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실주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반응분석 :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석금 ( Lee Seoggeum ),이진희 ( Lee Jin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사실주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의 반응유형과 반응사례를 Sipe(2008/2011)의 반응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문학교육 방안으로서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만 5세 종일반 유아 6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주 2회 4주간, 사실주의 그림책 2권을 각각 세 번씩 반복적 읽어주기와 개별 면담을 하고 오디오와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응사례 분석 및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응범주별반응빈도와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반응범주에 관한 반응사례는 5개반응범주서 나타났고, 그 중 개인적 반응범주의 하위범주인 `이야기에 기초하여 이야기 꾸미기`와 `삶에 텍스트를 관련짓기`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통계적인 결과로, 첫째, 주제별 그림책의 반응빈도는 유아주변 생활을 주제로 하는 그림책이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하는 그림책보다 반응빈도가 높았다. 둘째, 사실주의 그림책 전체에 대한 반응범주별 반응빈도는 분석적 반응(73.0%), 개인적 반응(14.8%), 상호텍스트적 반응(8.3%), 동화된 반응(2.5%), 그리고 연행적 반응(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인 반응빈도는 회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은 3회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구체적 반응사례와 함께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실주의 그림책에 관한 다양한 반응과 깊이 있는 문학적 이해를 위한 반복적 읽어주기의 교육학적 의의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repeated read-alouds of realistic fictions using response categories proposed by Sipe(2008/2011), with the hop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s of read-alouds as a pedagogical strategy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4 weeks, twice a week, with 6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Repeated read-alouds were audiotaped and videotaped with a total of 3 times, for each of two realistic fic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QSR NVivo 10.0 program to examine the participating children`s responses for each category, and SPSS 20.0 for the frequencies of responses and the Chi-square test by the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The results showed response that examples about response categories indicated to 5 response categories and showed subcategories of `Story construction based on a story` and `a text-to-life connection`. Nextly, by statistical result, first, the frequency of picturebooks regarding children`s daily life indicated higher than that of social issues. Second, the frequency of response categories to the both fictions were in the order of analytical response(73.0%), personal response(14.8%), intertextual response(8.3%), transparent response(2.5%) and performative response(1.5%). Third, total frequency indicated different each times. Forth, response of each response category indicated variously in all 3 times. These results suggest educational meaning of repeated read-alouds for various response about realistic fictions and deep literary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