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재기술동향 - 소화설비의 최근 개발동향

        이상현,Lee, Sang-Hyeon 한국화재보험협회 2002 防災와 保險 Vol.93 No.-

        본 자료는 캐나다국립연구원 산하 건설연구소에 근무하는 김기홍 박사를 초청, '소화설비의 최근 개발 동향' 이란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최근 할론소화약제가 단계적으로 사용 금지 됨에 따라 새로 개발된 소화설비들 중에서 할로카본 소화약제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 CCTV를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연기감지 방식

        이상현,Lee, Sang-Hyeon 한국화재보험협회 2005 防災와 保險 Vol.107 No.-

        기존 화재감지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 기술과 다른 자동식 연기감지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한 혁신기술로 인하여 성장기의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기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소방관계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이 계속 변화하고 있다. 기존 화재감지 방식의 예는 여러 가지 감열소자(열감지기), 광전식, 이온화식, 공기흡입형(연기감지기), 자외선.적외선(불꽃감지기)감지 방식이다. 감지기에서 데이터 분석의 형태로 연기농도를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화재조건을 전송하는 방법은 특정한 구성요소(발신기, 감지기 등)의 위치(어드레스), LCD, CRT 그래픽 표시장치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이러한 혁신 기술은 화재경보 설비 판매시장, 설치방법, 기술기준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개발된 디지털 비디오 연기감지 방식은 자동화재 감지 방식에 있어서 새롭고 급진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V+lncubator_보라산업 - 아이디어 하나로 시작한 친환경 벤처!

        이상현,Lee, Sang-Hyeon 벤처기업협회 2009 벤처다이제스트 Vol.135 No.-

        지구에 물이 사라진다면? 각국의 나라들은 물을 구하기 위해 전쟁을 벌일 것이고 물을 많이 가진 나라가 강대국이 될 것이다. SF영화의 소재냐고? 무슨 소리! 언제든지 우리의 피부로 다가올 수 있는 현실이다. 한마디로 물을 아낄 줄 알아야 강해질 수 있다는 소리다. 그 물을 아껴 보겠다며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가는 한성대 성북구벤처창업지원센터 입주 벤처기업 보라산업(대표 박희범, www.borasanup.com)을 소개한다.

      • 산개성단 NGC 2420의 측광학적 분석

        이상현,강용우,안홍배,Lee, Sang-Hyeon,Gang, Yong-U,An, Hong-Bae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보현산 천문대 1.8m 망원경과 2K CCD를 이용하여 늙은 산개성단 NGC 2420에 대해 V ~ 22까지 VI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Chi^2 최소화를 이용한 정밀한 이론적인 등연령 곡선 맞추기 방법으로 성단의 기본 물리량을 구하고, 색-등급도(CMD)와 공간상에서의 별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별들의 통계적인 구성원 확률을 결정하고자 한다. 한편 쌍성의 공간상의 분포를 조사하여 역학적 진화에 따른 쌍성의 분포특징을 살펴보고, 2차원 표면개수 밀도 분포로부터 성단의 형태를 조사하여 우리 은하면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일간 빔 출력 확인을 위한 평가도구인 Machine Performance Check의 유용성 평가

        이상현,안우상,이우석,최진혁,김선연,Lee, Sang Hyeon,Ahn, Woo Sang,Lee, Woo Seok,Choi, Jin Hyeok,Kim, Seon Ye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2

        목 적: Machine Performance Check (MPC)는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를 기반으로 빔 출력을 별도의 설치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자체 검사 소프트웨어이다. 본원에서는 MPC와 QA Beamchecker PLUS 간의 일간 빔 출력을 비교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MPC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선형가속기(Truebeam 2.5)를 이용하였고, 광자선(6 MV, 10 MV, 15 MV, 6 MV-FFF, 10 MV-FFF), 전자선(6 MeV, 9 MeV, 12 MeV, 16 MeV, 20 MeV) 총 10개의 에너지를 대상으로 5 개월간 치료 전 빔 출력을 MPC와 QA Beamchecker PLUS로 측정하여, 총 80 회의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MPC와 QA Beamchecker PLUS 간의 빔 출력을 비교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는 0.8 이상은 아주 강함, 0.6 이상 0.8 미만 강함, 0.4 이상 0.6 미만 보통, 0.2 이상 0.4 미만 약함, 0.2 미만 아주 약함을 의미한다. 결 과: MPC와 QA Beamchecker PLUS 모두 일간 빔 출력 일치도는 2 % 이내로 나타났다. MPC의 빔 출력은 광자선이 $0.29{\pm}0.26%$, 전자선이 $0.30{\pm}0.26%$로 나타났고, QA Beamchecker PLUS의 빔 출력은 광자선이 $0.31{\pm}0.24%$, 전자선이 $0.33{\pm}0.24%$로 나타났다. MPC와 QA Beamchecker PLUS 사이의 Pearson 상관계수는 광자선의 경우 15 MV에서는 아주강함, 6 MV, 10 MV, 6 MV-FFF 그리고 10 MV-FFF에서는 강함으로 나타났고, 전자선의 경우 16 MeV, 20 MeV에서 강함, 9 MeV, 12 MeV에서 보통, 6 MeV에서 아주 약함으로 나타났다. 결 론: MPC는 일간 빔 출력 평가 면에서 광자선과 고에너지 전자선에서는 QA Beamchecker PLUS와 강한 상관관계로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저에너지 전자선(6 MeV)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관찰기간동안 MPC, QA Beamchecker PLUS 모두 빔 출력 일치도는 2 % 이내로 일간 빔 출력 확인 용도로는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MPC는 기존의 일간 빔 출력 측정 도구 보다 빠르게 수행 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Machine Performance Check (MPC) is a self-checking software based on the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to measure daily beam outputs without external instal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MPC by comparing and correlating daily beam output of QA Beamchecker PLUS. Materials and Methods: Linear accelerator (Truebeam 2.5) was used to measure 10 energies which are composed of photon beams(6, 10, 15 MV and 6, 10 MV-FFF) and electron beams(6, 9, 12, 16 and 20 MeV). A total of 80 cycles of data was obtained by measuring beam output measurement before treatment over five months perio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the beam output between the MPC and the QA Beamchecker PLUS. In this study, if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s; (1) 0.8 or higher, the correlation is very strong (2) between 0.6 and 0.79, the correlation is strong (3) between 0.4 and 0.59, the correlation is moderate (4) between 0.2 and 0.39, the correlation is weak (5) lower than 0.2, the correlation is very weak. Results: Output variations observed between MPC and QA Beamchecker PLUS were within 2 % for photons and electrons. The beam outputs variations of MPC were $0.29{\pm}0.26%$ and $0.30{\pm}0.26%$ for photon and electron beams, respectively. QA Beamchecker PLUS beam outputs were $0.31{\pm}0.24%$ and $0.33{\pm}0.24%$ for photon and electron beams, respectivel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PC and QA Beamchecker PLUS indicated that photon beams were very strong at 15 MV, and strong at 6 MV, 10 MV, 6 MV-FFF and 10 MV-FFF. For electron beam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strong at 16 MeV and 20 MeV, moderate at 9 MeV and 12 MeV, and very weak at 6 MeV. Conclusion: MPC showed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 with QA Beamchecker PLUS when testing with photon beams and high-energy electron beams in the evaluation of daily beam output, but the correlation when testing with low-energy electron beams (6 MeV) appeared to be low. However, MPC and QA Beamchecker PLUS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checking daily beam output, as they performed within 2 % of beam output consistency during the observation. MPC which can perform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daily beam output measurement tool,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users.

      • 기획시리즈 -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 -소나무류에 피해를 주는 피목가지마름병-

        이상현,Lee, Sang-Hyeon 한국조경수협회 2009 造景樹 Vol.110 No.-

        피목가지마름병은 Cenangium ferruginosum에 의하여 발생되는 병해로 전 세계적으로 적송, 곰솔, 잣나무 등의 소나무류에 흔히 발생하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피해는 경미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최근 남부지역 소나무류 집단고사는 강수량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가 유인되어 수세가 약화된 상태에서 피목가지마름병의 피해가 가속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병은 기상요인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가지치기, 임목밀도조절 등 재배환경을 조절하고 관리가 잘 되도록 신경을 써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Characterization of the enzymatic property of thermostable carboxypeptidase Taq by addition of metal ions and replacement of active center metal

        이상현,하종명,하배진,Lee, Sang-Hyeon,Ha, Jong-Myung,Ha, Bae-Ji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2 생명과학회지 Vol.12 No.6

        다양한 금속이온의 첨가에 따른 CPase Taq의 효소활성의 개선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다. 1 mA의 코발트이온의 첨가에 의해 효소활성이 4배 이상 증가했고, 1 mA의 칼슘이온의 첨가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이 거의 3배 정도로 증가했다. 하지만 활성중심에 존재하는 아연이온은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활성중심의 금속 이온이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활성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아연이온을 본 효소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코발트이온으로 치환하였다. 그 결과, 코발트이온으로의 치환이 CPase Taq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코발트이온은 본 효소의 활성중심의 금속이온인 아연이온을 대신하여 CPase Taq가 효소활성을 가지는데 있어서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금속이온이라 사료된다. We analyzed improvement on the enzyme activity of CPase Taq by addition of various metal ions. The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more then four times by 1 mM cobalt ion and almost three times by 1 mM calcium ion. However, the active center metal zinc ion did not affect the enzyme activit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tive center metal affects the enzyme activity, zinc ion which is occupied the active center of the enzyme was replaced by cobalt ion which activates the enzyme activity very effectively. Since the cobalt ion in the active center of the cobalt-substituted CPase Taq did not affect the enzyme activity, it could act as the natal metal ion in the active center of the enzy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