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이선경,신명경,김찬종 한국지구과학회 200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6 No.5

        이 연구는 비형식적 교육기관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를 학교 과학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적 하에, 과학 교육과정의 주요한 목표 중의 하나인 과학의 본성 측면이 박물관의 전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기술적 연구 이다. 국내 4개 자연사박물관 혹은 자연사 전시실의 전시 중에서 과학 탐구 중심의 전시와 과학사 사례 중심의 전시를 대 상으로, 전시매체, 그리고 설명문의 서술방식과 내용에서 반영되는 과학의 본성은 어떤지를 살펴보았다. 설명문의 서술방 식은 확정적인지 해석적인지를 살펴보았고, 내용으로는 과학자 중심, 과학자 집단 논의, 사회문화적 배경, 주장에 대한 근 거, 과학지식의 변화가능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전체적으로 자연사박물관에 과학의 본성 측면이 드러 난 전시가 풍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의도적으로 과학의 본성 교육을 위한 전시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과학교육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과학의 본성을 교육시키기 위한 훌륭한 자료원으로 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 및 교육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o describe how the nature of science is revealed in the four natural history museums inKorea. Natural history museums are well considered as informal settings of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one of major topics stressed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 revelation of this topic is supposedly reflected inrepresentative exhibits subtitled by scientific inquiry and cases dealing with history of science were selected for the study.The analyzing exhibits focused on whether exhibitions were labeled with emphasis on declarative description orinterpretative one. In analyzing the contents, the focus was on the concerns of scientists, scientific community, social andcultural aspects, un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and providing suficient evidences. All things considered, it was hardto conclude that every target exhibit clearly considered the nature of science as an essential element, in designing anddeveloping their exhibitions. More deliberate input of nature of science is suggested for worldly renowned natural historymuseums, because previous researches keep insisting that the nature of science would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n aninformal educational setting rather than in classrooms

      • KCI등재

        호텔레스토랑 지배인의 진정성 리더십이 자아일치성, 스트레스, 그리고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특 1급 호텔을 중심으로 -

        이선경,양재장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5 지역산업연구 Vol.38 No.4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n team performance through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self-consistent leadership organization for the authentic of the hotel's restaurant managers to target the Seoul Five Star hotel restaurant employe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t an hotel's restaurant employee which had been run for about 30 days from april 1th to april 30th, 2015. A total of 430 participants took the survey and 428 (99.5%)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 and AMOS 21. Pass analysis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Research findings analysis authenticity leadership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consistency of tissu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elf-consistency in the team and for the organization. But stress was found that no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team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moral point of view internalized the variables that describe the self-congruity of the organization. But self-awareness, relational transparency and balanced information on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self-congruity. Also a balanced business process appeared to affect a negative stress. But self-awareness, relational transparency and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tress.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특 1급 호텔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지배인의 진정성 리더십이 자아일치성, 스트레스, 그리고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호텔레스토랑 지배인의 감성리더십의 활용과 호텔레스토랑의 직원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30일 동안 호텔레스토랑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총 430부를 회수해서 428부(99.5%)가 조사에 이용되었다. 또한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조직에 대한 자아일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과적으로 조직에 대한 자아일치성은 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스트레스는 팀 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조직에 대한 자아일치성을 설명하는 변수지만, 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그리고 균형적 정보처리는 자아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형 잡힌 업무 처리는 스트레스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인식, 관계적 투명성, 그리고 내면화된 도덕관점은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문화수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선경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다문화수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 중 초1 패널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적합도 검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다문화수용은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다문화수용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hildren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their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Using data from elementary 1th grade panel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Wave 6,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spirits of the adolescents exerte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produce a mediation effect when their community spirits affecte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was suggested.

      • KCI등재

        A. Culioli의 언어이론에 대한 고찰 3 Benveniste의 총합에서 도식적 형태까지

        이선경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1 No.-

        Benveniste와 Culioli에게 있어서 언술행위는 같은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Benveniste는 언술행위를 ‘랑그(langue)를 작동하게 하는 행위’의 개념으로, 또는 ‘상호주체의 의사소통’의 개념으로 파악한다. Culioli에게 있어서 언술행위는 언술을 생산하는 주체의 행위가 아니라 언술에서부터 주체를 재현하는 과정이며, 언술의 관찰에서 포착한 언어활동만을 언어학의 대상으로 한다. 한편, Benveniste는 언어활동을 기호학과 의미론 두 영역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언어단위의 의미를 랑그 담화, 기호학과 의미론을 연접하는 총합적 능력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랑그와 담화, 기호학과 의미론을 연접하는 고리로 기술되고 있는 총합의 개념은 Culioli에 의해서 어휘적 정체를 밝히는 도식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다. 도식적 형태는 어휘 단위의 변이를 고려하여, 의미적 정체를 도출하기 위하여, 어휘 단위가 다양하고 구체적인 문맥 내에서 추출될 수 있는 모든 의미들 사이의 관계를 성립하려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어휘적 변이와 내재적 변이가 작용하면서 서술작용을 하는 형상을 나타내며, 어휘단위의 문맥적 요소들과 어휘 단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가치들을 나오게 하는 변이를 통합하는 이중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도식적 형태의 원리는 총합의 원리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Benveniste의 포함, 융합, 혼합, 회귀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나타나는 총합의 개념은 Culioli에 의해서 도식적 형태에 내재되어 있는 좌표결정작용으로 파악된다. The concept of enunciation does not root in the same theoretical ground whether employed by Benveniste or by Culioli. (On the other hand, both are bound to call into question in the conception, connected to structuralism, that restricts the scope of linguistics to language reduces to a system of sign (Saussure’s “Language”) ) Benveniste interprets enunciation as an act of appropriation of the language and as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Culioli defines the enunciation as not an act of subject that produces enunciating, but a representing process of the subject from enunciating, and as it deals with only the linguistic activity captured in enunciating observation as the object of linguistics. However, the linguistic activity defined by Benveniste is based both on the semiotics and semantics, and an integration concept of these two is introduc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exial unit. The integration concept described as the links of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and discourse, and between semiotics and semantics, is succeeded to the schematic form of Culioli. The schematic forms are the results of work for representing the semantic identifications of the lexical unit with their variations to set up the liaisons between all the senses extracted from the contexts with diverse and specific lexical unit. The schematic forms represent the form of predicative action by interaction of the lexical and internal variations and represent another function to integrate contextual elements and the variations which pick up the specific values of the lexical unit. The schematic form with these function should be apprehended to have a certain liaison with the integration concept. And Benveniste’s integration concept with various aspects such as inclusion, fusion, incorporation, return and so on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marking inherent in Culioli’s schematic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