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감로도에 나타난 아귀의 정체성 연구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In currently the oldest currently available Yangak[揚諤]s Cheonjimyeongyangsulyug-uimun[天地冥陽水陸儀文] has accepted the concept of vidyārāja[明王] of the wrathful Buddha[忿怒尊] and the Pure Land rebirth of the seven-tathagata-yogas through the cursed energy[呪力] adhiṣṭhāna(加持). Geondanbeop[建壇法] is based on the Sibji[十地] - practice of the Geumgwangmyeongchoiseungwang-Kyung[金光明最勝王經] and the adhiṣṭhāna of the seven-tathagatas of the Yugajibyoguanandalaniyeomgugweuigyeongkyung [瑜伽集要救阿難陀羅尼焰口軌儀經] . Hyeso(慧沼) interprets the darani-practice of the Shibji[十地]-Bodhisattva in Geumgwangmyeongchoiseungwang-Kyung as what the Bijeung(悲增)-Bodhisattva and the Jijeung(智增)-Bodhisattva look at each other[望], showing the same world of Shibji. But, in Yangaks Cheonjimyeongyangsulyug-uimun , the ten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are accepted, but the icon of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as a Gyolyeonglyunsin(敎令輪身) is not yet revealed. Afterwards, Bijeung-Bodhisattva and Jijeung-Bodhisattva accepted in the Mita-Chambeop[彌陀懺法] of Yetnyemitadoryang-Chambeop(禮念彌陀道場懺法) edited by Wangjaseong(王子成), are accepted as the logic of the ritual of dharma to seek rebirth in the 9 items[九品]. Mita-Chambeop, the form of this ritual of dharma, is accepted in Sulyugmuchapyeongdeungjaeuichwalyo(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Yangaks Cheonjimyeong - yangsulyug - uimun is influencing Cheonjimyeongyangsurukjaeuihymnyo(天地冥陽水陸齋義纂要) . Finally, the vidyā-rāja of the wrathful Buddha of the collection of rituals for the spirits on water and land is revealed as a Gyolyeonglyuns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vidyā-rāja and a Bodhisattva through the iconography of Amrita Buddhist Painting. The two vidyā-rājas are of the rebirth in the 9 items, Avalokitesvara appears in the form of Bijeung-Bodhisattva and Mahāsthāmaprāpta appears in the form of Jijeung-Bodhisattva, who helps with rebirth. Vidyā-rājas, the embodiment of mercy and wisdom, shows the shape of Gyolyeonglyunsin performing different activities by assuming the Ālīḑha and the Pratyālīha. In this way, the vidyā-rājas of the 1 vidyā-rāja or the 2 vidyā-rājas is a Gyonyeongryun deity based on the rebirth in the 9 item pure lands, and their identity is manifasted by Bijung-Bodhisattva and Jijeung-Bodhisattva.

      • KCI등재

        조선후기 水陸齋文에 나타난 불교음식 연구

        이선이(李鮮?)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이 논문은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육색장축원문에서 불교음식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수륙재를 설행하는 기간과 시설하는 단(壇)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현상으로 해석된다. 비록 설행하는 규모는 줄이지만, 음식을 준비하는 소임은 한국적인 용어를 사용하며 체계화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중국에서 인식하고 있는 수륙재의 의미보다는 음식을 매개체로 하는 의례라는 인식의 전환이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양물의 중요함이 강조되고, 국가조직인 육조(六曹)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육색장(六色掌)의 이름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수륙재에서 준비해야 할 공양물을 만드는 직책을 육색장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특징은 1600년 이전에 성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육색장은 밥을 짓는 반두(飯頭), 밀가루·기름·꿀로 유밀과를 만드는 조과(造菓), 떡을 만드는 조병(造餠), 차를 끓이는 다각(茶角), 정과를 만드는 숙두(熟頭), 국을 끓이는 채로(菜露)이다. 육색장은 아니지만, 육색장이 원하는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와 도구를 준비하는 별좌(別座)도 중요한 소임이다. 육색장은 조리 방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반두는 곡식 낱알을 찌고, 조과는 곡식 가루를 반죽하여 튀기고, 조병은 곡식 가루를 찌고, 다각은 차를 끓이고, 숙두는 근·줄기·열매를 꿀로 졸이고, 채로는 물에 끓인다. 음식으로는 밥, 유밀과, 떡, 차, 정과, 국이다. 한국식생활의 기본 요소인 밥과 국을 제외하면, 떡과 유밀과는 수륙재의 음식에서 중심이 된다. 이는 경전에서 최고의 공양물로 여기는 기름과 꿀을 이용한 유밀과가 수륙재에 전승되고 있는 증거이다. 이와 같이 육색장은 조리법을 기준으로 역할을 나누어 조직화하며, 떡과 유밀과는 불교음식으로 전승된다. 그리고 육색장의 직책 이름이 청규나 경전·주석서에 보이지 않는 것은 한국수륙재의 특징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국수륙재가 수륙재의 공양물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이다. 지환의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육색장축원문에는 불교음식의 의미와 분류체계가 나타나며, 유밀과의 전승 모습을 나타낸다.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food were found in the original text of Jihwan(智還)"s 『CheonjiMyeongyangsuryukjaeieubeomeumsanbojip』 of Yugsaegjangchugwon-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Suryukjae, the period of installation and the mandala of installation are gradually decreasing. The reason is interpreted as a phenomen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lthough the economic scale of Seolhaeng is reduced, the job of preparing food is systematized using Korean terminology. This characteristic can be interpreted as shifting to the recognition of rituals using food as a medium rather than the meaning of Suryukjae recognized in China.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offerings is emphasized, and the name of the Yuksaekjang(六色掌) is accepted. The job of making offerings to be prepared in Suryukjae was called Yuksaekjang.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established before 1600s. Yuksaekjang is an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that person who cooks(飯頭), artificially made confection(造菓), rice cake maker(造餠), tea brewer(茶角),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熟頭), person who cooks soup(菜露). Although it is not Yuksaekjang, Byeoljwa(別座) prepares ingredients and tools so that Yuksaekjang can make what she wants. Yuksaekjang determines how to cook. Person who cooks is for steaming grains, artificially made confection for kneading and frying grain powder, rice cake maker for steaming grain flour, tea brewer for boiling tea, person who stews fruits in honey and sesame oil for boiling roots and fruits with honey, and person who cooks soup for boiling in water. Foods are rice, honey and oil, rice cake, tea, and stewed fruit and root vegetable. In this way, the Yuksaekjang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oking method. A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uryukjae that the name of Yuksaekjang does not appear in Chinese scriptures or commentaries.

      • KCI등재
      • KCI등재

        니체의 감성적 사유

        이선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is paper reveals that Nietzsche’s thought is not only the thought of the aesthetical ability which is combined with a sense and is composed of senses but Nietzsche's thought is also the aesthetical thought that developed philosophical thinking by an aesthetical ability. It is already well known that Nietzsche regards highly the aesthetical ability and insists the body which is the major reason. This paper intends to determine how Nietzsche’s view on the aesthetical abil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philosophers and how Nietzsche had developed the aesthetical thinking by the aesthetical ability. What this paper wants to indicate through the analysis of Nietzsche’s thought is the Pathos-Centered thinking which breaks the Logos-Centered thinking of western philosophy and is immensely a new way of thinking that is considerably far from the established western culture. 이 논문은 니체의 사유가 감성과 결합되어 있거나 감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감성적 능력에 대한 사유일 뿐만 아니라 감성적 능력에 의해 철학적 사유가 전개되는 감성적 사유임을 밝히고자 한다. 니체의 사유가 이성 중심의 전통적 서양철학과는 달리 감성적 능력을 중요시하고 큰 이성인 몸을 주장했다는 것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 글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니체가 감성적 능력을 이전의 철학자들과 어떻게 다르게 해석하였으며 감성적 능력에 의해 감성적 사유를 어떻게 전개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니체의 사유가 서양 철학의 로고스 중심적 사유를 탈피한 파토스 중심적인 감성적 사유라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매체변화에 따른 새로운 감성윤리 -가상(Schein) 개념을 중심으로-

        이선 한국니체학회 2009 니체연구 Vol.16 No.-

        Zur heutigen Medien-Welt bedarf die Etabilierung der Meidenethik. Von moderner Entwicklung der Medien-Welt sind unsere Sinne und Wahrnehmungen auch sehr stark verwandelt. In dieser Arbeit will ich in bezug auf Scheinbegriff ein Vorschlag für eine neue Ethik heutzutage machen. Schiller konzipiert Schein in bezug auf Schönheit, d. i. schöner Schein. Er hält die Schönheit als Gleichgewicht zwischen Sinnen und Vernunft, daher entsteht schöner Schein aus dem nachahmenden Bildungstrieb. Schillers schöner Schein passt nicht zu der heutigen Medien-Welt, weil sein Scheinbegriff nur in bezug auf Vernünftigkeit konzipiert wird. Hingegen betont Nietzsche in Bezug auf Scheinbegriff die Leistungen von Wahrnehmungen und Sinnen ausdrücklich. Der Schein des Scheins und der Rausch nach diesem Schein, die Zwei wichtige Kunstriebe, d. i. das Dionysische und das Apollinische, erweitern im unseren Wahrnehmungsund Sinnesvermögen zu dem Schein des Scheins und dem Rausch nach diesem doppelten Schein. Schein und Rausch spielen eine grosse Rolle für die Rechtfertigung des Lebens. Bei Konfuzius und ostasiatisches Denken zeigen uns dazu eine Alternative der Medienethik. Gestaltende Prozesse von Sinnen und Wahrnehmungen enthalten eine Dynamik deren, die daraus entsteht, dass die Entfernungsfunktion der Sinnen schon vom Körpern ausgeübt und zugleich ausgedrückt wird. 현대 매체의 변화에 따라 우리의 감각수용방식과 인지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지능력과 상상능력을 구분했던 인간의 인식능력 또한 변화되었으 며, 이렇게 변화된 인지능력에 맞춰 새로운 윤리학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상상능력과 인식능력에 다리를 놓았던 가상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인지능력과 감각능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피고, 더 나아가 가상에 의한 삶의 변형을 추구했던 쉴러, 니체 그리고 공자를 중심으로 현대 매체 변화에 맞는 윤리학을 그려보고자 한다. 쉴러에게 가상개념은 아름다운 가상으로 나타난다. 그는 아름다움을 감성능 력과 이성능력의 균형과 조화라고 말하며, 그 중 아름다운 가상은 특히 형성능 력에 의해 생긴다. 실제적인 것과 가상을 구분할 줄 아는 능력에서 가상을 가상 으로 볼 줄 아는 능력이 파생된다. 더 나아가 가상을 즐길 줄 안다는 것은 모방하 는 형성충동을 통해 예술적인 형성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뜻한다. 니체의 가상을 통한 도취는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이루어진 예술의 두 원리를 감성 전반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이러한 니체의 방법은 매체에 대한 능동적 직감과 몰입을 통한 창조력을 끌어낼 수 있다. 더 나아가 니체의 신체성 에 대한 강조는 삶의 리듬에 맞는 매체의 선택과 몰입을 강조한다. 공자를 위시 한 동양사상은 감각과 지각 안에 사유능력을 내재화한다. 특히 공자의 인(仁) 개념은 감정의 운동 속에서 내적인 조율 작용을 거치기 때문에 심미적 감수성 안에 거리두기의 감각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감정의 운동을 통해서 상황 판단력과 행동 추진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는 심미적 감수성을 단련하게 됨으로써, 오늘날 초고속 매체와 메시지의 홍수 속에서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맞는 윤리적 판단과 반응으로 순발력 있게 대처하게 될 수 있다.

      • KCI등재

        헤르더의 다문화성과 니체의 가로지르기 문화성

        이선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3 No.-

        Je nach heutiger Zunahme interkultureller Verhältnisse wandeln sich zeitgenössische Kulturen vielfältiger und komplexer. Dazu bedarf es eine neue Verständnisweise von Kultur. Die zeitgenössischen Kulturen sind nicht mehr als sämtliche Lebensweise eines Volkes oder einer Gesellschaft, sondern als dynamische Prozesse aufzufassen, in denen unterschiedliche Kulturen aufeinander treffen und miteinander verkehren. Diese neue Verständnisweise von Kultur bedarf eines neuen Kulturbegriffs. Demzufolge handelt es sich darum, eine neue und den heutigen Kulturen passende Konzeptualisierung von Kultur zu erarbeiten. Zunächst ist der terminologische Ursprung des herkömmlichen Kulturbegriffs und die daraus entstehenden Bedeutungen zu betrachten. Danach stelle ich gegen die herkömmlichen Kulturbegriffsauffassungen die Kulturbegriffsauffassung von zwei Protagonisten auf; die Multikulturalität von Herder und die Transkulturalität von Nietzsche. Der Begriff Kultur bedeutet ursprünglich die agrarische Tätigkeit und dessen Ergebnis. Daraus entstehen drei metaphorische Bedeutungen, d. h. die Bedeutung von poesis, moralische Bedeutung und gesellschaftliche Bedeutung. Im Gegensatz dazu vertritt Herder die Multikultutralität, indem er das sukzzesive Verhältnis zwischen Natur und Kultur, die darin entwickelte Eigenartigkeit jeder Kultur und eine Version vernünftiger Verwirklichung der Menschheit behauptet. Aber sein Versuch ist für die Produktivität heutiger Kulturen nicht genügend, weil sein Konzept volksgebunden ist. Hingegen drückt der Kulturbegriff von Nietzsche die Leistungen von Anschlüssen und Übergängen und bahnt einen Weg zur kritischen Kulturbildungen durch Anschlüssen und Übergängen. Die Transkultralität von Nietzsche, die Interkulturelle Verhältnisse und die kulturelle Produktivität von derer bearbeitet, scheint eine Lösung des heutigen Kulturbegriffs zu sein. 오늘날 문화 간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문화의 양상들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현대 문화는 더 이상 전승된 특정한 집단의 생활 양태가 아니라 여러 문화들이 서로 만나고 교류하는 동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의 새로운 이해는 기존의 문화 규정과는 다른 문화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틀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 글은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 개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우선 기존 문화 개념의 어원과 그 파생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비판으로서 헤르더의 ‘다문화성’과 니체의 ‘가로지르기 문화성’을 제시한다. 먼저 전통적인 문화 개념은 자연으로부터 경작을 통해 얻는 산물과 그 행위라는 의미로부터 출발하여 제작적 의미와 도덕적, 사회적 함의로 파생된다. 이에 대한 비판으로 헤르더는 자연과 문화의 연속적 관계, 그 속에서 저마다의 인간성을 구현시킨 각 문화의 고유성, 더 나아가 인류의 공동 이성의 실현에 대한 비젼을 제시하면서 다문화적인 문화 이해를 보여준다. 그러나 헤르더의 이러한 문화 이해는 민족의 개념을 버리지 못한 채 한 문화를 하나의 민족적 단일체로 파악하여 문화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현대 문화의 생산성을 충분히 개념화하지 못하였다. 이와 달리 니체의 문화 개념은 문화의 결합작용과 이행작용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습득된 문화를 다른 문화들과의 교류를 통해 비판적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문화들 간의 교류와 이에 따른 문화의 생산성을 고찰한 니체의 가로지르기 문화성은 우리에게 현대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개념적인 틀을 제공한다.

      • KCI등재

        트랜스휴머니즘과 니체의 출산으로서의 생명개념

        이선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3 No.-

        In this essay, I examine the context, where Nietzsche’s Philosophy is generally taken to be Trans-humanists and argue for the conclusion to the contrary based on his concept of life that makes the core of his existential philosophy. Depend on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the human enhancement program of Trans-humanism could either be supported or be opposed. On an one hand, Nietzsche’s concept of self-overcoming with th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seems to provide some clues that support the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of Trans-humanism. But on the other, the contrary can be supported by Nietzsche’s concept of human life as Childbirth because his thought acknowledges the limits of human condition. Because the current controversy over Trans-humanism are focused on the question of the possibility of human condition mainly, Trans-humanists put a strong emphasis on Overman or Trans-human. Rather, it makes Trans-humanism hardly hold the concept of life based upon the general experiences of self-overcoming in nature, human life, and human body. I claim in this essay that Nietzsche’s concept of life should be considered as Childbirth. Then his concept of overman, that is, self-overcoming gains a physical space. Human life through Childbirth can function as a principle to create all of the experiences in nature, human life and human body. The human enhancement program neither contains the process of Childbirth from the dynamic nature nor satisfy the usefulness for the human life. It even justifies the instrumentation of human body. Trans-humanism is criticized by Nietzsche’s concept of life for the pursuing the human enhancement only while ignoring the process of Childbirth. 이 글은 니체철학이 일반적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의 입장이라고 간주되는 이유를 살펴보고 과연 니체철학이 트랜스휴머니즘과 만날 수 있는지를 ‘생명’의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니체철학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입장에 대해 긍정할 수도 있고 부정할수도 있다. 한편으로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인 견해를 제외한다면 니체의 예술가적 창조를 통한 자기극복은 트랜스휴머니즘적인 인간 종의향상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전개될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니체 철학은 인간의 한계적 조건에 대한 긍정으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트랜스휴머니즘에 반대 입장으로서 니체의 출산으로서의 생명 개념에 의해 지지될수 있다. 오늘날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 조건의 가능성에 집중하여 위버멘쉬나 트랜스휴먼을 강조하는데 이런 방식으로는 자연이나 인간 삶, 그리고 몸에 있어서의 자기극복의 경험에 근간하고 있는 생명 개념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생명중심적 관점에 따라 니체의 생명개념이 출산으로해석될 때에만 위버멘쉬의 개념 또한 공간적인 장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출산으로서 삶은 자연, 삶과 몸의 경험을 창조할 수 있는 조건이자 근거로 작동한다. 트랜스휴머니즘의 인간 향상 프로그램은 자연의 생명운동에서 나타나는 출산과정을 드러내지 못하며 인간 삶에서 요구하는유용성에 부응할 수 없고 몸의 도구화를 정당화시킨다. 그러므로 니체의 생명개념을 통해 볼 때 트랜스휴머니즘은 생명의 출산하는 과정을 무시한 인간 향상의 추구로 비판될 수 있다.

      • KCI등재

        생동하는 몸의 언어를 위하여 - 니체와 가타리를 중심으로

        이선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5 No.-

        신체는 생물학적 객관성과 심리적인 주관성 사이에서 흔들리며 정신적 존재와 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사이존재이다. 이전 데카르트주의자들은 사유하는 것과 연장하는 것의 구분 속에서 살아있는 것들의 문제에 대해 불충분하게 설명했다. 정신은 그렇게 단순하게 신체에 대립되어 존재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럼에도 심신관계는 여전히 신체적인 닫힌 공간성 속에서 정신적인 것의 위치를 묻는방식으로 물음을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신체라는 개념에 대해 잘못된 전제에서 출발한다. 신체란 단순히 생물학적 사태가 아니라 살아있는 신체인 몸(Leib)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살아 생동하는 몸의 언어학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니체에게 신체성은 생동하는 몸 감정의 장이자 조건이며 이 몸 감정의 언어학적인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 바로 가타리의 비기표적 기호론이기 때문이다. 이 가타리의 기호론은 니체의 신체성을 미학적이며 윤리적인 삶의 형태와정치적이고 카오스모스적인 참여로 향하게 한다. Der Körper ist ein Zwischenwesen: Er schwebt zwischen biologischerObjektivität und psychologischer Subjektivität. Jene cartessische Unterschieidungzwischen res cogitans und res extensa vermag das Problem des Lebendigen nurunzureichend zu beschreiben. Auch ist die Frage zu einfach gestellt, wenn mannur nach dem Ort des Mentalen in der physikalischen Geschlossenheit der Weltfragt. Mindestens muss die Problemstellung um einen Begriff ergänzt werden,wenn der Körper nicht biologischer Vorkommnis sondern auch lebendigerKörper ist - Leib. In diesem Paper möchte ich die Rolle des Körpergefühles,lebendig zu sein, näher untersuchen. Leiblichkeit bei Nietzsche kann Ort undBedingung von lebendigem Körpergefühl gefasst werden und hierdazu giltZeichentheorie bei Guattari für ihre realisierende Sprachtheorie, nach der wir unssowohl um ästhetische/ethische Lebensweise auch um politische undchaosmose-Engagement orientieren könn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