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이성아,유은영,채경주 대한작업치료학회 200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normative data and comparing cognitive abilities of patients with stroke and normal population by administering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The subjects were 31 patients with stroke and 19 adults in a good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tatistically low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items except for object identification, shape identification and copying geometric form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sis of items based on affected sid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uomotor organization and thinking operation.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atment period and visuomotor organization.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TCA scores and age and onset of the diseas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TCA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se data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line.
이성아,남선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4 기독교사회윤리 Vol.59 No.-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inciples and models for effectively utilizing EduTech in church settings to support educational ministry.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seeks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congregants, improve the quality of faith education, and broaden the engagement with younger generations. The research derives principles for EduTech utilization centered on the five major ministries of the church and presents a model for EduTech application. This model has been validated by experts, and concrete scenario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have been developed. By proposing a new paradigm for educational ministry, this study aims to enable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ministry, thereby enhancing communication with congregant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aith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an in-depth analysis of actual cases of EduTech-based educational ministry, differentiated studies based on church size and infrastructure, and continuous evaluation of the impact of EduTech on spiritual growth and community strengthening through ethical reflec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is will help establish ethical guidelines for the use of EduTech in ministry. 본 연구는 교회에서 에듀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교육 목회를 지원할 수 있는 원리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성도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신앙 교육의 질을 높이며,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는 교회의 5대 사역을 중심으로 에듀테크 활용 원리를 도출하고, 에듀테크 활용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전문가들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현장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목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 교육 목회가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도들과의 소통이 강화, 신앙 교육의 질 향상이 이뤄질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에듀테크 기반 교육 목회의 실제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교회의 규모별, 인프라별로 세분화된 연구, 에듀테크의 목회 활용에 대한 기독 윤리적 성찰을 통한 성도들의 영적 성장과 공동체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에듀테크의 윤리적 사용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성아,김현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 사회에 바탕을 둔 재활프로그램의 한 모델로서 작업치료와 실내디자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이루어 주거환경 개선으로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중재에 대한 실제를 알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대상은 청주 지역에 사는 버거병을 가진 46세의 남성과 뇌성마비를 지닌 37세 여성이다. 가정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장애인에게 각각의 예후와 질병의 특성을 파악한 후 맞춤식 주택 개조를 제안하였고, M.B.I.로 일상생활 평가와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도구를 이용해서 작업수행을 평가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주거환경 개선 후 일상생활에서 향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고, 작업 수행과 작업수행만족도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다. 결론 : 팀 접근식 주거환경 개선 연구를 통해서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에게 각 전문가의 전문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독립적인 일상생활, 장애 예방, 작업 수행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주거 환경 개선이 각 대상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중재 활동이기에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통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eck for physical disabled people the result of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provided by a housing improvement plan of a team, which is composed of experts from both field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interior design.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 46 year old man with Buerger’s disease and a 37 year old woman with cerebral palsy. By providing each of home checklist subjects suggested improvement plan taking into consideration characteristics and prognoses of diseases with an environment, and evaluates each patient’s A.D.L by M.B.I.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by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s : After housing improvement, the subjects showed that ADL was improvement but not meaningful statistic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as meaningful clinical changes. Conclusion : This study of team-approach housing improvement, this dissertation shows the fact that a professional management provided by each expert for physical disabled people in community makes possible their comfortable daily lives overcoming disabilities, prevention of diseases,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However, a more objective evaluation is needed because housing improvement is an activity of intervention designed according to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human life and science also has been innovatively developed. Since th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as met the digital era and influenced the overall culture and society. Digital media technology, connected with a new trend, is also leading human living and the whole culture. This popularized digital media technology is able to give lots of changes to advertisements with the advent of emotions. The is the reason why emotion advertisements are general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means of attracting viewers' eyes in the various contents and kinds of ads administered by means of digital media. But the appraisal of advertising appeals via emotions is differently shown up to now. There are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negative view of selling not merchandise but emotions through exaggerated story wrapping, and the other a positive view of purchasing emotions by stimulating innate human emotions. Besides, a variety of views are also being shown.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transitions and trends of advertisements, reasonal and emotional appeals, and find out the points emotion advertisements are going to aim for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methods of the research examine the basic theories and articles on emotions and emotion advertisements, and finally discuss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rough case studies of emotion advertisements administered in media. As a conclusion, while executing advertising by means of either reasonal or emotional appeals. the important thing is to read consumers' tren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velopment of stories which can stimulate consumers and appeal to them along with sales power.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hrough this,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can naturally assimilate and touch consumers by the stories should be made and then excite consumers' emotions.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삶은 많은 변화가 있었고, 과학의 발전 역시 혁신적인 발전했다.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문화ㆍ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새로운 트렌드와 연관되어 인간 생활과 문화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렇게 대중화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광고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고, 이와 함께 대두된 것이 감성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집행되는 다양한 내용과 종류의 광고 속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써 감성광고는 대중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성을 통한 광고 소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그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과장된 스토리의 포장으로 인해 상품이 아닌 감성을 판다는 부정적인 측면과 인간 본연의 감정을 자극하여 감성을 산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변화와 트렌드 그리고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에 대해 논의하고 감성광고가 지향해야 할 점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의 방식은 감성과 감성광고에 대해 기존 이론과 기사들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미디어 속에서 집행되는 감성광고의 사례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성소구든 감성소구든 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감성광고의 집행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판매력과 더불어 소비자의 마음을 자극해 사로잡을 수 있는 이야기의 전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토리텔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서 소비자가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동화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내용의 광고를 만들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