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야학』에 나타난 국민 만들기의 논리 -유길준이 본 대한제국의 ‘하등사회’-

        이새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8 No.-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in Korean history, Yu Gil-Jun’s Nodonghahak Dokbon (1908) and Nodongyahak (1909) was the earliest attemp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abor’ and systematically explain the meaning of it in a new social order. Through careful reading on Nodongyahak, this paper tries to depict the problems Yu Gil-jun saw in the Korean Empire in 1908. First, as a basic work to understand the nature of Nodongyahak, I briefly summarized the issues concerning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Worker’s Night School. Second, afte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Nodongyahak, by comparing it with Nodonghahak Dokbon, I examined the motif of writing these two books and tried to understand Yu’s perspective. He set the concept of “society” that is not found in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as a new axis of human relations and the readers of Nodongyahak are regarded as members of the “lower society”. Yu wanted the Korean workers to become independent and self-relying being, i.e. the ‘self-help’ typ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urged men to have proper jobs. However, Yu’s demand led to unconditional loyalty to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How can the task of creating a nation based on self-help spirit coexist with the discussion of unconditional obedience toward the monarch and the state? Nodongyahak conveys Yu’s voice most vividly and this makes the text a unique one. By careful reading of it, this paper tries to offer an answer to the above question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is unique text.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 제일(勞動夜學讀本 第一, 1908)과 노동야학 일(勞動夜學 一, 1909)은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사회질서 속에서 노동이 갖는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해내고자 한 가장 초기의 시도였다. 이 글에서는 후자, 즉 최근에 발견된 노동야학의 독해를 통해 유길준이 1908년 시점에 대한제국 사회의 모습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텍스트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유길준이 두 책을 집필한 계기가 된 노동야학회의 설립과 운영 문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노동야학독본과의 대조를 통해 알 수 있는 노동야학의 특징을 서술한 뒤, 구체적으로 그의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그는 전통적인 유학적 세계관에는 없는 ‘사회’ 개념을 인간관계의 새로운 축으로 설정하고, 노동야학이 상정하는 독자를 ‘하등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노동자’라고 말한다. 유길준은 자조(自助)하는 인간으로서의 주체성․독립성을 노동자들에게 요구하며 ‘직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과 가질 것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그 모든 행위가 ‘임금’에 대한 충성과 의무이어야 함을 요구한다. 그러나 자조 정신에 입각한 국민 만들기의 과제가 군주와 국가를 향한 무조건적인 복종 논의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유길준의 글 중에서 그의 목소리가 가장 생생하게 전달된 텍스트인 노동야학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이상의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텍스트의 집필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시?? 동인 시의 서정성 연구

        이새봄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2

        Study on lyricism in <Modern Korean Poetry> coteries's poems 동양공업전문대학 강사攀攀419 이후 1960년대의 시단은 당시의 글들을 보면, 현실 참여시가 대폭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대시MODERN KOREAN POETRY 동인은 1962년 현대시 1집을 발행하고 1972년 26집을 마지막으로, 11년에 걸쳐 일년에 두 호 정도를 비정기적으로 발행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현대시 동인은 동인지로서의 자각을 확립하며 새롭게 시작한 6집 이후 참여한 시인들이며, 대상 작품은 현대시 6집부터 26집까지이다.1960년대 전반적인 시 분위기였던 현실 참여적인 시를 발표한 신동문이나 그와 유사한 작품 세계를 지녔던 박봉우 등의 신춘시 동인들, 그리고 이와 정반대의 입장에서 언어의 실험적인 모색을 탐구했던 성찬경, 박희진 등의 시인들이 등단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절필을 하거나 작품 활동을 활발히 하지 않게 된 것과 달리, 현대시 동인은 대부분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거나 이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현대시 동인이 꾸준히, 그리고 비교적 성공적으로 작품 활동을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지금까지 현대시 동인에 대한 연구는 모더니즘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현대시 동인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모더니즘 사조 안에서 현대시 동인이 차지하는 1960년대적 의미를 드러내는 성과를 지닌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모더니즘 사조에 얽매이지 않고,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이 다수인 현대시 동인의 초기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했던 당대 시의 문제점과 지향했던 시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시 동인 역시 당대의 다른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419 이후 문학계 안팎에서 불거진 문학의 현실 참여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김규태나 박의상 등 대부분의 현대시 동인들은 현실 참여를 내세우는 시들이 이념으로 구호화되고 시의 언어가 일종의 수단이 될 위험이 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에 자아의 탐구, 내면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 일반적 의미의 순수시를 지향하였다. 언어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여러 가지 방향으로 표출되는데, 현대시는 후기로 갈수록 한자가 노출되는 빈도가 주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이와 비례하여 언어의 다듬어진 정도 역시 뒤로 갈수록 더 좋아진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언어에 대한 이러한 민감한 자각은 현대시 동인 대부분이 오랜 기간 비교적 성공적으로 시작을 하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보인다.언어에 대한 자각과 더불어 현대시 동인이 의도적으로 지향한 것은 리리시즘, 즉 서정성이다. 이 때의 서정성이란 넓은 의미의 서정시가 내포하는 의미가 아니라 본래적 의미에 있어서 리리시즘(서정주의)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가리킨다. 이 때 추구되는 서정성은 필연적으로 문학의 자율성과 연결된다. 현대시 동인이 추구한 서정성 역시 신춘시를 비롯한 사회참여시에 대한 비판의 위치에서 문학의 자율성을 옹호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여겨진다.이렇게 언어에 대한 자각과 서정주의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향은 실제 시작품에 있어서는 내면의 집중과 그 형상화로 나타난다. 이것은 세 가지 부류로 나눠볼 수 있는데 견자로서의 의식과 내면의 소환, 내면에서 일어나는 죽음과 부활, ‘능금’과 ‘여자’로 형상화된 야생성의 추구가...

      • KCI등재
      • KCI등재

        신분제와 메이지유신: 후쿠자와 유키치의 ‘자유’론이 놓인 맥락

        이새봄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2 No.1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Meiji Revolution overthrew Japan’s hereditary class system and realized so-called civil equality. Of the many thinkers active in the early Meiji period, Fukuzawa Yukichi was perhaps the most sensitive to and profoundly affected by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collapse of the hereditary status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connects the dots between the principles on which the collapsed Tokugawa Japanese hereditary status system operated, why it collapsed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and how Fukuzawa’s thought evolved in the course of this collapse. Given the importance of his critique of hereditary status system in his thought on civilization, it would be worthwhile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reditary status issues and Fukuzawa’s thought, focusing on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writing of An Encouragement of Learning, one of Fukuzawa’s major works and the first step in his project to create a nation-state.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period leading up to the issuance of the abolition of feudal domains and establishment of prefectures (1871), the paper explains how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round the Meiji Revolution specifically influenced the formulation of his theory of civilization opening. In order to understand what he means by “Monbatsu system,” I will refer to the previous studies on Tokugawa period’s status system to reveal how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what Tokugawa Japanese society sought to protect in that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