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벌거벗은 생명’과 주디스 버틀러의 오독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세계화로 인한 국민국가의 쇠퇴가 주권의 약화와 동일시되는 경향 속에서 조르조 아감벤의 주권권력과 호모 사케르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주디스 버틀러는 국민국가의 기반이 되는 국민을 발명하기 위해 국민 내부의 이질성이 제거되는 과정은 아감벤이 제시하는 주권권력의 작동과 ‘벌거벗은 생명’의 양산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버틀러는 전 지구적인 폭력의 상황이 영토적 조건을 벗어났다는 의미에서 ‘국가 없음’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국가의 근거를 흔들고 이에 저항할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국가 없음’을 주장한다. 영토를 넘어서 생산되는 디아스포라와 권력의 작동을 보았을 때 오늘날 이러한 배제는 주권권력이 아닌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의해 일어나며, 국가 폭력을 비판하고 이에 저항하기 위해 박탈당한 디아스포라의 형태를 구체화하려면 작동 권력을 여러 방식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버틀러에게 디아스포라의 개념은 바로 이러한 박탈당한 자들의 저항적 실천이자 윤리적 요청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버틀러의 비판이 오독임을 밝히고자 한다. 버틀러의 잘못된 해석은 푸코와 아렌트를 읽어내는 아감벤과의 관점의 차이로 발생한다. 버틀러에게 주권권력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라면 아감벤에게 주권권력의 본래 모습은 생명정치이다. 또한 버틀러는 아렌트를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고 사적 영역에 대한 차별적 관점을 견지하였다고 본 반면, 아감벤은 아렌트가 이러한 공/사 구분이 허물어지고 있는 근대의 현실에 주목했다고 읽는다. ‘벌거벗은 생명’은 버틀러의 비판처럼 정치체 밖에, 사적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 국민으로 소속감을 가진 자들이 순식간에 ‘벌거벗은 생명’이 되는 것처럼 디아스포라와 국민은 서로 겹쳐 있다. 즉 국민에 속해 있다 하더라도 언제든 디아스포라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이야 말로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다시 사유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Giorgio Agamben’s ideas of sovereign power and ‘Homo Sacer’ received a lot of criticism because the decline of nation-states due to globalization tends to be equated with the weakening of sovereignty. Especially, Judith Butler argues tha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citizens to invent those who ar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state cannot be explained by the operation of sovereign power and the mass production of ‘bare lives’ presented by Agamben. Butler explains the ‘statelessness’ in the sense that the situation of global violence is out of territorial conditions, and also highlights the ‘statelessness’ to deconstruct the basis of the nation-state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isting it. According to her, given the diaspora produced across territories and the operation of power, this violent exclusion today is caused by neoliberal governmentality, not sovereign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see power working in many ways to materialize the diaspora and resist state violence. For Butler, the concept of diaspora is presented as a resistance practice and ethical request of the dispossessed. However,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at Butler’s criticism against ‘bare life’ is misread. Butler’s misinterpretation arises from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f Agamben, who reads Michel Foucault and Hannah Arendt. If sovereignty is an anachronism to Butler, the original form of sovereignty is biopolitics to Agamben. In addition, Butler considers Arend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realms and maintaining a discriminatory perspective on the private, whereas Agamben reads that Arendt paid attention to the modern reality in which this public/private distinction is collapsing. Unlike Butler’s criticism, ‘bare life’ does not exist outside of the polity or power. Even if the citizen belong to the nation state, there is the potential for them to become a “bare life,” or diaspora at any time, which reveals the possibility of rethinking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에 나타난 제1세계 지식인의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의 문화 번역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2

        본 논문은 젠더 트러블 이후 주디스 버틀러의 사상적 변화를 불확실한 삶 에 대한 독해를 통해 주의 깊게 조망한다. 젠더 트러블에서 강조되었던 성적 자율성의 문제는 불확실한 삶 에서 관계성에 관한 사고로 확장된다. 자유라는 진보적인 내용도 위치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일한 보편성 속에 담기면 폭력적일 수 있다. 이것은 자유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발화자의 위치나 타자와 맺고 있는 관계를 벗어나 이해될 수 없다는 버틀러의 인식적 변화인 셈이다. 9/11 사건으로 인한 타자와의 조우와 이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이러한 인식적 전환을 가져온 결정적 계기로 작동한다. 제1세계로서의 미국은 ‘자유’와 ‘진보’라는 이름으로 이슬람이라는 타자를 배제하고 전쟁을 자행했다. 불확실한 삶 은 이런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의위치성에 대한 버틀러의 고민과 반성이 담긴 텍스트이다. 자유에 대한 요구를 단일한 보편성이 아닌 다양한 문화적 맥락과 다수의 문화적 규범의 경쟁 속에 어떻게담아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버틀러는 문화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보편성을 재구성한다. 문화 번역을 핵심으로 하는 보편성이란 각 입장의 다양성을 인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아의 형성에 본질적인 타자성을 이해함으로써 주체의 주권적 지위를 허무는 과정이다. 이것은 포용이나 동화의 과정이 아니라, 양쪽의 언어의 규범적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버틀러는 이러한 번역의 과정을 탈자적 관계성으로 설명한다. 탈자적 관계성은 단순한 감정적 공감을 넘어 주체의 구성근본에 타자가 자리하고 있고, 우리 모두 사회체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버틀러는 말걸기의 구조를 통해 타자의 말걸기에 응답하지 않음으로 타자를 탈인간화 시키는 규범을 고찰하고 제1세계인의 특권적 지위를 허물 것을 주장한다. 불확실한 삶 에 나타난 윤리적 책임감이란 바로 제1세계 지식인으로서 자신이 속한곳의 규범을 변화시키려는 자기 제한적 실천으로서 문화 번역의 과정이다.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Judith Butler's ideological change after Gender Trouble through reading Precarious Life. The issue of sexual autonomy emphasized in Gender Trouble is extended to thinking about relationality in Precarious Life. Even the progressive content of freedom can be violent if it is contained in a single universality that does not consider speaker’s position. This is Butler's cognitive change that demanding liberation itself cannot be understood outside of the speaker's position or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encounter with others due to the 9/11 incident and the American reaction to it act as a decisive moment that brought about this cognitive shift. The United States, as the First World, waged war in the name of ‘freedom’ and ‘progression’, excluding others called Islam. Precarious Life is a text that contains Butler's thoughts and reflections on her position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How can the demand for freedom be contained in the competition between various cultural contexts and multiple cultural norms rather than a single universality? To answer this question, Butler reconstructs universality in term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universality including cultural translation is not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each position, but is a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sovereign status of the subject by understanding the alterity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the self. This is not a process of inclusion or assimilation, but a change in the normative system of both languages. Butler explains this process of translation as ecstatic relationality. Ecstatic relationality goes beyond simple emotional empathy and shows that the other is at the root of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at we are all dependent on the social system. Butler criticizes the norms that dehumanize the other by not responding to the other's address, and argues for breaking down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people in the first world. The ethical responsibility shown in Precarious Life is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lation as a self-limiting practice to change the norms of her place as a first-world intellectual.

      • KCI등재

        다중언어적 공간을 향하여: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대한 비판

        이선현(Seonhyeon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나타난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특히 모레티의 세계문학 ‘공간’으로의 이행에서 강조되는 단일언어주의에 반대하여 다중언어적 세계문학 공간을 제안한다. 모레티의 ‘멀리서 읽기’라는 새로운 비평적 읽기 방법은 미국 학계 내 논란이 될 만큼 파격적이었고 세계문학론의 전환점을 가져올 만큼 획기적이었으나 이제는 세계문학론의 다양한 비평 방법론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로 들어온 모레티의 이론은 디지털 인문학, 양적 연구, 인문과학의 성행과 더불어 학계의 주류적 연구로 간주된다. 이런 현실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된 한계 역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을 그리는 모레티에게 중요한 것은 불균등한 세계문학 공간을 ‘설명’하는 것이다. 세계문학론에는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불평등이 지속되는 논리를 비판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움직임도 필요하다. 가야트리스피박의 ‘행성성’과 에밀리 앱터의 ‘번역불가능성’ 개념은 모레티의 반대편에서 전 지구화의 동일성으로 점철된 세계가 아닌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들이 다중언어주의를 통해 ‘문학 내 세계’를 탐구하는 데 주력한다면, 프란체스카오르시니의 대안적 관점은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에 내재한 단일언어주의를 비판하는 한편, ‘다중언어적 로컬’과 ‘의미있는 지리’라는 개념을 주장함으로써 ‘세계 내 문학’과 ‘문학 내 세계’의 관계를 풀고 또 엮으며 세계를 만들어간다. 오르시니의 세계문학에 관한 주장은 수많은 독립적인 로컬적 문학 공간을 활성화함으로써 위계적인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참조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모레티의 세계문학론을 종적 다양성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재위치시키고 세계문학을 보다 풍성하게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deavors to undertake a critical examination of Franco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elucidating its limitations, and subsequently proposing an alternative approach. Specifically, it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ingual world literary framework as a counterpoint to the monolingualism emphasized within Moretti’s conception of a world literary ‘space.’ While Moretti’s pioneering “distant reading” method once sparked controversy and marked a transformative juncture in the field of world literatur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t has since evolved into one among several critical methodologies in the discipline. In Korea, conversely, Moretti’s theory has attained mainstream recognition within academic research. This prevalence, coinciding with the ascent of digital humanities,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ay inadvertently lead to an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inherent limitations withi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For Moretti, who draws inspiration from Immanuel Wallerstein’s world system theory to conceptualize the world literary space, the paramount objective is to ‘explain’ the complexities of ‘one and unequal’ global literary landscape. However, world literature theory should not only seek to ‘explain’ the unevenness within the world literature space but also engage in a critical analysis of the mechanisms perpetuating these inequalities, ultimately striving to effect change. In this regard, Gayatri Spivak’s notion of ‘planetarity’ and Emily Aptor’s concept of ‘untranslatability’ offer valuable insights, enabling us to envision a multilingual world distinct from the homogeneity often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While their focus centers on exploring the presence of the ‘world in literature,’ Francesca Orsini’s alternative perspective offers a critique of the inherent monolingualism within Moretti’s theory while advocating for the adoption of the concepts of ‘multilingual local’ and ‘significant geographies’ to unravel and elucid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in the world’ and the ‘world in literature.’ Orsini’s argument may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critically engaging with hierarchical center-periphery dynamics by empowering numerous independent local voices. This approach can enable us to reposition Moretti’s theory of world literature as one of the available methodologies, paving the way for a more nuanced and enriched understanding of worl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