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Weakly Relaxed $\alpha$-semi-pseudomonotone Set-valued Variational-like Inequalities

        이병수,Bok-Doo Lee 한국수학교육학회 2004 純粹 및 應用數學 Vol.11 No.3

        In this paper, we introduce weakly relaxed ��-pseudomonotonicity and weakly relaxed ��-semi-pseudomonotonicity of set-valued maps. Using the KKM technique, we obtain existence of solutions to the variational-like inequalities with weakly relaxed ��-pseudomonotone set-valued maps in re°exive Banach spaces. We also present the solvability of the variational-like inequalities with weakly relaxed ��- semi-pseudomonotone set-valued maps in arbitrary Banach spaces using Kakutani- Fan-Glicksberg ¯xed point theorem.

      • KCI등재

        Multivalued Mixed Quasi-Variational-like Inequalities

        이병수 한국수학교육학회 2006 純粹 및 應用數學 Vol.13 No.3

        This paper introduces a class of multivalued mixed quasi-variational-like inequalities and shows the existence of solutions to the class of quasi-variational-like inequalities in reflexive Banach spaces.

      • KCI등재

        3·1 운동과 보편적 가치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3.1 movement in terms of universal values. 3.1 Movement is a simultaneous rediscovery of the nation and of the people in terms of the subject. The 3.1 movement was an all-national uprising that took place not only at home but everywhere Koreans reside. By realizing that it is the same 'people' who share Japanes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rough the 3.1 movement, the concept of nation spread to the popular level. It also experienced not only the same "nation" but also "the people are the masters of the country." The awareness that the people are the masters of the country was the main factor that combined independence based on nationalism with democratic ideology. It tends to understand that the universal values shown in the 3.1 movement were influenced only by the process of World War I, Wilson's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Paris Peace Conference. However, the influence of ideology or social movements accumulated since the invasion of the East by Western imperialist powers cannot be ignored. During the 3.1 movement the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were a common reference to the ideology of freedom, equality and peace as well as national self-The democratic ideology of sovereignty being in the masses was dissolved in nationalist ideology, and East Asian peace and world peace had a necessary interrelationship with self-independence. These ideologies were the basis for criticizing the illegality and barbarism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justifying national self-The democratic ideology of sovereignty being in the masses was dissolved in nationalist ideology, and East Asian peace and human peace had a necessary interrelationship with self-independence. The democratic ideology of sovereignty being in the masses was dissolved in nationalist ideology, and East Asian peace and human peace had a necessary interrelationship with self-The democratic ideology of sovereignty being in the people was dissolved in nationalist ideology, and East Asian peace and world peace had a necessary interrelationship with self-in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link the universal values of the spirit of the 3.1 movement with the vision of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the perception that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related to the national right to self-determination, freedom and equality, and peace in East Asia, which were clearly demonstrated in the spirit of the 3.1 movement. The will to stand independent in 3.1 movement is meaningful in restor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the nation's own free will, free from undue interference from foreign forces in relation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in that both Japan's colonial rule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tructurally suppress freedom and equality within the people, the real value of democracy is linked not only to the 3.1 movement but also to the unification efforts of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the perception during the 3.1 movement that independence was a key prerequisite for peace in the East is valid in today's era of division. 이 글의 목적은 보편적 가치의 측면에서 3·1 운동을 해석하는 데 있다. 3·1 운동은 주체의 측면에서 볼 때, 민족과 민중의 동시적 재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3·1 운동은 국내뿐 아니라 조선인이 거주하는 모든 곳에서 일어난 전민족적 항쟁이었다. 3·1 운동을 통해 일제의 차별과 억압을 공유하는 같은 ‘민족’임을 실감함으로써 민족개념이 대중적 차원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같은 '민족'만 체험한 것이 아니라 민중이 '나라의 주인임'도 체험했다. 민중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자각은 민족주의에 근거한 자주독립을 민주주의 이념과 결합시킨 주된 요인이었다. 흔히 3·1운동에 나타난 보편적 가치가 1차 세계대전 과정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파리평화회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만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서세동점 이래 축적된 이념이나 사회운동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들은 자주독립은 물론 자유와 평등, 평화의 이념을 공통적으로 표방했다. 자주독립에 대한 요구는 자유와 평등, 평화 등 보편적 가치와 밀접하게 연계된 특징이 드러난다. 이러한 이념들은 일본 식민지배의 불법성과 야만성을 비판하고 자주독립을 정당화하는 근거였다. 주권이 민중에 있다는 민주주의 이념이 민족주의 이념 속에 용해되어 있었고 동아시아 평화와 세계평화도 자주독립과 필연적 상호관계를 맺고 있었다. 3·1 운동의 정신이 지닌 보편적 가치를 한반도 통일의 비전과 연결하는 일이 중요하다. 한반도 통일이 3·1 운동 정신에서 분명하게 드러난 민족자결권, 자유·평등 그리고 동아시아 평화와 연관된다는 인식이 그것이다. 3·1 운동의 자주독립 의지는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 외세의 부당한 간섭에서 벗어나 민족 스스로 자유의사에 의한 자기 결정권 회복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식민통치나 한반도 분단은 모두 민족 내부의 자유와 평등을 구조적으로 억압한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의 가치실현은 3·1 운동뿐만 아니라 한반도 통일 노력과도 연결된다. 나아가 조선의 자주독립이 동양 평화를 보장하는 핵심 전제라는 3·1 운동 당시의 인식은 오늘날 분단시대에도 유효하다.

      • SCOPUSKCI등재

        HIC용 $RuO_2$ 후막저항체에서 유리의 물리적 성질이 TCR에 미치는 영향

        이병수,이준,Lee, B.S.,Lee, J. 한국세라믹학회 199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0 No.11

        Glass viscosity effect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RuO2 based thick film resistors (TFR) using alumina modified lead borosilicate glasses were studied. AT 85$0^{\circ}C$, the glass viscosities were increased from 4.24Pa.s to 51.5Pa.s when the alumina was added from none to 14 weight percent to the standard glass of 63% PbO, 25% B2O3 and 12% SiO2. The resistivities of resistors were generally decreased and the microstructure development was retarded as the viscosity of the glass increased. This is contrary to the generally accepted thought that the low resistivity is due to fast microstructure development kinetics in TFR. Even though the glass viscosity retards the microstructure development kinetics, the overall network formations are favored for higher viscosity of glass, such that the sheet resistivities were decreased as the glass viscosity increased.

      • KCI등재

        폴 엘뤼아르(P. Eluard)의 경계의 미학에 관한 연구

        이병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L'objectif de cet article est de découvrir l'esthétique de la limite chez Paul Eluard. Par l'étude des recueils d'Eluard qui s'imposaient à notre sujet, nous avons pu manifestement distinguer l'esthétique du dehors et l'esthétique du dedans. Ces deux aspects de l'esthétique éluardienne correspondent à la nostalgie de la lumière totale. Pour Eluard, cette nostalgie nous permet d'obtenir l'esthétique du dedans dans la lumière intérieure, morale. Ainsi, nous avons surtout tenté de comprendre comment opérait le passage de la lumière physique à la lumière intérieure, morale. Chez Eluard, comme nous l'avons remarqué, l'esthétique du dedans équivaut à la beauté et à la vérité. Cette esthétique morale équivaut aussi à la sensation et au sentiment. D'ailleurs, il semble que la lumière intérieure soit essentiellement redevable à la contemplation pure et à l'imagination de la rêverie. Cette imagination éluardienne nous conduit à l'inspiration et au retentissement de l'esprit. En outre, comme nous l'avons constaté, le fait d'avoir été dans la contemplation dialectique et ambivalente de la vie d'ombre et de lumière, d'espoir et de désespoir, confine le poète en un personnage de rêve. En plongeant et en se laissant emporter à la dernière limite “du délire”, “de l'oubli” et “le miroir noir”, le poète tire la quintessence de cette ambivalence du bien et du mal. De la sorte, il réintègre la nouvelle vie, en être de lumière et d'amour. C'est en cela que la poésie surréaliste d'Eluard s'impose comme celle de la rêverie dialectique qui permet le renouvellement et nous ouvre les voies de la lumière intérieure et de l'esthétique morale. Elle s'impose également d'ouvrir les voies de l'esthétique de la limite et de la poétique de la limite. 1953년 폴 엘뤼아르는 『예술에 관한 논집 Anthologie des écrits sur l'art』에서 자신이 추구해온 빛과 미학에 대해 기술한다. 시인은 예술론에서 자신이 살아오며 오랫동안 지향해온 궁극적인 지점은 “완전한 빛에 대한 향수”라고 강조한다. 시인이 그의 말년에 기술한 빛과 미학에 관한 이와 같은 견해는 엘뤼아르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활동했던 초현실주의 시인들과 예술가들이 다다르기를 원했던 궁극적인 지향점에 대한 깊은 통찰로 평가 된다. 또한, 시인이 말하는 완전한 빛에 대한 향수는 그의 삶과 시작품들을 통해 일관되게 추구해온 사랑, 전쟁과 폭력에 대한 저항, 인간의 근본적인 자유에 대한 추구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특히 브르통이나 아라공, 수포 등과 같은 초현실주의 시인들과 피카소, 에른스트, 달리와 같은 화가들과 깊은 유대감을 갖고 활동해온 엘뤼아르는 때로는 그의 시론과 시작품을 통해, 때로는 현실적인 투쟁을 통해 그가 생각하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사회적인 연대를 강조한다. 무엇보다 엘뤼아르가 보여주는 시론과 시편들은 독자들로 하여금 사물을 아름답게 보게 하고, 삶의 생기를 되찾는 영감을 얻게 한다. 이러한 엘뤼아르의 작품들은, “그는 이미지들의 아름다움 속에서 미래를 보고, 어두운 이미지들을 아름답게 본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 논고는 엘뤼아르가 보여주는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미학의 특성에 대해 규명해 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시인이 보여주는 두 가지 측면의 미학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하나는 “질료적인 빛”을 근간으로 하는 “외면의 미학”이고, 다른 하나는 “도덕적인 빛”으로 비유될 수 있는 “내면의 미학”이다. 두 측면의 미학은 각기 감각적이고 사유적인 형상들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연구는 감각적인 측면으로 나타나는 질료적인 외면의 미학과 사유적인 측면으로 나타나는 내면의 미학의 상응관계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특히 “외면의 미학”에서 “내면의 미학”으로 육화되는 경계의 지점에 대해 규명해 보기로 한다. 그 경계지점은 초현실주의자들이 행동강령으로 삼은 정신의 “절대적인 자유”와 “무한한 상상력”이 실현되는 지점으로, 브르통이 말하는 “모순되게 인지되기를 그치는 정신의 어떤 지점”으로 여길 수 있다. 본 연구는 엘뤼아르에게 궁극적으로 “완전한 빛에 대한 향수”로 인식되는 감각적이고 사유적인 두 측면의 미학이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실현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국가/민족관’과 그 변화양상: 북한이탈주민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이병수,박민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specific value system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n society in an objective manner and to predict the areas and details of the future conflict of val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categorical approach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ha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values of a particular society as it allows the investigation of the most essential areas of the conflict of values considering that North Koreans“ awareness and feelings about the nation and the people are based on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rather than individuals” problems. To this end, this study undertook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approach the key areas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conflict of valu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nsequently,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n society developed from the principles of “the people converging into the nation and the loyal people and the devoted country” to the division of the absolute nationalism and the return of the forgotten ethnocentrism.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d been realizing their ow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s citizens while going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North Korean people” to “the people” and “citize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on the specific aspects of the inter-Korean conflict of values and the exploration of alternatives, which must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unified Korean government. 본 논문은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이라는 특정한 가치체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예상 가능한 향후 남북 가치충돌의 영역 및 세부내용을 전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정 사회의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국가/민족관'이라는 범주적 접근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북한주민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인식과 감정은 곧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남북한의 적대적인 분단체제에 토대를 두고 있는 가치충돌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을 미리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ocusing Group Interview: ‘FGI’)’ 방법을 통해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과 남북 가치충돌의 핵심 영역에 접근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은 ‘국가로 수렴되는 민족’ 그리고 ‘충성스러운 인민과 헌신하는 국가’ 등의 원리로부터 절대적 국가관의 분열과 잊혀졌던 민족의식의 귀환으로 전개되었다. 나아가 ‘인민’에서 ‘국민’, 그리고 ‘시민’으로의 이행과정과 함께 북한이탈주민 스스로 보편적 권리의식과 시민성의 자각이 이뤄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통일한반도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남북 가치충돌의 구체적인 양상 및 그 대안 모색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폴 엘뤼아르(P. Eluard)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견자적인 특성에 대한 고찰

        이병수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9 프랑스어문교육 Vol.32 No.-

        Par l'étude des recueils d'Eluard et des poèmes surréalistes qui s'imposaient à notre sujet, nous avons manifestement pu remarquer combien ceux de l'inspiration renvoient au voyant. Comme nous l'avons constaté dans notre étude, pour Eluard cette inspiration équivaut au retentissement de l'esprit de la pose de ces mêmes êtres contemplatifs. En effet, un retentissement qui installe la vie du poète et du lecteur dans le monde de la renaissance pour en faire un être nouveau. Et puis, pour notre étude, nous avons tenté d'analyser "la nostalgie de la lumière totale". Pour Eluard, cette nostalgie nous conduit aux frères voyants dans la vérité de la poèsie. Et, elle nous permet d'avoir l'esthéque du dedans dans la lumière intérieure. Alors, nous avons essayé de comparer les caractéristiques du voyant de Rimbaud et d'Eluard. Chez Eluard, il s'agit pour nous, en étudiant la parole du voyant, d'entretenir une image du regard sensoriel et une autre image du regard contemplatif. Il semble que le voyant éluardien soit essentiellement redevable de la vision. En étudiant la parole du voyant dans les poèmes éluardiens, d'entretenir une image du "voir" et une image du "donner à voir". L'élan de la vision, la verve des images accompagnent l'éveil du poète le métamorphosant en un être nouveau. Ainsi, l'être nouveau éluardien n'est qu'un être inspiré par l'esprit du "voir" et celui du "donner à voir." Nous invitant, nous invoquant à renaître sous la forme d'êtres nouveaux. Eluard nous demande de voir par nos relations sensibles avec la parole de la vision. C'est en cela que la poésie surréaliste d'Eluard s'imposerait comme celle du voyant humanisé et destiné à se renouveler. Elle nous imposerait également à ouvrir les voies de la lumière, de l'amour et de la nouvelle vie, nous transmettant mise en avant de la vision.

      • KCI등재

        친일미청산의 역사와 친일의 내적 논리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6 No.-

        The Settlement of the Pro-Japanese is a problem of the historical settlement of the pro-Japanese remnants that encompasses the system and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facts of pro-Japanese 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Internal logic of the pro - Japanese that has continuously been influential even since the liberation among the various tasks of this historical settlement. The inner logic that the pro-Japanese group have been influential since the liberation as a leading force can be summarized as anti-communism and statism. South Korea's anti-communism since the liberation clearly shares a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continuity with the anti-communism familiar to the pro-Japanese group during the colonial period. However, anti-communism since the liberation has undergone three major transformations, from pro-Japanese to pro-American anti-communism, transformation in the ideological phase ideological phase, transformation coupled with nationalism. In addition, ideology that was always accompanied by anti-communism was statism, not only in the colonial period but also the post-liberation period. As the pro-Japanese group that internalized the world view of Pacism have continued to be a part of the state power, colonial violence has continued, ranging from the habitual practice of torture, concealment and fabrication, to the massacre of civilians. In addition, it has deeply left its ideological traces not only in the aspects of national security act and violent state apparatuses but also in the mind. It was the division realities that made this anti-communism and statism more solid. The division realities became the soil in which the state became the final judge of all judgments and forced the exclusive loyalty to the anti-communist state system. In the point that the internal logic of the pro-Japanese could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in the division system, the settlement of the pro-Japanese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breaking the fetters of the division. 친일청산은 친일행위 진상규명과 더불어 제도 및 의식을 포괄하는 친일잔재의 역사적 청산의 문제이다. 이 글의 목표는 이러한 역사적 청산의 분야별 여러 과제들 가운데 해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친일의 내적 논리를 해명하는 데 있다. 친일세력이 해방 이후 주도세력이 되면서 그 영향력을 행사해온 내적 논리는 반공주의와 국가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해방 후 남한의 반공주의는 식민지 시기 친일세력에게 익숙한 반공주의와 역사적, 심리적 연속성이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반공주의는 해방 후, 친일 반공주의에서 친미 반공주의로의 변형, 이데올로기적 위상 면에서의 변형, 민족주의와 결합된 변형 등 크게 3가지 변형을 겪었다. 또한 식민지 시기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 반공주의와 항상 함께 한 이데올로기는 국가주의였다. 파시즘의 세계관을 내면화한 친일세력이 국가권력에 포진함으로써 고문의 상습화와 은폐조작, 민간인 학살에 이르기까지 식민지적 폭력성이 그대로 이어졌다. 또한 국가보안법과 폭력적 국가장치 등 제도의 측면뿐만 아니라 심성의 측면에서도 그 이데올로기적 흔적을 깊게 남겼다. 이러한 반공주의와 국가주의를 더욱 공고하게 만든 것은 분단현실이었다. 분단현실은 국가가 모든 판단의 최종 심판자가 되어 반공주의적 국가체제에 대한 배타적 충성을 강요하는 토양이 되었다. 친일의 내적 논리가 분단체제 속에서 유지되고 강화될 수 있었던 점에서 친일의 청산은 분단의 질곡을 극복하는 과정과 분리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