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운수안전경영시스템을 위한 근무 및 생활환경 기반 택시 운수종사자 패턴 분류

        이설영,조은솔,오철,강선화,최병호 대한교통학회 2020 대한교통학회지 Vol.38 No.3

        The in-depth crash causes analysis for commercial vehicles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ective safety countermeasures because the crash severity due to commercial vehicles is much higher than other vehicle types. A viable countermeasure to cope with commercial vehicle crashes is to conduct a traffic safety consulting for commercial vehicle dr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pattern of taxi drivers, which is a fundamental to developing a customized consulting program. A two-stage clustering methodology is adopted to recognize the pattern of taxi drivers based on driver’s intrinsic characteristics underlying the cause of the crash occurrence that include working, health, and living conditions. Results show that it is desirable to classify taxi drivers into four groups such as ‘overworking’, ‘life-imbalanced’, ‘work and life-balanced’, and ‘unspecified-normal’. Discussions on how to use four driver patterns in conducting the safety consulting are presented. In addition, an example of consulting method is presented, whi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developing effective consulting programs. 사업용자동차 중 교통사고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택시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운수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인 원인조사를 통한 운수안전경영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의 교통사고 원인조사 체계에서 수집하는 자료는 사고 발생 현장의 도로교통시설결함과 운수종사자의 위험운전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택시사고에 가장 비중이 큰 운전자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생활패턴, 건강특성과 같은 사고발생 기저에 있는 본질적인 요인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택시 운수종사자의 근무 및 생활환경, 건강특성 등을 토대로 운수종사자의 유형을 진단하여 인적요인 기반 운수안전경영관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993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 면담조사를 통하여 본질적 기저요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혼합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법인택시 운수종사자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혼합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하여 법인택시 운수종사자를 ‘근로과다형’, ‘생활불균형형’, ‘불특정다수형’, ‘워라밸지향형’ 4개의 패턴으로 분류 및 정의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항목 중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필요성, 일주일 근로시간, 직무스트레스 정도,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 사고심각도 등 패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총 21개의 유의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수종사자 안전경영시스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운수종사자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자율협력주행 환경에서 군집주행에 따른 효과분석

        이설영,오철,최새로나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자율주행자동차가 차량 내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V2X 통신을 이용한 협력주행 기술 역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이 발달이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제어에 적용된 군집주행기술은 교통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율차의 군집주행은 도로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교통류 운영효율성, 안전성, 환경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주행 전용차로 운영시 군집주행 파라미터(군집내간격, 차량군크기)와 교통서비스 수준에 따른 운영효율성 측면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행시간, 주행속도, 통과교통량을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군집주행 전용차로 도입의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서비스 수준에 따른 적정 군집주행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운영효율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교통운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시 전동킥보드 정책 개선 방향 도출

        이설영,조혜림,박순용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8 No.-

        본 연구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정책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킥보드 운영ㆍ이용 현황 및 불법주정차 전동킥보드 견인제도 시행에 따라 시공간적 견인 패턴을 파악하였다. 서울시 불법주정차 공유킥보드 견인제도 시행 후 ’22.07까지 견인 킥보드 건수는 총 60,791대이며, 이에 따른 견인 비용은 약 24억 원으로 확인되었다. 공유킥보드 업체의 견인 피해 발생을 개선하기 위해 견인 유예시간을 부여하는 등 제도를 개선였으나, 월평균 견인료 및 보관료는 시행 전보다 30% 증가한 수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관련 환경 및 정책에 대한 SWOT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출결과를 통해 정책 개선의 기본방향을 설계하였다. 견인제도의 강화보다는 공공-민간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지자체 단위에서 시행 가능한 공공 주차공간 설치 위치 선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 차량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이설영,오철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오늘날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과 발전에 따라 자율주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차량의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자율차시스템 보급률(MPR, Market Penetration Rate)이 하루만에 100%가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시간에 흐름에 따라 MPR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자율차와 비자율차가 혼재되어있는 상황에서 자율차의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율주행차량의 비율과 서비스수준(LOS, Level of Service)에 따라 군집제어 파라미터를 조정하였으며, 군집제어 파라미터로는 차량군크기(Platoon Size), 군집내간격(Intra-platooning spacing), 군집간 간격(Inter-platooning spacing)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도구로는 미시교통류시뮬레이션인 VISSIM을 이용하였으며, VISSIM COM Interface를 이용하여 군집주행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교통운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서울시 전동킥보드 견인 현황 및 특성 분석

        이설영,조혜림,박순용,이우섭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7 No.-

        단거리 이동을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하는 수요가 최근 5년 사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1년 6월 기준 서울지역 내 공유 전동킥보드 운영대수는 약 5만 5천여 대로 뉴욕보다 18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공유 전동킥보드 킥보드 확대에 따라 이용자의 이동성은 증대되었으나, 무분별한 주차 문제로 보행환경은 저하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21년 7월 전국 최초로 불법 주정차 전동킥보드 견인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즉시 견인구역을 명확화, 견인 시간 유예 등 계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고 및 견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간적 견인 유형별 패턴 분석을 통하여 견인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통기반 공공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고속도로 차량배출가스 시공간 패턴분석

        이설영,주신혜,윤석민,오철 대한교통학회 2016 大韓交通學會誌 Vol.34 No.5

        Vehicle emissions have been known as a critical factor to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 health. In particular, particulate matters(PM) and NOx are highly related with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PM and NOx generated from urban freeway traffic. MOVES, which is a well-known emission analysis tool presented b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was applied to estimate PM and NOx based on traffic volume and speed data obtained from Seoul Outer Ring Expressway during January~June, 2012. K-means clustering analysis was used for categorizing the Level of Vehicle Emissions(LOVE) to support more systematical identification of the significance of emissions. Then, spatio-temporal analyses of estimated emissions were conducted by LOV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set of strategies to reduce both PM and NOx to enhance public health based on analysis results. 차량배출가스는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출가스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수립 및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차량의 배출가스 중 호흡기 질환에 특히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질소산화물(NOx)과 초미세먼지(PM2.5)를 대상으로 시공간적 배출량의 패턴을 분석하고 교통기반 공공보건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공간적 분석범위로 설정하고 2015년 1월부터 6월 사이에 수집된 속도와 교통량 자료를 기반으로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거시적 모형을 통한 차량배출가스 발생 총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배출가스 자료에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차량배출가스 수준(Level of Vehicle Emission)을 정의하였으며, 평일 차량배출가스 발생량의 물질별‧시간대별‧공간별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통기반 공공보건 정책방안을 교통계획 및 교통시설물, 공공보건 정보, 교통운영 및 관리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차량배출가스 분석방향 및 전략은 공공보건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