfort through poetry and alcohol. Secondly, looking at the works that expressed hope through the great metaphor of the classics, it can be seen that Lee Eui-moo pursued the Song Dynasty Chinese poetry style. Lee Eui-moo liked to use classics in several works, and among them, through the metaphor of his classic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endency to reveal his hopes in his implicit appearance. Third, through the works expressing the contradictory feelings toward his head, we can see the tendency to long for and pursue situations that are contrary to his position. In fact, this psychology is a general tendency of bureaucrats, but Lee Eui-moo has a clear tendency compared to other literary figures due to the atmosphere of the times and the free nature of the time. Fourth, the proportion of farewells to people leaving local governments or envoy’s is high in “Jabshiryu”, so many works recommend sightseeing with Chiguntaekmin. When a person with whom he has been associated is about to be assigned to a local government office, he tends to focus on working well and filial piety.

      • KCI등재

        天槎大觀 과 路程記 의 相關關係와 內容構成 比較 1) 1. 緖 論 2. 作者間 交遊關係와 刊行目的 分析 3. 天槎大觀 과 路程記 의 相關關係

        李聖炯(Lee Soung-hyung)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少痊 金德承(1595~1658)과 市北 南以雄(1575~1648)의 교유는 1645 년부터 확인되지만, 月沙 李廷龜(1564~1635) 집안과의 밀접한 교유를 매개로 보다 이른 시기에 교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같은 西人이고, 관직 이력을 살펴볼 때 1624년을 전후한 시기에도 서로 교유했을 가능성이 농후했다. 당시 해로 연행 노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市北이 평소 교유가 있었던 少痊의 天槎大觀 을 필사해서 路程記 를 제작했다고 추정된다. 두 작자의 문집을 고찰해 보면, 少痊集 의 草稿가 아들에 의해서 정리된 반면 市北遺稿 는 5대손에 의해서 정리되어, 市北遺稿 의 내용에 대해서는 치밀한 고증이 필요하다. 두 연행록의 幷序와 後記를 고찰해보면, 天 槎大觀 은 작자와 저작시기 및 저작 장소, 저작 목적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少痊의 저작이 분명하다. 반면, 路程記 의 평범한 후기를 통해서는 路程記 가 市北의 저작임을 특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두 연행록의 相關關係에 대해서는 天槎大觀 의 小註로 異本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그 내용이 路程記 에서 확인된다는 점과 개인적인 견문과 소회의 서술이 서로 일치하는 점, 그리고 동일한 오류가 재생산 되는 점을 통해서 路程記 가 天槎大觀 의 이본임을 알 수 있다. 두 연행록의 내용구성을 비교해 보면, 우선 상이한 서술로 서로 결락이나 오류를 보완한 부분이 있고, 간략하게 변형되거나 축약된 서술이 확인되며, 諱法의 상이한 적용 양상이 보인다. 이를 통해서 路程記 는 市北의 저작 이지만, 창작본이 아니고 天槎大觀 의 筆寫本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 구성상의 차이를 살펴보면 路程記 에서는 天槎大觀 의 ‘安州牧’에 대한 서술이 누락되었고, 小題에 대한 누락이나 부정확한 사용이 확인된다. 또한 노정과 내용이 혼재되었다. 이를 통해서 초고가 혼재 되어 전해졌던 정황과 市北遺稿 가 간행될 때에 天槎大觀 을 참고하지 않았음도 알 수 있다. Association between Sojeon(少痊) Kim Deok-seung(金德承, 1595~1658) and Sibuk(市北) Nam Yi-wung(南以雄, 1575~1648) was confirmed from 1645 but it is presumed that such association would be taken place at an earlier times based on close association with Wolsa(月沙) Lee Jeong-gu(李 廷龜, 1564~1635) family as media. In view of same Seo-in(西人) and their public service career, their mutual association was highly likely to be taken place around the times of 1624. At that time, as information for sea route itinerary to Qing Dynasty was not sufficient, it is presumed that Sibuk(市北) would have written ‘Rojunggi(路程記)’ by transcribing ‘Cheonchadaegwan(天槎大觀)’ of Sojeon(少痊) with whom he had an association at normal times. When considering anthology of those two writers, while draft of ‘Sojeonjib(少痊集)’ was summarized by his son, ‘Sibuk draft(市北遺稿)’ was arranged by 5th generation and so, its contents requires close historical research. When considering preface and postscript of two travel assays, in case of ‘Cheonchadaegwan(天槎大觀)’, as its writer, written times, place and objective could be confirmed in detail, it is clear that such book was written by Sojeon(少痊). Through an ordinary postscript of ‘Rojunggi(路程 記)’, there i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fining that ‘Rojunggi(路程記)’ was written by Sibuk(市北). Regarding correlation of two Qing Dynasty travel assays, existence of different version is confirmed by footnote of ‘Cheonchadaegwan(天槎大 觀)’ and it could be realized that ‘Rojunggi(路程記)’ is different version of ‘Cheonchadaegwan(天槎大觀)’ in terms of the fact that its contents are coincided with that of ‘Rojunggi(路程記)’, narration of personal experience and impression is coincided with each other and same error was taken place repeatedly. When comparing contents composition of those two assays, first, there was a part supplementing omission or error by different narration and simply transformed or abbreviated description were confirmed and different application of illegality was observed. Through this, it could be seen that ‘Rojunggi(路程記)’ was written by Sibuk(市北) but it is a manuscript of ‘Cheonchadaegwan(天槎大觀)’, not created by Sibuk(市北). As a next step, when observing difference of contents composition, in ‘Rojunggi(路程記)’, description for ‘Anjumok(安州牧)’ of ‘Cheonchadaegwan (天槎大觀)’ was omitted and omission or incorrect use of subtitle was confirmed. In addition, its contents were mixed with travel itinerary. Through this, it could be realized that its draft was transmitted in a mixed form and when publishing ‘Sibuk draft(市北遺稿)’, ‘Cheonchadaegwan(天 槎大觀)’ was not referenced as well.

      • KCI등재

        만운(晩雲) 정충신(鄭忠信)의 『백사선생북천일록(白沙先生北遷日錄)』 연구(硏究)

        이성형 ( Lee Soung-hyung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白沙先生北遷日錄』은 晩雲 鄭忠信(1576~1636)이 廢母論에 반대해서 北靑으로 유배된 白沙 李恒福(1556~1618)을 배행하면서 白沙의 언행과 일화를 기록한 유배일기이다. 『북천일록』은 ‘서문·일기·정사수의수초·발문`으로 구성되어 독립된 서책의 형식을 갖추고 간행되었다. 일기에는 선별된 白沙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고, 본문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서 주석이 보강되어 있다. 『북천일록』의 내용으로 먼저 ‘憂國衷情과 量時處己`에 대한 내용은 당시 시대변화의 大槪를 설명하고, 이에 대처하는 白沙의 신념과 충의를 통해서 후인들에게 바람직한 ‘量時處己`의 가르침을 담고 있다. 두 번째로 ‘配所生活과 生別의 苦惱`에 대한 내용은 풍요로워 보이는 일상 이면의 고뇌와 가족들과의 生別에 대한 苦惱를 담고 있다. 세 번째로 ‘行路難과 治喪過程의 感慨`에 대한 내용은 불순한 일기와 험한 노정을 통해서 격었던 行路難과 白沙의 치상과정에서 보여준 수많은 인사들의 애도를 담고 있다. 『북천일록』은 객관적인 서술에 머물면서 문학성이 부족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간행 직후부터 많은 문인들에게 愛讀되었고, 특히 白沙의 忠義에 깊은 감동을 표명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북천일록』은 ‘忠臣言行錄`의 성격이 농후한 유배일기로 판단된다. 『Bukcheon Ilrok(北遷日錄) of Baesa(白沙) Sunsaeng(白沙先生北遷日錄)』 is an exile diary in which deeds and anecdote of Baesa(白沙) Lee, Hang-Bok(李恒 福, 1556~1618) were written while Manwoon(晩雲) accompanied Baesa(白沙) who was exiled to Bukchung(北靑) due to objection to Pyemoron(廢母論). 『Bukcheon Ilrok(北遷日錄)』 was composed of ‘introduction, diary, Chungsa Sueui Sucho(丁巳獻議手草), epilogue` and published in a form of independent book. In this diary, Sino-Korean poetry of Baesa(白沙) was contained and footnote was supported in order to supplement contents of main text. First, contents of ‘patriotism and Yangsicheogi(量時處己)` in ‘Bukcheon Ilrok (北遷日錄)` explains general outline of change of times at that time and contains teaching of desirable ‘Yangsicheogi(量時處己)` to future generation through belief and loyalty of Baesa(白沙). Second, contents of exiled life and agony of separation contain anguish in a hidden side of daily life that looks to be affluent and agony of separation from family. Third, contents of deep emotion for hard life and funeral process contain hard life experienced through bad weather and tough journey and mourning of numerous persons shown in funeral service of Baesa(白沙). 『Bukcheon Ilrok(北遷日錄)』 has a limitation that it lacks literary sense while remaining at objective narration. However, right after its publication, it was enjoyed by many literary persons and in many cases, deep emotion for loyalty of Baesa(白沙), in particular, was expressed. Therefore, ‘Bukcheon Ilrok(北遷日錄)` is considered to be an exile diary imbued with a nature of Chungshin Eunhaengrok (忠臣言行錄, memoirs of loyalists).

      • KCI등재
      • KCI등재

        양곡소세양(陽谷蘇世讓)의 연행시연구(燕行詩硏究) -"회동관문금(會同館門禁)"의 인식양상(認識樣相)을 중심(中心)으로 -

        이성형 ( Soung Hyung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6 No.1

        本稿는 陽谷蘇世讓(1486-1562)의 燕行詩중에서 북경의 ‘會同館門禁’에 대한 인식 양상과 연행문학상 의의를 고찰하고자 했다. 양곡의 연행시는 전체적으로 7언 절구와 율시의 비중이 높데, 이는 외교상 응제와 수창에 대비하기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또한 작품에는 ‘門禁’과 ‘遊覽’의 상황이 뚜렷하게 대비되어 진솔하게 노정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문금에 대한 자괴감과 비판의식을 드러낸 작품들을 살펴보면, 먼저 양곡의 문금에 대한 인식은 한마디로 ‘無異於獺子’, 즉 ‘內服’이며 禮儀之邦인 조선을 辨髮한 오랑캐와 동일하게 홀대하는 불편한 진실이었다. 이는 조선이 주변국에 비하여 인정받았던 우월적 지위도 부정 또는 약화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양곡은 회동관에서 죄수나 다름없는 감금생활을 楚囚로 비유하면서 괴로워하면서, 문금에 비판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다만 ‘人臣無外交’의 관례에 의해 적극적인 교섭에 한계를 느끼고 귀향에 대한 소망을 노정하는 것으로 체념하는 양상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五日一出館’과 ‘皇都遊覽’의 興懷를 표현한 작품을 살펴보면, 유람을 통해서 직접 목도한 경물에 대하여 현장감과 다양한 소회를 표현하기 위해서 각 장소와 연관된 전고도 다양하게 사용하여 함축성과 상징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과 유람에 대한 자부심을 노정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문금 상황에서의 작품과는 상당히 다른 분위기의 작품세계를 보이는데, 이원적 작품세계에는 회동관과 문금이라는 특수한 장소와 상황이 작품 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문금은 조선 연행사들의 외출뿐만 아니라 인적 교류도 엄격히 제한했던 제도였기 때문에, 明代燕行錄에서 北京에 대한 묘사나 외국 인사들과의 교유가제한적이고 적게 발견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Yanggok(陽谷) Soseyang`s(蘇世讓; 1486~1562) yeonhaengsi(燕行詩) regarding the aspects of recognition on ‘Hoedonggwan(會同館) Mungeum(門禁)’ in Peking and its significance as yeonghaeng literature. Yanggok`s yeonhaengsi is mostly 7-eon jeolgu and yulsi in general, and it seems to have been his efforts to cope diplomatically with the arbitrary exams conducted under king`s special command and the exchange of poems. Also, we can see that his works contrast the situations of ‘Mungeum’ and ‘excursion’ distinctively and describe it frankly. Looking into his works showing his sense of shame and critical mind towards Mungeum, first of all, we see that Yanggok simply recognized Mungeum as ‘Muieodalja (無異於?子; ones the same as barbarians)’, that is, ‘Naebok (內服; the status equivalent to that of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And it was the uncomfortable truth that they mistreated Chosun, a country of courtesy, identically with the barbarians wearing a pigtail. This was recognized to negate or weaken the status of Chosun that was regarded superior to that of surrounding nations. He was in agony as comparing his confined life in Hoedonggwan like a prisoner`s to chosu(楚囚; a person living as a captive in a foreign land) and showed critical mind bout Mungeum. Yet, he also indicated the aspects of resignation thinking of his wishes for return to his hometown feeling the limitations of positive exchange due to the practice of ‘Insinmuoegyo (人臣無外交)’. Next, examining his works expressing excitedness of ‘Hwangdoyuram (皇都 遊覽)’ and ‘Oililchulgwan (五日一出館)’, we see that he used all the authentic precedent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places in order to express sense of realism and diverse thoughts about the objects he actually saw in the excursion. He made efforts to enhance implication as well as symbolicity and also showed his confidence in the excursion. And it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his world of works created in the Mungeum situation. His dualistic world of work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pecific place and situation, that is, Hoedonggwan and Mungeum. Mungeum was the system that strictly restricted not only Chosun yeonhaengsa`s outing but also exchange with people, too, so it is the biggest reason why we can hardly find their exchange with foreign figures or description of Peking in Yeonhaengrok written in Ming Dynasty.

      • KCI등재

        소세양(蘇世讓)의 사행경험(使行經驗)과 사행시(使行詩)

        이성형 ( Lee Soung-hyung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3 No.1

        本稿는 陽谷 蘇世讓(1486~1562)의 使行經驗과 使行詩를 고찰하였다. 양곡의 사행록은 사행시와 「赴京日記」로 구성되었는데, 사행시는 날짜와 노정에 따라 순서대로 작품이 편차되었고, 後識가 첨부되어 別冊으로서의 완성도가 높다. 사행일기인 「赴京日記」는 중간본 _陽谷集_의 雜著에 편차되어 있고, 매일의 여정과 주요 사건을 간략히 기록하였다. 양곡의 사행시와 「부경일기」는 서로 상보적인 기록이자 작품이다. 양곡의 진하사행은 明 관리들의 비협조적인 태도, 㺚子들과의 갈등, 악천후 등 괴로운 여정의 연속이었다. 양곡은 황태자의 誕生을 축하하는 進賀 使命을 무사히 진달하고, ‘會同館 門禁 解除’와 ‘조선출신 현직 宦官 명단 파악’의 別命을 완수하였다. 양곡은 귀국 후에 禮部尙書 夏言에게 시문을 증서한 일로 비난을 받았지만, 외교상의 전대능력이 현안 문제의 해결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였다. 양곡 사행문학의 작품세계로 먼저 ‘見聞 所懷와 客愁의 露呈’에서는 東岳廟와 駐蹕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여타 사행록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개성적인 견문의 소회를 남겼다. 또한 사행 중에 고르지 못한 날씨로 인한 고통, 㺚子의 위협, 會同館에서의 門禁으로 인한 자괴감 등의 困苦함 속에서 詩料를 찾는 문인으로서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嘉靖 治世에 대한 二重的 認識’에서 양곡은 기본적으로 사대의 대상인 명을 문명국으로서 존경과 선망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그러나 관리들의 토색질이나 국자감 유생들의 탐욕스러움, 심한 기근으로 인육을 먹으며 연명하는 백성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서 가정 치세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 양상을 보여 주었다. ‘外國 人事와의 多樣한 交遊’에 대한 고찰에서 양곡은 明의 禮部尙書, 提督主事, 序班 등 예부 관원들과 활발한 교섭과 교유를 나눴다. 또한 양곡은 琉球 사신들에 대해서는 호기심과 친근감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咸鏡道 鍾城 인근에서 왔던 女眞 사신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경계와 조소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양곡의 많은 사행시와 더불어 「부경일기」를 통해 자신의 사행 경험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조선 전기 사행문학 작품과 형식으로서 매우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대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plomatic experience and diplomatic poetry of Yanggok So Se-yang (1486~1562). Yanggok's diplomatic records consisted of diplomatic poems and 「Bukyung Ilgi」. Diplomatic Poems are listed in order according to date and course, and Fuji is attached, which makes it highly complete as a separate book. The diplomatic diary, 「Bukyung Ilgi」, is inconsistent with the miscellaneous articles of the intermediate version 『Yanggokjip』, and briefly records daily journeys and major events. Yanggok's diplomatic poems and 「Bukyung Ilgi」 are complementary records and works. Yanggok's diplomatic trip to Jinhasa was a series of painful journeys, including the uncooperative attitude of Ming officials, conflicts with the dignitaries, and bad weather. Yanggok delivered the diplomatic order to celebrate the birth of the Crown Prince safely, and completed separate orders for ‘removing the gates of the Hoedonggwan’ and ‘identifying the list of incumbent eunuchs from Joseon’. Yanggok was criticized for giving a poem to Yebu Sangseo Ha-eon after his return to Korea. However, it was a good example to show that the literary skills necessary for diplomacy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diplomatic issues. As the world of works of Diplomatic Literature, we first looked at the ‘study of experience and the journey of the audience’.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Dongakmyo and Jupilsan, he did not follow the tradition of other diplomatic records, but left a unique experience of experience. In addition, you can see the figure as a writer looking for the subject of Chinese poetry amid difficulties such as pain due to uneven weather during diplomatic travel, threats from Dalja, and a sense of humiliation due to mungeum at the Hoedonggwan. In ‘Double Perception of Gajeong emperor's reign’, Yanggok viewed Myeong, who is basically the object of respect, as a civilized country with respect and envy. However, by vividly depicting the corruption of the officials, the greediness of the students, and the people living their lives by eating human meat due to severe hunger, it showed a dual aspect of Gajeong emperor's reig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xchanges with foreign figures’, Yanggok shared active negotiation and fellowship with officials of the ceremonies such as Ming Yebusangseo, Jedogjusa, and Seoban. In addition, Yanggok seems to have felt curiosity and affinity for the envoys from the Yugu. On the other hand, the envoys from the Yeojin who came from the vicinity of Jongseong, Hamgyeong Province can generally feel wary and ridiculed. It seems that he tried to effectively reveal his diplomatic experience through 「Bukyung Ilgi」 along with many diplomatic poems in Yanggok.

      • KCI등재후보

        SPS협정상 조류독감에 따른 수입규제에 대한 연구

        이성형(Sunghyoung Lee),전정기(Cheongghi Chun),박종하(Park Jong-ha)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6 통상법률 Vol.- No.127

        The number of confirmed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AI) countries reported to the World Organization for Animal Health(OIE) has risen from 18 in 2014 to 27 in 2015, the Korean government said. World Trade Organization(WTO) members have the fundamental right to take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their humans, animals, and plants from avian influenza(AI). The basic obligation under the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also known as the SPS Agreement) is to ensure that trade measures aimed at protecting health are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and not maintained without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This thesis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gulations on avian influenza under the SPS Agreement. The SPS Agreement became official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WTO. After this time, two dispute cases have occurred; (1) US—Poultry(DS392) and (2) India—Agricultural Products(DS430). Concerned with these disputes,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SPS Agreement. This thesis analyzes the interpretations of the parties, the Panel and the Appellate Body in the WTO dispute cases. Furthermore, this thesis studies the problem and also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avian influenza import restriction measures.

      • KCI등재

        개인 소장본 『좌관황굉(坐觀荒紘)』 중 『천차대관(天?大觀)』 추정본 고찰

        이성형 ( Lee Soung-hyung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6 No.-

        본고는 최근 발견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 『天?大觀』의 圖本으로 추정되는 도본을 고찰했다. 登州를 경유한 明·淸 交替期 海路 使行은 21회가 확인되는데, 해로 사행록 21종과 해로 사행도 7종이 현전한다. 최근 발견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은 민속박물관 소장본『坐觀荒紘』과 체제와 내용이 상이하다.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중에서 `水路朝天之圖·遼東之圖·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는 해로 사행과 관련된 도본이다. 이중에서 `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는 『天?大觀』도본의 臨摹本이다.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의 `西海圖·遼海圖·登州之圖`은 『天?大觀』의 圖說이 충실히 반영되어서, 『天?大觀』 도본의 임모본이 된다. 각 도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西海圖`는 『天?大觀』 `安州牧`의 도본이다. 安州牧은 해로 사행의 출발지로, 少? 일행의 발선지인 `碑寺巖`이 표현되었고, 선사포가 `宣沙浦`로 기록되었으며, `毛將營`이 묘사되었던 점을 통해서 『天?大觀』 `安州牧`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遼海圖`는 『天?大觀』 `海島`의 도본이다. 도서와 산천의 배치가 도설과 일치하고, 황성도가 `黃城島`로 기록된 점을 통해서 『天?大觀』 `海島`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形似字의 誤記 사례가 확인되는 것을 통해서 임모의 흔적도 확인된다. 세 번째로 개인 소장본 『坐觀荒紘』 `登州之圖`는 『天?大觀』 `登州府`의 도본이다. 도본이 여타의 해로 사행도나 고지도와 구분되는 독창적인 구도이고, 『大明一統志』와 상이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少?의 견문 내용이 포함된 점을 통해서 『天?大觀』 登州府의 도본으로 특정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drawing presumed to be that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among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books, being found recently was considered. 21 times of sea route envoy travel via Deungju(登州) during transition period of Myeong, Cheong was confirmed and 21 kinds of sea route travel record and 7 kinds of sea route envoy map exist at present. `Joagwan Hwanggweng(『坐觀 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being found recently is similar to that of folk museum in its system and contents. Among personally possessed versions, `Surojocheonjido(水路朝天之圖)?Yodongjido(遼東之圖)?Seohaedo(西 海圖)?Yohaedo(遼海圖)?Deungjujido(登州之圖)` are maps relevant to sea route envoy travel. Among these, `Seohaedo(西海圖)?Yohaedo(遼海圖)? Deungjujido(登州之圖)` are manuscript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drawing. `Seohaedo(西海圖)?Yohaedo(遼海圖)?Deungjujido(登州之圖)` of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are presumed to be manuscripts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drawing as drawing explanation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was faithfully reflected. When observing each drawing in detail, first,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Seohaedo(西海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Anjumok(安州牧)`. Anjumok(安州牧) was departing place of sea route envoy travel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Bisaam(碑寺巖)` that was starting point of Sojeon(少?) party was expressed, Sunsapo was recorded as `Sunsapo(宣沙浦)` and `Mojangyoung(毛將營)` was depicted, it could be specifically presumed that it wa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 大觀』) `Anjumok(安州牧)`. Second,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Yohaedo(遼海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Haedo(海島)`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arrangement of books and landscape were coincided with drawing explanation and Hwangsungdo was recorded as `Hwangsungdo(黃城島)`, it was specifically presumed to be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Haedo(海島)`. As erroneous record of shape similar character was confirmed, trace of copy could be confirmed as well. Third, Joagwan Hwanggweng(『坐觀荒紘』) `Deungjujido(登州之圖)`, a personally possessed version, is specifically presumed to be drawing of Cheoncha Daegwan(『天?大觀』) `Deungjubu(登州府)` in view of the fact that drawing was a creative structure being discriminated from other sea route envoy map or old map and it used a name different from Daemyeongiltongji(『大明一 統志』)and travel record of Sojeon(少?) was in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