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한(自汗)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이상석,오태환,정승기,이형구,Lee, Sang-Suk,Oh, Tae-Hwan,Jung, Sung-Gi,Rhee, Hyung-Koo 대한한방내과학회 1992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13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treatment of Ja-Han(自汗) by referring to 37 liter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actors causing Ja-Han(自汗) divided into 2 groups. The 1st outer factors are six dirty(六淫), 2nd kihu(氣虛) and yanghu(陽虛). 2. The drugs of Ja-Han(自汗) is as follows. ocbyungpungsan(玉屛風散), hwanggigunjungtang (黃?健中湯), samgitang(參?湯), hwangbutang(?附湯). 3. The treatment of acupuncture is as follows. gokji(曲池), yulgul(列缺), sosang(小商), gonryun(昆岺), chungyang(衝陽), yungok(然谷). daedon(大敦), yongchun(湧泉).

      • KCI등재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5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시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현황, 우수유출량, 배수유출량,그리고 배수시설용량을 산출하고, 우수유출량과 배수유출량을 비교분석을 위해 배수유출량계수를 산출하고 배수시설의 설치규모를 분석하고자 배수시설용량계수를 도출하여 배수구역 및 공원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봉산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34.13ha로서 배수유형별로는 표면배수구역 15.05ha(44.09%), 개수로배수구역 14.60ha(42.78%), 자연수로배수구역 4.48ha(13.1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표면배수구역이 넓어 자연상태의 표면유출이 많았다. 한편, 오금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20.39ha로서 표면배수구역 2.52ha(12.36%), 자연수로배수구역 0.56ha(2.75%), 개수로배수구역 10.14ha(49.73%), 산마루측구배수구역 7.17ha(35.16%)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인공적인 배수시설구역이 높게 나타났다. 2. 배봉산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7.28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23m^3/s$이며, 각 배수구역은 규모가 크고 길어서 우수유출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4.37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12m^3/s$으로 배봉산공원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지형의 기복이 뚜렷하지 않고 배수시설이 많아 배수구역이 작게 세분되었다. 3. 배봉산공원에 개수로가 설치된 배수구역의 전체 배수유출량은 $11.58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77m^3/s$, 평균배수유출량계수는 5.26이었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유출량은 $15.40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34m^3/s$, 평균 배수유출량계수는 8.87로 나타났다. 배봉산공원은 배수구역별로 개수로의 규모와 경사 등이 커서 상대적으로 평균 배수유출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배수유출량계수는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이 적은 오금공원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배봉산공원의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554.5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179.83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717.7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339.69로 나타났다. 오금공원이 배수시설용량계수가 훨씬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오금공원에서 배수유역별로 설치된 배수시설의 총량이 많으며, 집약적으로 설치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이고 조방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배봉산공원과 인공적이고 집약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오금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유출량계수와 배수시설용량계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산지형 도시공원의 배수시설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공원의 배수유출량과 배수시설용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계획 및 설계와 우수의 저류 및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특성은 지형 및 경사, 식생, 배수유형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공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많은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공원에서 우수를 저류하고,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bborhood parks--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in Seoul. Based on an analysis of existing drainage facilities, the volume of storm water runoff (VSW), the runoff rate of open channels(ROC), and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rmels(DCOC) by each drainage watershed, the coefficient of runoff rate(CROC) as evaluated to be relevant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oefficient of the detention capacity of open channe1s(CDCOC) as evaluated with DCOC compared to VSW were estimated and analyzed by parks and by watersh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drainage area of Baebongsan Park was 34.13ha including surface runoff area(15.05ha; 44.09%), open channel area(l4.60ha; 42.78%), and natural waterway area(4.48ha; 13.13%). The total drainage area of Ogeum Park was 20.39ha including open channel area (10.14ha; 49.73%), ridge-side gutter area(7.17ha; 35.16%), surface runoff area (2.52ha; 12.36%), and natural waterway area (0.56ha; 2.75%). In Baebongsan Park, the portion of surface runoff was comparatively higher while the portion of artificial drainage area was higber in Ogeum Park. 2. In Baebongsan Park drainage districts were largely divided: VSW was $7.28m^3/s$ in total(average $0.23m^3/s$). Comparatively, tbe VSW in Ogeum Park, including smaller drainage districts, was $4.37m^3/s$ in total(average $0.12m^3/s$). 3. The ROC of Baebmgsan Park was $11.58m^3/s$ in total(average $0.77m^3/s$) and the CROC was 5.26, while in Ogeum Park, the ROC was $15.40m^3/s$(average $0.34m^3/s$) and tbe CROC was 8.87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Because the size and slope of the open channel in Baebongsan Park was higher, the average ROC was larger, while tbe CROC of Ogeum Park was higher than that of Baebongsan Park, for the VSW in Ogeum Park was comparatively lower. 4. The DCOC in Baebongsan Park was $554.54m^3$ and the average of CDCOC was 179.83. That of Ogeum Park was $717.74m^3$ and the average of the CDCOC was 339.69, meaning that the DCOC of Ogeum Park was so much higber that drainage facilities in Ogeum Park were built intensively. This study was focused m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by using the CROC to evaluate relevance between VSW and ROC and the CDCOC to evaluate the DCOC as compared with VSW. The devised methodology and coefficient for evaluating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may he universally applicable through additional study. Further study m sustainable urban drainage systems for retaining rainwater in a reservoir and for enhancing ecological value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베트남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메모리얼의 유형적 특성,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 입지 및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의 특성, 조경디테일에 나타난 표현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랜 전쟁으로 인해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은 군인묘지, 전적지, 전쟁박물관, 비극적 장소, 평화공원 등 10가지 유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전통적 양식에 근거한 군인묘지, 장소성을 강조한 전적지와 비극적 장소, 전쟁 승리와 잔혹함을 표현한 전쟁박물관, 평화공원이 특징적인 유형으로 나다났다. 2. 메모리얼에 나타난 주요한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는 희생자 추모, 국가에 헌신, 전쟁승리와 저항, 장소적 기념성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적인 민간단체의 협력에 의해 만들어진 미라이 평화공원(My Lai Peace Park) 및 한-베 평화공원(Han-Viet Hoa Binh Cong Vien)에서 비극적 사건을 극복하고 평화를 도모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3. 메모리얼은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및 전쟁 루트였던 호치민 트레일(Ho Chi Minh Trail), 그리고 베트남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요한 도로인 A1 국도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밖에 하노이 및 호치민 등 도시에 전쟁박물관 및 모뉴멘트가 조성되었다. 묘지 및 추모 메모리얼에서는 문과 기념탑(또는 제단)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묘역이 배치되는 전통적 공간체계를 따랐으며, 전적지 및 비극적 장소에서는 장소성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설계를 통한 특정적인 공간 형태보다는 상징적 요소를 도입하여 기념성을 구현하였다. 4. 기념조각 및 기념탑은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의 대표적 양식으로 전쟁승리 및 저항정선을 표현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포획한 무기를 전시하고 박물관에 사진 및 모형 등 자료를 전시하여 전쟁의 긴장감과 리얼리티를 보여주고 있으며, 유교 및 불교 등 전통문화에 근거한 상징요소를 도입하여 추모감을 높였다. 5. 기념조각이나 기념벽에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이용한 사실적 표현을 강조하였다. 또한 상징적 문구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TO-QUOC-GHI-CONG 토국기공(士-國-記-功)'에서 전사자의 업적과 국가적 관심을 나타냈으며, 이와 반대로'Quagmire'는 미군 참전용사들이 베트남에서 겪은 혼란스럽고 어려운 전투 상황과 베트남전쟁에 대한 미국사회의 혼돈을 묘사하는 정치사회적인 메타포(metaphor)로서 사용되었다.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는 민족주의, 애국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복합되어 있고, 유교 불교 도교 음양오행사상이 잘 나타났다. 한편, 유교적 전통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전쟁에서 영웅적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메모리얼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국내 외적 갈등이 내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설계특성을 연구하여 전쟁에 대한 인식 및 기념문화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VWM) in Vietnam. Through site survey, the researcher selected 23 VWM in Vietnam and analyzed 5 categories: memorial type, design concept and narratives, location and spatial form, landscape elements, and content expressed in landscape detai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ecause of the long, drawn out Vietnam War, which lasted from 1955 to 1975, VWM were divided into 10 types mainly as soldier cemeteries based on a traditional memorial style, battlefields and places of tragedies considering sense of place, war museums representing victory and atrocity in war, and peace parks promoting reconciliation and peacemaking. 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and narratives of VWM were to value the victims of the Vietnam War, remember soldiers' contributions, highlight the victory in war and resistance to the United States, and express a sense of place. Peacemaking applied only to My Lai Peace Park and Han-Viet Hoa Binh Cong Vien, built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3. Cemeteries and appreciation memorials were designed to follow a traditional memorial space form that highly regard both axis and symmetry. The design concept at battlefields and places where tragedies occurred depended mainly upon a sense of place and used symbolic landscape elements to compensate for the undefined concept. 4. Sculptures and towers were mainly used to highlight war victory and resistance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a Socialist country, weapons and pictures exhibited in war museums and battlefield showed the reality and strain of war. Symbolic element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often introduced as a way to venerate the memory of deceased persons. 5. The state and heroic actions in the Vietnam War were realistically depicted on sculptures and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were written on the memorial tower and 'Quagmiire' was used to metaphorically represent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U.S. military on battlefields during the war and the uncertainly that pervaded U.S. society in those days. 6. In VWM, ideologies like nationalism, patriotism, socialism, capitalism were mixed and traditional cultures like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were inherent. Differing from their Confucianism culture, war heroes, particularly including women, were often described by sculpture, monument, and pictures and the conflict in and outside the country regarding the Vietnam War was shown.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VWM in the u.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mmemoration cultures between Vietnam and the U.S.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이상석,정순원,박찬우,나복순,오지영,구재본,추혜용,Lee, S.S.,Jung, S.W.,Park, C.W.,Na, B.S.,Oh, J.Y.,Koo, J.B.,Chu, H.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9 No.6

        최근 사물인터넷 통신이 화두로 대두되고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핵심기기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관점에서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기 및 터치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은 기초 연구단계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판과 전극 재질의 입장에서 최근 기술들을 정리하였다. 향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구현된다면 그 시장 및 응용성은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SCISCIESCOPUS

        $ZrO_2$-$TiO_2$ 세라믹의 $MoO_2$ 함유량과 소결온도가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석,이석진,이창화,최태구,Lee, Sang-Seok,Lee, Seok-Jin,Lee, Chang-Hwa,Choe, Tae-G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2 전자통신 Vol.14 No.4

        불요 전자파 제거용 필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Zirconium Titanate 세라믹 유전체에서 $MoO_2$ 함유량과 소결온도에 변화를 주어 이들이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MoO_2$ 함유량보다는 소결온도의 변화가 유전률, 품질계수 및 소결밀도 등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정전용량의 온도계수 측면에서는 $MoO_2$ 함유량을 제어하여0ppm$^\{circ}C$근처로 이동시켜 상당히 안정된 온도 특성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맥문동탕(麥門冬湯)이 $SO_2$에 의(依)한 흰쥐의 호흡기손상(呼吸器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상석,정승기,이형구,Lee, Sang-Sek,Jung, Sung-Ki,Lee, Hyung-Koo 대한한의학회 1994 대한한의학회지 Vol.15 No.2

        The results about effects of Maecmoondongtang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SO_2$ exposed ra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Maecmoondongtang reavealed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of the lung weight in pulmomary edema of rats. 2. Maecmoondongtang reavealed very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of the TBA value of lung. 3. It was recognized Maecmoondongtang had signiftcant effect on decrease of glycoprotein contents in trachea. 4. It was recognized maecmoondongtang had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of mucos area in tracheal epithelium. 5. Maecmoondongtang had effects on recovery of the cillia cells of tracheal epithelium and inhibition of mucous secret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it was recognized Gamimaecdongtang had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of lung weight in pulmonary edema. the TBA value. glycoprotein contents in trachea. and mucous area in tracheal epithelium. and recovery of the cillia cells of tracheal epithelium. and inhibition of mucous secretion. So I think we can take advantage of this medicine very usefully for treatment of pulmonary edema. pheumonia. acute and chronic bronchitis etc.

      • 형상기억고분자의 응용

        이상석,임상철,박찬우,정순원,나복순,오지영,구재본,추혜용,Lee, S.S.,Lim, S.C.,Park, C.W.,Jung, S.W.,Na, B.S.,Oh, J.Y.,Koo, J.B.,Chu, H.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8 No.5

        형상기억 물질은 임의의 형상을 유지하다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형상기억 물질은 형상기억합금과 형상기억고분자로 대별되며, 형상기억효과를 응용하려는 용도 및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형상기억합금과 형상기억고분자의 특성 및 원리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형상기억합금에 비해 가볍고 저렴하며 외부 자극의 종류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형상기억고분자의 용도를 정리하였다. 향후 형상기억고분자는 wearable 디스플레이, 태양광 패널 및 비침습성 의학소자 등 그 용도가 다양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센서용 거대자기저항 스핀밸브소자의 열처리 효과

        이상석,박상현,소광섭,주호완,김기왕,황도근,Lee, Sang-Suk,Park, Sang-Hyun,Soh, Kwang-Sup,Joo, Ho-Wan,Kim, Gi-Wang,Hwang, D.G. 한국자기학회 2007 韓國磁氣學會誌 Vol.17 No.4

        셀(cell) 단위의 생체분자의 자성특성 검출을 위한 거대자기저항-스핀밸브(giant magnetoresistance-spin valves; GMR-SV) 바이오센서로서 미세 패턴된 모양에 따라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용이축에 의존하는 자기저항 특성을 연구하였다. 바이오센서(biosensor)로서 사용할 스핀밸브 다층구조는 glass/NiO/NiFe/CoFe/Cu/CoFe/NiFe 이었다. 자성 다층박막의 일축이방성을 만들기 위해 증착시와 소자 패턴닝 후 진공 열처리를 $200^{\circ}C$에서 300 Oe 정도 외부자기장을 인가하였다. 형상자기이방성 효과를 고려하여 광 리소그래피 과정으로 얻은 미세 활성영역 패턴 사이즈는 $2{\times}5{\mu}m^2$로 정하였다. 2단자법으로 길이방향의 센싱전류와 폭 방향의 고정층의 용이축 방향 각도에 의존하는 자장민감도의 변화는 바이오센서 소자로서 활용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detect of the magnetic property in the cell unit, we studied the GMR-SV (giant magnetoresistance-spin valves) biosensor, which was depended on the micro patterned features according to two easy directions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axes. Here, the multi layer structure was glass/NiO/NiFe/CoFe/Cu/CoFe/NiFe. The uniaxial anisotropy direction was applied to the patterned biosensor during the deposition and vacuum post-annealing at $200^{\circ}C$ under the magnitude of 300 Oe,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magnetic shape anisotropy effect, the size of micro patterned biosensor was a $2{\times}5{\mu}m^2$ after the photo lithography process. By our experimental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best condition of GMR-SV biosensor should be the same direction of the axis sensing current and the easy axis of pinned NiO/NiFe/CoFe triple layer oriented to the width direction of device, and the direction of the easy axis of free CoFe/NiFe bilayer was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device.

      • KCI등재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장답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외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진 25개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평면도, 위성사진, 관련사진을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으로 희생자 추모, 지역 부대 국가의 명예 고양, 집단적 헌신과 정체성 등을 기본으로 하여 전쟁의 의미와 감정, 한국전쟁의 사실적 묘사 및 상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2.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기념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조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공간형태 다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축을 이루는 것이 많이 나타났지만 일부 부정형도 있었으며, 공간적 연속성과 같은 간적 질서가 일부 메모리얼에서 나타났다. 3. 조경디테일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념벽과 기념석,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旗)와 엠블렘 (emblem)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반도 지도 및 태극문양이 한국과 한국전쟁을 상징하기 위해 자주 도입되었으며,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의 한국참전의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Forgotten War(잊혀진 전쟁)'과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가 사용되었다. 4. 조각은 기념성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체로서 활용되었다. 주로 사실적인 조각이 사용되었고, 일부는 추상적 형태를 갖는 것도 있었으며, 한국전쟁을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Washington D.C. 한국전쟁 참전용사 메모리얼(Korean War Veterans Memorial: KWVM)이나 Minnesota 한국전쟁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 KWM)의 조각은 현대적인 메모리얼의 상징적 매체로서 뛰어났다. 향후 한국과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비교문화적 연구와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메모리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the United States(K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25 KWMUS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design concept, spatial form, landscape details, and sculpt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in concepts of K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Korean War, show membership/locality/patriotism, express feelings and the meaning of war, and explain the Korean War realistically and symbolically. 2. Most KWMUS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typical and symmetrical circles and squares. Also, spatial order including spatial sequence was seen in some of KWMUS. 3. Stone walls, stone monument, flags, emblems and paving were used as main landscape details.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aegeuk were often introduced to symbolize Korea and the Korean War, and the symbolic phrase, 'Forgotten War' or 'Freedom is Not Free' were written on the stone to keep the Korean War in the minds of Americans. 4. Sculptures were used as important media to represent the Korean War in a variety of ways. Most of them were formed realistically,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Korean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In particular, the sculptures in Washington D.C. KWVM and Minnesota KWM were remarkable as symbolic media of war memorials in contemporary society.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comparatively KWM in Korea and the U.S.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WM in the point of design style.

      • KCI등재

        비정질 n형 Si 박막을 이용한 자기터널링 트랜지스터 제작과 특성

        이상석,이진용,황도근,Lee, Sang-Suk,Lee, Jin-Yong,Hwang, Do-Guw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8 No.3

        Magnetic tunneling transistor (MTT) device using the amorphous n-type Si semiconductor film for base and collector consisting of the [CoFe/NiFe](free layer) and Si(top layer) multilayers was used to study the spin-dependent hot electron magnetocurrent (MC) and tunneling magnetoresistance (TMR) at room temperature. A large MC of 40.2 % was observed at the emitter-base bias voltage ( $V_{EB}$ ) of 0.62 V. The increasing emitter hot current and transfer ratio ( $I_{C}$/ $I_{E}$) as $V_{EB}$ are mainly due to a rapid increase of the number of conduction band states in the Si collector. However, above the $V_{EB}$ of 0.62 V, the rapid decrease of MC was observed in amorphous Si-based MTT because of hot electron spin-dependent elastic scattering across CoFe/Si interf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