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카풀 및 그룹핑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서열 정렬 프로그램(FastA) 설계

        이성준(Sungjoon Lee),김재훈(Jai-Hoon Kim),정진원(Jin-Won Jung),이원태(Won-T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생물정보학에서 사용되는 많은 프로그램들은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마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경우 사용자들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시스템 용량을 초과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풀 기법과 그룹핑 기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카풀 기법과 그룹핑 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서열 비교 프로그램인 Fasta를 구현하였고 사용자 응답시간을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의 조절효과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과 인간 인플루언서 대비 많은 장점들로 인하여 가상 인플루언서들을 중요한 디지털 마케팅 채널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본 연구는 새로운 유형의 마케팅 메시지 전달자로서 가상 인플루언서가 지니는 다양한 특성들을 선행 연구들을 기반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들 특성들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들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혁신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지 확인해본다. 가상 인플루언서가 광고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20대부터 40대까지의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은 위계적 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으로서 신뢰성, 매력성, 친근감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의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된다.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where virtual influencers are a major channel for digital marketing owing to their advantages over human influencers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development. In this context and based on the literature, this study looked at characteristics virtual influencers systemically have as a new type of marketing messenger, 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 brand attitude. Also tested was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from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nd brand attitud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ubjects who are exposed to advertising messages where virtual influencers that appear as people in their 20s, 30s, and 40s introduce products and servi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thre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and familiarit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rand attitude. A moderating effect from innovativeness was foun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다매체 환경에서의 뷰티 콘텐츠 이용: 웹진, TV,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간 적소분석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적소 이론(Niche Theory)을 기반으로 뷰티 콘텐츠 소비를 통한 이용 충족 측면에서 웹진, TV 및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어떤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기반으로 정보성, 오락성, 매력적인 인물 등장, 이용 편리성 및 솔직함 등 5가지의 공통적인 이용 충족 요인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적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매력적인 인물 등장 측면을 제외한 모든 이용 충족 차원에서 적소폭이 다른 미디어들에 비해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와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이 적소 중복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은 다른 미디어들에 비해 이용 편리성과 솔직함에서 경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은 향후 뷰티 콘텐츠 소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지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peting relationships among webzines, TVs and online video platforms in terms of usage gratification of consumption of beauty contents based on niche theory. Five types of usage gra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ttractive characters, convenient usage and honesty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y were used for niche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wider breadth than webzines and TVs in all dimensions of usage gratification except for attractive character and TVs and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least niche overlap.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the other media in terms of convenient usage and honesty. This study has meanings in a way that it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how the future consumption patterns of beauty contents will be.

      • KCI등재

        현장 자료에서 고고학적 지식으로의 재구성

        이성준(Lee, Sungjoon)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2 No.-

        현장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고고학적 지식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시각과 방법론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고고학은 과거의 물질문화를 분석함으로써 선사 및 역사시대 사람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보편성과 객관성이 인정되고 검증될 수 있는 과학적인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한 시각과 방법론은 존재의 가치를 지니게 된다. 이 글에서는 계족산성 2차 저수지에서 출토된 기와의 여러 속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수지의 활용 및 폐기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비유적에서 기와는 대부분 파편상태로 출토되기 때문에, 기와편의 출토 맥락 및 층위학적 자료가 유적의 성격을 해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기와의 명목적 속성에 대해 빈도분석 등의 통계학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은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층위학적인 검토와 더불어 빈도분석이 아닌 명목적 속성의 관찰가능 유무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러한 필자의 연구방법은 유구와 유물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과 연구방법 중 단지 하나에 불과하지만,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현장 자료를 고고학적 지식으로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의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re are various views methodologies in the processes that we analyze and study field data in archaeological area. Those are meaningful in scientific paradigm, because archaeology is the scientific study of historic or prehistoric peoples and their culture by analysis of remains. In this paper I studied roof tiles from reservoir in Gejok fortress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using and disusing the reservoir. Because roof tiles in consuming site are usually excavated as broken pieces, primary context and stratigraphic data in field can give us most important information to interpret the site. To overcome the blind point that we can not use frequency analysis for broken pieces of artifacts like roof tiles, pottery, etc., I tried to check whether nominal attribute can be observable or not. This trial is only one of the various views and methods for analyzing artifacts or sites in archaeology but I wished to discuss how to reconstruct archaeological knowledge from field data to understand phenomena scientifically.

      • KCI등재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 형성 영향 요인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새로운 형태의 방송으로서 인터넷 개인 방송은 점차 많은 이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시장과 산업 측면에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터넷 개인 방송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장르 레퍼토리 개념을 바탕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이용자들의 장르 소비구조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어떤 요인들이 이러한 이용자들의 장르 소비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인터넷 개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 TV〉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검증해본다. 본 연구의 결과, 연령, 감각추구성향, 정보취득 동기 및 사회적 실재감이 이용자의 인터넷 개인 방송 장르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적 실재감이 즐거움 동기와 장르 레퍼토리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in their lifes have used personal web-casting services as a new type of broadcasting, whose power has grown in the broadcasting market and industry. Nevertheless, limited research concerning personal web-casting has been conducted so far. This research explored consumption structures of personal web-casting users in terms of their genre usag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genre repertoire. And it also examined what determinants have influences on these structures by focusing on 〈Afreeca TV〉 as an representative case in South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sensation seeking, motivation for getting information and social presence affect genre repertoire of personal web-casting users. They also indicate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joy and genre repertoire.

      • KCI등재

        인공지능 음성 스피커의 의인화 특성 지각 정도가 지속적 이용 의향에 미치는 영향: 통합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AI(Artificial Intelligence) 음성 스피커는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으며 AI 기술 기반 제품 관련 초기 시장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과 인지된 즐거움 및 혁신 저항 요인을 통합한 통합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AI 음성 스피커 지속적 이용 의향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AI 음성 스피커만의 차별화된 요소로서 3가지 인지된 의인화된 특성들(인지된 이성적지지, 인지된 친밀성, 인지된 인지적 개방성) 요인들이 어떻게 AI 음성 스피커 지속적 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20-30대 AI 음성 스피커 이용 경험자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 및 혁신 저항 모두 지속적 이용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이성적지지, 인지된 친밀성, 인지된 인지적 개방성 3가지 인지된 의인화된 특성들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지니는 다양한 함의들도 같이 논의된다. AI voice speake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 early market and development for AI-based goods and service with growing attention from many peopl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based on the integrated adoption model, which combined two factors of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with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ree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i.e.,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have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The data was collected by an online-survey and were responses of thos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nd have experienced in using AI voice speaker. They were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playfulness and innovation resistanc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ontinuous intention of AI voice speaker. In addition, all of perceived rational support, perceived intimacy and perceived cognitive openness as perceived anthropomorphic featur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The implications of found results in this research was also discussed.

      • KCI등재

        AI 금융 챗봇 귀여움 수준과 젠더 일치성이 서비스 실패 허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준(Sungj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금융 챗봇의 귀여움 수준이 서비스 실패 허용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해보고자 수행되었다. 귀여움 수준이 서비스 실패 허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젠더 일치성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 지 역시 살펴보았다. 공감적 관여로서 부드러움이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지도 살펴보았다. 총 138명의 20대의 AI 챗봇 인지자들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고, 실험 자극물로서 AI 금융 챗봇의 시각적 귀여움 수준 높고 낮음의 두 유형, AI 금융 챗봇과 이용자 간의 젠더 일치와 젠더 불일치 두 유형이 조작되었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부스트래핑 기반의 Process Macro(모델 5)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AI 금융 챗봇의 귀여움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실패 허용 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젠더가 불일치하는 경우 귀여움 수준이 높아질수록 서비스 실패 허용 정도가 크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젠더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나 젠더 일치성의 조절 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공감적 관여로서 부드러움은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지닌 시사점에 대해서도 논의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hed lights on the effects of cuteness level of AI financial service chabot on zone of tolerance in service failure. It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congr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teness level and zone of tolerance in service failure. Moreover, the mediation effect of tenderness as one type of empathetic concerns was examined. A total of 138 those who are aware of AI chabot service participated in an online experiment. Two types of cuteness appearances (high cuteness vs. low cuteness) and two types of gender congruence (gender congruence vs. gender incongruence) as experimental stimuli were manipulated. Data collected in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the bootstrapping Process Macro(Model 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zone of tolerance in service failure decreased as the cuteness level of AI financial service chatbot increas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congruence was found in the way that the zone of tolerance in service failure decreased as the cuteness level increased in the gender incongruent situation while the other way around in the gender congruent on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tenderness as one type of empathetic concerns was not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외국인 출연 관찰 예능 프로그램 시청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준 ( Sungjoon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3

        우리 사회가 점차 다문화국가사회로 변해감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듯 외국인 등장 예능프로그램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시청자 측면에서 외국인 출연 관찰 예능 프로그램 시청만족도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 받는지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청자의 문화지능,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시청 동기들 및 인지된 진정성이 외국인 출연 관찰 예능 시청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연구의 결과, 문화지능 구성 요소로서 메타인지, 재미와 정보 동기 및 인지된 진정성이 시청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방송 프로그램 시청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variety shows with foreigner casts as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multicutural one. However, there has been very limited studies examining which determinants affect viewing satisfaction of these programs. In this regards, this research empirically looked at how cultural intelligence, parasocial interaction, viewing motivation and perceived authenticity have influences on viewing satisfaction. The finding showed that three factors including meta-cognition as one sub-component of cultural intelligences, motivation for entertainment/information and perceived authentic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implication because the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program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viewing satisfaction.

      • KCI등재

        SNS에서의 개인의 사회비교 경험 유형 및 사회비교 지향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이성준(Sungjoon Lee),이효성(Hyose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SNS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이 SNS 이용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 유형으로서 상향 대조, 상향 동일시, 하향 대조, 하향 동일시 등 4가지를 도출하여 이들 경험 유형들이 SNS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향 과정에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SNS 이용 시간, 오프라인 사회자본 및 사회비교 지향성 등을 통제 변인으로서 고려하였으며, 사회 비교 경험들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비교 지향성의 조절 효과 역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 연령과 혼인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관심사가 맞는 클럽/단체 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사회 비교 경험 유형 중 상향 대조와 상향 동일시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비교 지향성은 상향 동일시 경험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만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을 이해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이 필요함에 대해서도 또한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social comparison in SNS on users life satisfaction. For this, this research posited four types of social comparison including upward contrast, upward identification, downward contrast and downward identification that might affect SNS users life satisfaction. Several other factor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SNS usage time, offline social capital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s control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ur types of social comparison and users life satisfaction was also examined. An online survey was employed for collecting data and the date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ges and marriage status have influences on SNS users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n that the degrees to which SNS users participate in family activities and club/group activities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have correlations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only upward contrast and upward identification among four types of social comparison have influ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identific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new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in SNS as compar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