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칠칠재의 전형과 변용의 파노라마

        이성운,김인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논문은 한국불교의 사후 칠칠재의 전형과 변용을 의례적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현재 널리 유행되고 있는 사십구재라는 명칭은 근래에 이르러 쓰이기 시작했다. 불교의 생사관에 의하면 인간은 사후 49일이라는 중유 기간에 본인의 선업과 다른 이들이 지내주는 칠칠재에 의해 다음 생에 더 나은 곳에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사후 7일마다 행하는 칠칠재는 망자를 위해 명부시왕에 권공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는 십선을 권장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망자의 공덕을 닦아주는 또 하나 의 의식으로는 경전을 염송해 주는 법석이 있으며, 법석 가운데 법화법 석이 영산재로 발전하였다. 이와 아울러 불보살의 명호를 칭명하는 정근의식도 칠칠재에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근현대에 이르러 시왕권공 중심의 칠칠재 의식이 지장보살에 대한 권공의식으로 변천해 가고 있다. 이는 명부시왕의 부정적 이미지가 상단[지장]권공의 긍정적 이미지에 덮이게 된 데 기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칠칠재(사십구재)는 망자와 산자의 소통통로이자 함께 잘 사는 신행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archetype of Chilchiljae (七七齋, the weekly ritual for seven weeks) after death in Korean Buddhism and its va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tual. The name of Chilchiljae, popular nowadays, use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Buddhist concept of life and death, it is said that human beings can be reborn in a better world as a result of both their own wholesome deeds and Chilchiljae others perform for antarrābhava (中有, the intermediate existence) during 49 days after their death. the essence of Chilchiljae is the ceremony of inviting The ten kings of hell (冥府 十王) to the offering for the sake of the dead, whose objective is to encourage people to do good. Another ritual for the virtue of the dead is beopseok (法席, Dharma seat), where people chant sutras for the dead. Yeongasnjae (靈山齊, Vulture Peak ritual) originated from Beopwha Beopseok (Saddharmapuṇḍarīka Dharma seat), a form of beopseok. The rite of jeonggeun (精勤, fervent discipline), where they chant buddhas’ and Bodhisattvas’ name, is active in Chilchiljae. But the main guests of the offering have been changing from The ten kings of hell (冥府十王) to Kṣitigarbha (Earth Store Bodhisattva)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lchiljae. It might be because the positive image of Kṣitigarbha is preferred to the negative one of The ten kings of hell. It can be said that Chilchiljae is a channel of communication and the practice of faith for both the dead and the living.

      • KCI등재

        현행 수륙재의 몇 가지 문제

        이성운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이 글은 현재 한국불교에서 행해지는 수륙재에 대한 구조와 한국불교 수용자들의 인식 등 몇 가지 문제를 검토한 논문이다. 수륙재는 상중하단의 불(佛)과 신중(神衆)과 하위의 영가(靈駕)의 10법계의 성현(聖賢)을 초청하여 공양을 올리고, 음식을 베푸는, 가장 광대한 공양의례로써, 관행(觀行)으로 행해지는 종합적인 수행의례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행해진 수륙재에 활용되었다고 보이는 지반문(志磐文), 중례문(中禮文), 결수문(結手文) 등과 현재 행해지는 수륙재를 비교하면 몇 가지 상이(相異)한 점이 나타난다. 현재 행해지는 수륙재와 이전의 의문과의 차이점이 검토되고, 그것이 향후 수륙재에 반영되면 바람직한 수륙재의 전형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먼저 한국불교에서 행해지는 수륙재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륙재의 명칭, 구조와 의미, 대중의 참여와 이해 등을 집중 검토하고 다음 몇 가지를 논증하고 있다. 첫째, 수륙재에 대한 의미의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종래 ‘수륙재’ 하면 물과 뭍에서 죽은 이들을 천도하기 위한 의례라 하여 물가에서 행하곤 하였지만 그렇지 않다. 둘째, 수륙재의 초입에서 행하는 모셔오는 ‘시련’의식의 대상이 그동안은 불보살이나 성현중이라고 한 데 비해 이 논문에서는 시련의 대상은 당해 영가이다. 또 각 단에 따라 공양물을 질과 양적으로 변화하게 하는 변공(變供)의식의 차이가 있으며, 상단 중단 하단을 청하여 공양과 시식하는 수륙재에는 상황에 따라 상 중 하단의 청이 끝나고 나서 공양을 올리거나 아니면 상 중 하단을 청함과 동시에 공양을 올리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는데, 수륙재의 설행 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차서가 검토돼야 한다. 셋째, 현 정치체제상 ‘국행’ 수륙재는 존재할 수 없으므로 국행과 별도로 현실에 맞는 불교의례로 수륙재가 행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 수륙재에 대한 정확한 이해 아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한글로 번역돼야 한다. The study was prepared on the assumption that desirable Suryukjae model can be completed by reviewing current Suryukjae(水陸齋), ritual sentences and differences and reflecting study result to current Suryukjae. The study asserts several conclusions as below by focusing on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case of Suryukjae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name of Suryukjae in previous ritual sentences, its structure &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public people. First, the study tried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Suryukjae. Originally, Suryukjae was the ceremony to lead the person who dies in water and land to the heaven so it has been performed in waterside. However, the study asserted that it was not true. Second, the study discussed the target of 'Siryun-ritual ceremony' that is performed in the introduction of Suryukjae. Until now on, many people have understood that the target of Siryun-ritual ceremony was Buddha-Bodhisattva or Seonghyeon-jung(聖賢衆, a group of the wise gods) but the study asserted that the target was Youngka(靈駕, the pertinent soul). In addition, the study researched the difference of Byeongong(changing offerings) that quality and quantity of Gongyang(offering) changes in each step. Third, Suryukjae that adopts 3-podiums(壇) such as top, middle and bottom for Gongyang(offering) and Sisik(banquet) serves Gongyang after the request of top, middle and bottom podium or serves Gongyang during the request of top, middle and bottom podium depending on situation. The study asser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desirable Order(次序)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e of Suryukjae. Forth, 'national' Suryukjae can't exist in the current political system. Therefore, Suryukjae should be performed as a Buddhist ceremony suitable for the reality, apart from national ceremony. For the purpose, the meaning of Suryukjae should be newly interpreted by understanding it correctly. If it is translated and performed in Korean language, it can contribute to the modern propagation.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후보

        ‘傳’고녕가야왕릉과 왕비릉의 위치

        이성운,문기조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20 No.-

        This writing considers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s and Queen Consort’s Tombs of Gonyeong-Gaya on ‘a folk tale (傳)’. Its historical record is not only poor but also include its myth, which makes a wide gap between its viewpoints There has been the historical recognition that the capital of Gonyeong-Gaya cannot have been Hamchang and the constant criticism of later history book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royal tombs of King Taejo and his Queen were restored and maintained at least 400 years ago. Nonetheless, Gonyeong-Gaya to have been located in Hamchang was not even discussed as a historical fact. Although the history of Gonyeong-Gaya was adapted into a myth, it clearly shows human life. Shin Chaeho’s assertion of Gonayeong-Gaya in Hamchang, which explains that the word Gonggal in Gonggal pond was the abbreviation of Gonyeong-Gaya, is quite persuasive. The toponyms related to the kings of Gonyeong-Gaya, such as Wangdogol known as its royal capital and Daegasan show clear traces of Gonyeong-Gaya, and Gonggal pond is located in its center. The royal tombs of King Goro and his Queen were restored in the late 16th century when their tombstones were found. The royal tombs of King Taejo and his Queen are located east-west with the eastern royal tomb at 1 o’clock in the north and the western one at 11 o’clock in the north, in the form of the Chinese character eight (八) 200 meters away from each other, which takes the shape of protecting the royal capital and the ancient tombs in front of them. It is unknown whether their location and direction in feng shui today were from their construction or their restoration after the 16th century, but it is at least as it is today. Gonyeong-Gaya was destroyed in the mid 3rd century, but the descendants of King Goro do not forget their ancestors, protect the royal tombs of their kings and queens, and are prospering through about 2,000 years of history. ‘傳’고녕가야왕릉과 왕비릉의 위치라는 주제 아래 논의를 펼쳤다. 기록의 빈약 속에 역사와 신화가 혼재된 상태라 그것을 바라보는인식의 차이는 적지 않은 것 같다. 고녕가야의 도읍이 함창일 수 없다는 그간의 역사 인식 속에서, 태조왕릉과 왕비릉이 적어도 400년 이전에 복원 정비되어 있고, 『삼국사기』를 위시한 후대 사서의 한결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함창의 고녕가야는 역사의 중심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었다. 고녕가야의 역사는 신화로 각색되었지만 인간의 삶으로 분명하게 전개되었다. 공갈못의 공갈이 고녕가야의 음약(音約)이라고 파악한신채호의 고녕가야 함창설은 설득력이 적지 않다. 고녕가야의 왕도로 알려진 왕도골, 대가산 등 고녕가야 왕들과 관련한 지명은 고녕가야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심에 공갈못이 자리하고 있다. 고로왕릉과 왕비릉은 16세기말 비석이 발견되어 복원되었는데, 태조왕릉과 왕비릉은 동서로 자리하고 있다. 서쪽의 왕릉은 계좌(癸 坐)를 하고, 동쪽의 왕릉은 임좌(壬坐)를 하여, 200여 미터 相距한 왕과 왕비가 마치 여덟팔자(八) 형식으로 왕도와 왕도 앞의 고분군을바라보며, 지켜주는 형국이다. 두 능의 위치와 좌향이 조성 당시부터 그랬는지 16세기 이후 정비되면서 그랬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현재의 모습은 그렇다. 3세기 중반에 사라진 고녕가야이지만 고로왕의 후예들은 그 조상을잊지 않고 왕릉과 왕비릉을 지키며 2천여 년의 역사를 관통하며 번성해나가고 있다.

      • KCI등재

        영산재와 수륙재의 성격과 관계 탐색

        이성운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3 No.-

        When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was designated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2013, there was controversy that the ritual was subordinate to Yeongasnjae(靈山齊, Vulture Peak ritual). This essa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rites by researching related material and by collect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relevant questions in The Collection of the Documents for Korean Buddhist Rituals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and the Compendium of Korean Buddhism(『韓國佛敎全書』). The conclusion is summed up in three points as follows;Firstly,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title of “Yeongsanjae” was used. It was formalized into the procedure of Yeonsanbeopseok(靈山法席, Dharma seat at Vulture Peak) reciting Chambeop(懺法, Confessional ritual) or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 (『妙法蓮華經』, 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as another title of Yeongsanjakbeop(靈山作法, Vulture Peak rules of conduct) at least since the 16th century in Korea. It is the ceremony of Chucheon(追薦,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praying for going to Nirvana after death on the anniversary or Chilchiljae(七七齋, weekly ritual for the deceased for seven weeks) of the late king and the late queen, inviting Buddha and making Gongyang(供養, offering) to Him at Vulture Peak and chanting sutras, and holding a banquet. It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Chucheon but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igious discipline rites by one’s own efforts to seek bodhi(enlightenment) above(上求菩堤) such as reciting the Lotus Sutra or practicing Yecham(禮懺, worship and repentance). Secondly, Suryukjae, inviting all the dead and holding a banquet for them in the Dharma realm(Dharmadhātu) and praying for going after death to Nirvana, was established first in China and introduced to Korea as early as the 10thcentury. Compared with Yeongsanjae whose ritual program was form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ment, Suryukjae was constructed and performed by summarizing the mainpoint of both the north and south lineages of Chinese and compiling it anew so that it might suit the situation for those days. Since then, YeongsanSuryukjae(靈山水陸齋, Vulture Peak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been formed and practiced reverently, going through the process that Beopseok(Dharma seat) served during Chilchiljae. It was incorporated within Suruykjae as Chilchiljae and was practiced reverently with Suruykjae. Though Yeongsanjakbeop is performed together during Suruykjae, the main purpose of Suruykjae is Sisik(施食, holding a banquet). Therefore, it can be the rite for saving sentient beings below(下化衆生) where Samdan(三檀, threefold alms-giving) is held, that is, Jaesi(財施, offering), Muoesi(無畏施, removal of fear) and Beobsi(法施, “giving the teachings of Dharma”). Thirdly, although reading and reciting the Lotus Sutra and “Gongyang” are the main elements of Yeongsanjae and “Sisik,” for a lonely spirit of the deceased is of Suryukjae, and though each has an independent and distinct mode of ”downward” for the latter and “upward” for the former, the complementary forms to each other are practiced as well. It is called Yeongsan Suryukjae(靈山水陸齋) as the one became similar to the other due to the common ground of “the ceremony of Chucheon praying for going to Nirvana after death for the deceased.” It demonstrates the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of Korean Buddhism which pursues flexibility in dealing with a situation dynamically and the essential enlightenment of Buddha constantly that the upper Sisik is performed at Yeongsanjae and that Yeongsanjakbeop is practiced at Suryukjae. Therefore, it might be meaningless to debate the order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se two rituals. 2013년 수륙재가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자, 수륙재는 영산재의 하위의식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이 글은 두 의례의 성격과 관계를 찾아보고자, 그간 이와 관련된 제 논문의 논구와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와 『한국불교전서』에 실린, 당해 의문들을 수집・분류한 다음 구조 등을 분석하여 두 의례의 성격과 관계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영산재’라는 명칭이 사용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으며, 영산재는 <영산작법>의 異稱으로 참법이나 『묘법연화경』을 염송하는 영산법석의 절차로서, 적어도 16세기 이후에 국내에서 정형화되었으며, 선왕・선후의 기신일이나 칠칠재 등에서 왕생극락을 기원하며 영산의 부처님을 청해 공양[供養]을 올리고 경전을 염송하며, 아울러 하단에 시식을 하는 추천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산재가 추천을 목적으로 설행되었지만 『묘법연화경』을 염송하거나 예참을 실천하는 상구보리의 자력적인 수행의례의 성격을 갖고 있다. 둘째, 법계의 일체 고혼을 청해 음식을 베풀고[施食] 왕생극락을 빌어주는 수륙재는 일찍이 중국에서 성립되어 10세기경부터 국내에도 개설되었다. 그 의문이 발달과정을 겪은 영산재에 비해, 수륙재는 중국의 남북 두 계통 의문을 당시 실정에 맞도록 요점만을 간추리거나 새로 편집하며 설행하였다. 이후 칠칠재를 수륙재로 봉행하면서 칠칠재 사이에 행해지던 법석이 수륙재에 합편되는 과정을 겪게 됨으로써 영산・수륙재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수륙재에 영산작법이 함께 설행되지만 수륙재는 시식에 주목적이 있다. 해서 수륙재는 財施・無畏施・法施의 三檀이 베풀어지는 하화중생의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결국 『묘법연화경』 독송과 ‘공양’이 중심인 영산재와 고혼의 ‘시식’이 중심인 수륙재는 ‘상향’과 ‘하향’이라는 독립적이고 고유한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상호의 역할이 보완된 형태로 설행되고 있다. 상향의 ‘공양’과 하향의 ‘시식’을 하는 영산재와 수륙재는 ‘왕생극락을 위한 추천의례’라는 공통성으로 말미암아 상호 보완되어 유사해져 ‘영산수륙재’라고 불리게 되었다. 영산재에 하단 시식이 행해지고, 수륙재에 영산법석의 양태가 행해지게 된 것은, 곧 처해진 상황에 對機的으로 對處하며 융합하는 역동성과, 끊임없이 불타의 本懷를 추구하려는 한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두 의례에 대해 先後와 上下를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행 한국수륙재에 대한 검토

        이성운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수륙재는 4성과 6범을 초청해 음식을 공양하고 하위의 중생들에게 진리의 말씀을 들려주어 해탈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종합적인 불교의식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에서 널리 행해지는 수륙재는, 발상 지 중국의 그것이나 한국불교 이전의 의문(儀文)과 그것에 대한 인식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한 다. 수륙재에서 재(齋)는 음식을 굶으며 하는 수행인데, 수행자들에게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으로 변형 되었다. 그리고 다시 제사(祭祀) 추천(追薦)의식 일체를 지칭하는 의미로 인식되고 있다. 이 논문 에서는 재에 대한 근원적 의미와 인식과 이해의 변천을 살피고, 수륙재의문의 형성과 성립을 살핀 후, 결수문(結手文, 撮要)을 한국의 정통성 있는 수륙의문으로 이해하였다. 또 수륙재의 구조, 차서(次序)의 차이(差異) 등을 규명하며, 대령과 시련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 였고, 수륙재의 일차를 확인하였으며, 대령을 다른 의식보다 먼저 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시련의 의미가 현재와 다르게 음식을 공양하는 재자를 모시는 의식이라고 밝혀냈다. 또 상중하위 에 대한 음식 공양의 평등과 변공(變供)의 차이를 밝혀내기도 하였다. 한국의 수륙재는 공양을 올리는 재자의 형편에 따라 그 규모가 정해지고, 또 의례 설행상황에 따라 광대로 행하거나 간략하게 행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 그 모습이 적지 않게 변화되었다. 그 결과 새 롭게 의미가 부여되거나 오인(誤認)되기도 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수륙재에 대한 이해는 전문 의례 수용자들의 이해가 최우선의 전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이 있는 연구는 많지 못했다. 그러므로 수륙재의 바른 이해와 설행을 위해서는, 수륙재의 발생과 구조와 의미에 대한 경전적인 이해 위에 역사적인 전승과정의 변용을 면밀히 검토하고 연구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대승적으로 수용하여 수륙재에 반영돼 설행되어야 할 것이다.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s a comprehensive Buddhist ceremony in which four saints and all beings in six worlds are invited for a feast and inferior sentient beings are given Dharma talk leading to nirvana. But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eing practiced in Korea nowaday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China where it is originated and the ritual oration used prior to Korean Buddhism and the understanding of it. Jae(齋, the offering ritual) of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was to practice meditation fasting but was changed into offering food to meditators. Again, it is regarded as the meaning indicating all commemorative rites for Chucheon(追薦,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In this essay, the original meaning of Jae(齋, the offering ritual) and the transit of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it is considered and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offering ritual oration for land and water is examined, and then it is argued that Gyeolsumun (結 手文, making mudrās) or Chwalyo(撮要, the selection of the gist) is the orthodox oration of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lso, the structure of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the difference of the order of it and so on are investigated, the meaning of Daeryeong(對靈, the rite of calling in the soul)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is renewed, the daily rate of it is identified, and the cause for putting Daeryeong(the rite of calling in the soul) first is explained. In addition, the original meaning of Siryeon(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was to receive lay people who would offer food to the meditators,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even and Byeongong(變供, differential offering food) to the three platforms is illuminated. The scale of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s arrang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lay people who offer food and a grand or simple ceremony of i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 of the ritual arrangement, which has undergone a great transformation over its history. As the result, it might come to contain a new meaning or misunderstanding up to the present. Meanwhile, the understanding of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not been studied deep into, and so the most reliable authority might be that of the professional performers of the rite. Therefore,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rrangement of Suryukjae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the transformation process over its history should be researched and examined closely on the basis of the canonical understanding for the origination and structure of the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then it should be reflected to arrange Suryukjae(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by adapting it in the way of Mahayana.

      • KCI등재

        ‘경산본’ 수륙의문의 편찬 고찰

        이성운,박선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is writing considers publishing the offering ritual oration for land and water in Korean Buddhism, throug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mpiling its Kyeongsan edition by Kyeongjae Sori Preservation Society, Seou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43 and Research Institute of Kyeongjae Eosan. It is made clear that the offering ritual orations for land and water were complied as applicable. Also, history of its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 was briefly examined. Its Kyeongsan edition shows that it embraces viewpoints of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embodies the spirit of not inventing but narrating (述而不作)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ransmission of Buddhist ritual oration and contains its annotation and interpretation. Nonetheless, it has a problem that we need to work on. Generally, the following four elements should be take into consideration to publish the offering ritual oration for land and water in a desirable one, its formality, being open-minded, knowing that Korean ritual oration is not everything and the unities of its ritual oration and setting. 이 논문은 한국불교 수륙재 의문의 편찬에 대한 견해를 살펴본 것으로, 그 가운데 서울시무형문화제 제43호 경제소리전승보존회와 경제어산연구소에서 편찬한 ‘경산본(京山本)’ 수륙의문 편찬의 특징 등을 살펴본 글이다. 경산본 수륙의문에는 여섯 가지 특징이 있음을 밝혀냈다. 먼저 수륙의문 편찬의 기미를 살펴보았고, 국내외에서 역사상 일어난 수륙의문 편찬 역사의 대강을 둘러보았으며, 경산본 수륙의문에는 의문을 짓기 위해 전거 자료를 통해 그 견해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의문의 법식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위주로 해서 전승의 형태를 따라 술이부작(述而不作)의 정신을 구현하고 있었다. 편찬의 의미를 위해서 주석과 해석을 달아 편찬하고 있고, 그와 같은 관점을 가지고 편찬하였지만, 여전히 미완의 과제가 존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수륙재 의문 편찬에는 대략 네 가지 정도를 참고해야 될 것으로 보였다. 의례의 형식을 살펴서 의문을 편찬해야 하고, 향후 바람직한 수륙의문 편찬을 위해서는 열린 사고를 견지해야 하며, 의문의 우리말화가 능사만이 아니며, 의문과 설단의 일치를 추구해야 한다.

      • KCI등재

        수륙재의 한국화에 대한 일고찰

        이성운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0 No.-

        이 글은 발상지 중국에서 현재 행해지는 수륙재와 한국수륙재를 비교하여, 한국수륙재의 특성을 思惟와 行爲라는 두 관점으로 분석한 글이다. 첫째, 수륙재의 ‘수륙’에 대해, 중국에서는 ‘수륙’을 중생의 의보처(依報處)라 고 이해하고 하는 데 비해, 한국에서는 ‘물’과 ‘뭍’이라는 현실적인 공간에서부 터 성인과 범부라는 차원으로 이해하거나 용왕굿이라는 이해까지 다양하게 나 타난다. 또 수륙재회가 열리게 되었음을 네 곳의 공간에 알리는 역할을 부여받 은 네 사자의 이름에 ‘연월일시(年月日時)’라는 ‘시간 개념’을 투영함으로써 시공 의 일치를 추구하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중도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또 수륙의문을 요점 위주로 신찬(新撰)하거나 현실적 관점에서 의례를 재편(再 編)하고 있다. 설판(設辦) 상황에 따라 의례를 봉행하기 위해 『지반문』·『중례 문』·『결수문』이라는 대·중·소의 의문을 편찬하거나 현실을 반영한 영산작법 을 합편하거나, 상위·중위·하위의 순서로 소청하면서도 하위의 영적 존재를 먼저 대령하여 업장을 없애고 선근을 닦게 하는 의례 차서를 재편하고 있다. 이 는 역동적이고 융통성 있는 사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수륙재에서 설행되는 沐浴의식과 侍輦의식에서 ‘행위’의 구체성을 볼 수 있다. 목욕을 할 때도 상위와 중위의 성현들을 위해서는 욕실로 안내하는 데 그치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수륙재의식이 같다. 다만 한국의 수륙재에는 하위 (下位)의 존재들에게는 일일이 치질을 도와주거나(작양지진언), 입을 가시게 하고 (수구진언), 얼굴과 손을 씻게 해준다(세수면진언). 그리고 종이옷으로 해탈 옷으로 변화하게 하는 화의(化衣)의식도 옷을 주는 진언(授衣진언), 옷을 입는 진언(着衣진 언), 옷매무새를 단정히 하는 진언(整衣진언) 등이 시설되고 있으며, 수인(手印)이 결인(結印)되고 있다. 또 법회도량에 부처님을 모시는 시련(侍輦)의식을 구체적으로 설행한다. 불 화를 내거는 괘불이운의식은 티베트 등지에서도 쉽게 확인되는 모습이지만 삼 신(三身)위패를 연(輦)에 실어 법회도량으로 모시는 것은 국왕의 행차를 본 뜬 의 식으로, 한국수륙재의 구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n terms of both thinking and doing by comparison to the original Chinese ritual. Firstly, the ‘Suryuk’ of Suryukjae, it means Uibocheo(依報處, the venue for Dependent recompense) for Sentient beings in China. However, it has various other meanings from the exterior place of land and water, to ordinary beings and saints, and even to Youngwanggut(the ritual for the Dragon King). It represents the world view of the Middle way, neither one nor two(不一不二) which pursues the harmony of time and space by adding the concept of time, that is, year, month, date and hour to the names of the four messengers who are in charge of announcing the opening to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Also, the ritual program for Suryukjae is compiled anew by summarizing the main point or reorganized prac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 of performing the ritual, it is organized into large, medium or small system, that is; Gyeolsumun(結手文, making mudrās), Jungryemun(中禮文, the ritual program in epitome) and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and the rules of conduct for Yeonsanbeopseok(靈山法席, Dharma seat at Vulture Peak) are combined with Suryukjae by reflecting reality. The ritual is reorganized, so that Socheong(召請, invita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upper, middle and lower class of the soul but Daeryeong(對靈, the rite of calling in the soul) is performed for the lower class first to eliminate Karmic obstacles and cultivate wholesome roots.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dynamic and flexible thought. Secondly, the rite of bathing(沐浴儀式)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are defined in Korean Suryukjae. When the rite of bathing is performed, it is the common for the soul of the upper and middle class to be conducted into the bathroom in both Korea and China. But for the soul of the lower class, the Korean ritual involves the following; to help each one brush one’s teeth and gargle, to clean the face and hands in the rite of bathing, followed by giving each other clothes, dressing and straightening the dress in the rite of clothing(化衣儀式) during which the paper clothes are transformed into those for the nirvana. Mudra is also practiced. Again, the purpose of Siryeon is to escort Buddha to the Dharma hall. Though hanging a painted Buddhist scroll is common in Tibet, too, in the Korean ritual, the memorial tablets for the three legendary founders of Korea are placed onto a sedan chair and escorted into the Dharma hall, emulating the king’s royal procession. This demonstrates the externalization of Korean Suryukjae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