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책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그림 반응 연구: Sipe 반응범주의 확장

        이석금,이진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illustrations in repeated read-alouds of picture books, using categories proposed by Sipe (200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in A city who were divided up to 2 target groups of 3 children in each. A total of 6 picture books of 3 different types were used, and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the 2nd week of November, 2015 to 3rd week of February, 2016, for 14 weeks altogether. Repeated read-alouds (3 times) and an interview with each child were carried out for twice a week, about 40 minutes per session. The sessions were audiotaped and videotaped. The collected data was transcribed with a word process program and analyzed with the QSR NVivo 10.0 program.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llustration layout, design, media, and style’, a sub-category of analytic response, regard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 picture book, design and pattern. Second, making meaning from the visual text which focuses on the code of graphic was observed. Lastly, through additional analysis of responses, the analysis of cultural pattern and materials, code of graphic: motion lines, and image appropriation emerged. The children's responses to illustrations showed possibilities of other new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other than those proposed by Sipe (2008), suggesting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children's responses to illust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어주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을 Sipe의 그림분석 이론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A 광역시 모 어린이집 만 5세 종일반 유아 6명이고, 연구를 위해 목적표집하여 3명씩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도구 그림책은 총 6권이고, 연구기간은 2015년 11월 둘째 주부터 2016년 2월 셋째 주까지 14주간이었다. 연구진행은 한 주에 2회, 1회 약 40분, 3회 연속 그림책 읽어주기와 해당 그림책에 대한 개별면담을 하였다. 유아반응을 수집하기 위해 오디오 녹음과 비디오 녹화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글 프로그램으로 전사,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ipe 그림 반응분석 적용 결과에서 첫째, 분석적 반응의 하위범주인 ‘그림의 장면 배정․디자인․매체․양식’은 전체적인 그림책의 특징과 그림의 디자인과 양식에 관한 분석이 나타났다. 둘째, 하위범주인 ‘시각적 텍스트로부터 의미 구성하기’는 그림의 약호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그림 반응분석의 추가 요인과 결과에서 ‘문화적인 양식과 물체에 대한 분석’, ‘그래픽 약호: 동선’과 ‘이미지 차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그림 반응은 Sipe(2008)의 그림분석 이외에도 새롭게 나타나는 하위범주들이 있었기 때문에, 추후연구에서 다양한 유아의 그림 반응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그림책 읽어 주기에 따른 유아의 그림 반응 연구

        이석금,이진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읽어 주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을 Sipe의 그림분석 이론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A 광역시 모 어린이집 만 5세 종일반 유아 6명이고, 연구를 위해 목적표집하여 3명씩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도구 그림책은 사실주의,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각 2권씩 총 6권이고, 연구기간은 2015년 11월 둘째 주부터 2016년 2월 셋째 주까지 14주간이었다. 연구진행은 한 주에 2회, 1회 약 40분으로, 그림책 한 권당 2주가 걸렸고, 세 번 연속하여 그림책 읽어 주기를 하였고, 네 번째 시간에는 개별면담을 하였다. 유아반응을 수집하기 위해 오디오 녹음과 비디오 녹화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글 프로그램으로 전사하였고,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Sipe 그림 반응분석 적용 결과에서 첫째, 하위범주인 ‘그림의 장면 배정 · 디자인 · 매체 · 양식’은 전체적인 그림책의 특징과 그림의 디자인과 양식에 관한 분석이다. 둘째, 하위범주인 ‘시각적 텍스트로부터 의미 구성하기’는 그림의 약호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림 반응분석의 추가 요인과 결과에서 첫째, ‘문화적인 양식과 물체에 대한 분석’이 나타났다. 둘째, 그래픽 약호: 동선이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 차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Sipe(2008/2011)의 그림분석이 유아의 그림 반응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Sipe의 그림분석의 하위범주 외에도 새롭게 나타나는 하위범주들이 있었다.

      • 사회지능과 자기 효능감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석금,김한배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8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6 N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vels and background variables of sex, grade, region, and brother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was also tested. The results of study follow as: first, there is no precedent comparative view but soci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were not high, 2.5, 2.7 respectively from Likert's 5 point scal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 and region except in the case of grade, age and brother relationships containing the case of non-only child. Third, the lower the rank of brother relationship, the higher Self-efficacy was, even though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re was a positive simple correlation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simple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64,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57). Only academic intelligence-focused education has been recently performed in Korea. However, education policy,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must emphasize the balance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academic intelligence in order to make students who can adjust to society well.

      • KCI등재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 반응연구: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석금,이진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repeated read-alouds with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using Sipe’s response categories (2008/2011) depending on the two different types of Picture books and the number of read-alou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five-year-old children. The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the repeated read-alouds were videotaped for a total of three tim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the frequencies of responses and the Chi-square test by the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frequency of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decreased repeatedly by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Second, the order of the highest response of response categories to repeated read-alouds varied to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Third, the highest respons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by each of the repeated read-alouds times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indicated commonly analytical response for once, intertextual response for twice and personal response for three times. Lastly, the highest response of response categories regarding the type of books showed personal response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analytical, intertextual, transparent, performative responses were shown for postmodern picture books. The study suggests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categories of children’s response to the read-alouds for fantasy picture books and postmodern picture books. And also the results call for further studies on the degree of fantasy in fantasy picture books and active comparison of genres including the postmodern picture books 본 연구는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었을 때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을Sipe(2008/2011)의 반응범주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두 그림책 유형과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라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6명이고,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각각 2권씩 유아에게 반복적 읽어주기를 하고 반응을 녹화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결과에 대해 반응빈도를구하고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반응빈도는 책 읽어주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둘째, 반복적 읽어주기에 관한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의 순서는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환상 그림책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최다반응빈도는 1회에서 분석적 반응, 2회에서 상호텍스트적 반응, 3회에서 개인적 반응이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별 최다반응은 환상그림책에서 개인적 반응,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분석적, 상호텍스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유형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환상 그림책에서 환상성의 정도에 따른연구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포함하는 장르별 비교연구가 활성화되길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실주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반응분석 :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석금 ( Lee Seoggeum ),이진희 ( Lee Jin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사실주의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의 반응유형과 반응사례를 Sipe(2008/2011)의 반응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문학교육 방안으로서 그림책의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만 5세 종일반 유아 6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주 2회 4주간, 사실주의 그림책 2권을 각각 세 번씩 반복적 읽어주기와 개별 면담을 하고 오디오와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SR NVivo 1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응사례 분석 및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반응범주별반응빈도와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반응범주에 관한 반응사례는 5개반응범주서 나타났고, 그 중 개인적 반응범주의 하위범주인 `이야기에 기초하여 이야기 꾸미기`와 `삶에 텍스트를 관련짓기`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통계적인 결과로, 첫째, 주제별 그림책의 반응빈도는 유아주변 생활을 주제로 하는 그림책이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하는 그림책보다 반응빈도가 높았다. 둘째, 사실주의 그림책 전체에 대한 반응범주별 반응빈도는 분석적 반응(73.0%), 개인적 반응(14.8%), 상호텍스트적 반응(8.3%), 동화된 반응(2.5%), 그리고 연행적 반응(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인 반응빈도는 회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은 3회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구체적 반응사례와 함께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실주의 그림책에 관한 다양한 반응과 깊이 있는 문학적 이해를 위한 반복적 읽어주기의 교육학적 의의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repeated read-alouds of realistic fictions using response categories proposed by Sipe(2008/2011), with the hop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s of read-alouds as a pedagogical strategy for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4 weeks, twice a week, with 6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Repeated read-alouds were audiotaped and videotaped with a total of 3 times, for each of two realistic fic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QSR NVivo 10.0 program to examine the participating children`s responses for each category, and SPSS 20.0 for the frequencies of responses and the Chi-square test by the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The results showed response that examples about response categories indicated to 5 response categories and showed subcategories of `Story construction based on a story` and `a text-to-life connection`. Nextly, by statistical result, first, the frequency of picturebooks regarding children`s daily life indicated higher than that of social issues. Second, the frequency of response categories to the both fictions were in the order of analytical response(73.0%), personal response(14.8%), intertextual response(8.3%), transparent response(2.5%) and performative response(1.5%). Third, total frequency indicated different each times. Forth, response of each response category indicated variously in all 3 times. These results suggest educational meaning of repeated read-alouds for various response about realistic fictions and deep literary understanding.

      • KCI등재

        그림책 유형별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반응연구: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이석금 ( Lee Seog Geum ),이진희 ( Lee Jin-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그림책 유형별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 반응을 Sipe(2008/2011)의 반응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형별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과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 별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6명이며, 사실주의, 환상, 포스트모던 그림책 각 2권씩을 사용하여 세 번 반복적 읽어주기와 개별 면담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을 녹화하고 녹음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그림책 유형별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반응범주별 반응빈도와 반복적 읽어주기 회차에 따른 반응범주별 반응빈도에 대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먼저, 유형별 그림책 읽어주기에 관한 반응범주별 반응빈도에 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그림책 유형별 읽어주기에 관한 반응빈도는 포스트모던, 사실주의, 환상 그림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그림책에 대한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은 분석적, 상호텍스트적, 동화된, 연행적 반응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개인적 반응은 사실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났다. 셋째, 유형별 그림책에 나타난 반응범주별 반응빈도는 분석적 반응(72.9%), 상호텍스트적 반응(12.0%), 개인적 반응(8.5%), 동화된 반응(3.5%), 연행적 반응(3.1%)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반복 회차에 따른 반응범주별 반응빈도에 관해 살펴보면, 첫째, 유형별 그림책의 회차별 반응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회차가 거듭될수록 감소하였다. 둘째, 회차별 읽어주기에 따른 반응범주별 최다반응을 살펴보면, 1회 읽어주기에는 분석적, 동화된 반응, 2회에는 상호텍스트적 반응, 3회에는 개인적, 연행적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 대한 연구와 그림책 장르를 넘어선 보다 다양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children`s responses to repeated read-alouds with three types of picture books (following the picture book types) using Sipe`s response categories(2008/201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five-year-old children. The picture book types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the repeated read-alouds were audiotaped and videotaped for a total of three tim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for the frequencies of responses and the Chi-square test by the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Based on the results, initially, the frequency of respons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book were in the order of postmodern, realistic, and fantasy picture books. Second, the highest responses of analytical, intertextual, personal, and transparent categories were shown for the postmodern picture book while person responses were highest for realistic picture books. Third, the frequencies of response categories by categories were analytical response (72.9%), intertextual response (12.0%), personal response (8.5%), transparent response (3.5%) and performative response (3.1%). Regarding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ad-aloud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response categories,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decreased gradually in general. Finally, the highest respons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by each of the repeated read-alouds times for picture book types indicated analytical response and transparent response as one time, intertextual response as two times, personal response and performative response as three times. These results call for, further studies on repeated read-alouds and more diverse approaches to compare children`s responses to picture books studies beyond traditional genre-based approaches.

      • KCI등재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석금(Seog geum Lee),이진희(Jin Hee Lee) 현대문법학회 2015 현대문법연구 Vol.84 No.-

        This study explores views of mothers whose child attends a private kindergarten regarding the way their children learn English in kindergarten. We recruited eight participants in City A. We collected data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suggestions based on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ifficulty for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s in normal kindergartens are based on the parents needs rather than the practical level for the children of early childhood. Also the English classes in Kindergartens that are allegedly specialized with English Education focus on memorizing more than the child can bear, which is not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Second, without a proper goal in English education, a manual for appropriate English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in need. Third, while in a dilemmatic situation in choosing a proper early childhood education establishment, mothers’ would choose a normal kindergarten, focusing on whole-rounded education, and Kindergartens that are allegedly specialized with English Education for the English education. And for further level of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Natural approach and Phonics approach, which were appropriate for their level of difficulty. This research implies that dialogues among stakeholders and studies on teaching strategies relevant for young children should take place for more meaningful and appropriate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 KCI등재

        어머니들의 그림책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를 통한 자녀에게 책 읽어주기의 즐거움 찾기

        윤정임,이석금,Youhne, Mia Song,이진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그림책 부모교육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 8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8주간 주1회 2시간씩 그림책에 대한 지식을 교육하고 도서대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그룹면담과 개별면담 2회를 실시하여 녹음하고 QSR NVivo 1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그림책 부모교육에 관한 긍정적 경험은 지속적인 부모참여로써의 그림책 읽어주기로 글과 그림, 파라텍스트 읽어주기, 그림책 장르 알아가기, 좋은 그림책 찾아가기, 삶 속에 자리매김하는 그림책 읽어주기, 각자에게 적절한 그림책 읽어주기의 횟수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부모교육 참여를 통한 인식 변화에는 책 읽어주기의 진정한 가치 찾아가기, 부담감에서 벗어나 함께 책 읽는 즐거움 향유하기, 다른 사람들과 서평 공유할 기회 누리기 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들이 어린이문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그림책 읽어주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능동적인 부모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mot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changes by implementing a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at a child care center focusing on picture-book knowledge and book lending to assist read-alouds to their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mothers from the center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attended the education sessions on picture books, and lent books for read-alouds to their children. This study took place over a 8-week period, including 1 two-hour sessions per week to help mothers to acquire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hildren's literature. Interviews, both group and individual, were conducted twice respectively, audio-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QSR NVivo 10.0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perceived this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much more meaningful as they came to autonomously choose the genre and number of books to borrow, and the number of times to read to their child. The change in mothers’ perceptions through this program included finding true values of reading books, experiencing joys of interactive book-reading with their children with less burdens, and sharing perspectives on children’s literature with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develop new approaches to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including picture-book education, which can encourage continuously active participation from mothers, as well as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interactively reading books to their child at home.

      • KCI등재

        어머니들의 그림책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통한 자녀에게 책 읽어주기의 즐거움 찾기

        윤정임(Yun, Jung Im),이석금(Lee Seong Geum),Mia S. Youhne,이진희(Lee, Jin Hee)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그림책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과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 8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8주간 주1회 2시간씩 그림책에 대한 지식을 교육하고 도서대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그룹면담과 개별면담 2회를 실시하여 녹음하고 QSR NVivo 1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그림책 부모참여프로그램에 관한 긍정적 경험은 지속적인 부모참여로써의 그림책 읽어주기로 글과 그림, 파라텍스트 읽어주기, 그림책 장르 알아가기, 좋은 그림책 찾아가기, 삶 속에 자리매김하는 그림책 읽어주기, 각자에게 적절한 그림책 읽어주기의 횟수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통한 인식 변화에는 책 읽어주기의 진정한 가치 찾아가기, 부담감에서 벗어나 함께 책 읽는 즐거움 향유하기, 다른 사람들과 서평 공유할 기회 누리기 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들이 어린이문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그림책 읽어주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능동적인 부모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mot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changes by implementing a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at a child care center focusing on picture-book knowledge and book lending to assist read-alouds to their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mothers from the center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attended the education sessions on picture books, and lent books for read-alouds to their children. This study took place over a 8-week period, including 1 two-hour sessions per week to help mothers to acquire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hildren"s literature. Interviews, both group and individual, were conducted twice respectively, audio-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QSR NVivo 10.0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perceived this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much more meaningful as they came to autonomously choose the genre and number of books to borrow, and the number of times to read to their child. The change in mothers’ perceptions through this program included finding true values of reading books, experiencing joys of interactive book-reading with their children with less burdens, and sharing perspectives on children’s literature with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to develop new approaches to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including picture-book education, which can encourage continuously active participation from mothers, as well as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interactively reading books to their child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