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세 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민 ( Byung Min Lee ),김지현 ( Ji Hyun Kim ),김승수 ( Sung Soo Kim ),임종주 ( Jong Choo Lim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도데실 글리시딜 에테르와 아미노에탄올을 반응시킨 후 디메틸 설페이트로 4급화시켜 분자 내에 2개의 라우릴기, 3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BHMAS (N, N-bis-(3`-n-dodecyloxy-2`-hydroxypropyl)-N-methyl- 2-hydroxyethylammonium methyl sulfate)를 합성하였고, 생성물의 분자구조는 1 H-NMR, FT-IR 등의 기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의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는 9.12 × 10 -4 mol/L이며, CMC에서의 표면장력은 28.71mN/m이었다. Maximum bubble pressure tensiometer를 사용하여 동적 표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포화되는 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과 n-decane 사이의 계면장력은 0.045mN/m이며, 평형에 도달하는 데 약 5 min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흡착 특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합성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섬유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유연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cationic surfactant BHMAS (N,N-bis-(3`-n-dodecyloxy-2`-hydroxypropyl)-N-methyl-2-hydroxyethylammonium methyl sulfate) having two lauryl and three hydroxyl groups was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n-dodecyl glycidyl ether and 2-aminoethanol followed by the quarternization with dimethyl sulfate.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was elucidated by 1 H-NMR and FT-IR. The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surface tension of BHMAS at CMC condition were found to be 9.12 × 10 -4mol/L and 28.71mN/m respectively. Dynamic surface tension measurements using a maximum bubble pressure tensiometer indicated that a relatively long time was required to saturate the interface between air and aqueous surfactant solution. The interfacial tension measured between 1 wt% surfactant solution and n-decane reached an equilibrium value of 0.045mN/m in 5 min.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synthesized surfactant was observed to be excellent, which suggests that the surfactant can be used as a softening agent during a laundry process.

      • KCI등재

        대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개선방안 탐색

        이병민(Byung-M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는 창조경제시대의 발전에 발맞추어,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의 창의성 발현을 위하여, 대학에서의 문화콘텐츠 교육 방안을 어떻게 가져가야할 것인가 하는 가능성을 살펴본 기초 연구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화콘텐츠 교육관련 문제점과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지향 문화콘텐츠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실제 관련 전공 학생들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현재의 문화콘텐츠 교육에 대한 불만족이 기존의 교수법과 학습과정, 창의성이 결여된 교육과정 등에서 비롯되고 있는 만큼, 학제간 접근을 통한 다전공, 연계전공 및 융합교육의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충분한 실험실습 및 인프라, 교수인력들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교육 관련해서는 현장실습과 창의적인 토론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재편이 시급하며, 교육방법에서도 일방적인 강의식에서 탈피하여, 토론, 팀플레이, 프로젝트 교육 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특성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전공들의 연계에 기초하여, 인턴쉽, 융합연계, 다양한 현장실습 등이 조화를 이룬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asic research on college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an effort to step up the manifestation of the creativity of cultural contents expert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ast-changing era of creative economy. Its basically mean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n relation to creative idea to seek practical ways of improving that education.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cultural contents education and how that education was actually provided were analyz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client-centered cultural contents education.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se major was linked to cultural contents were analyzed as well. As a result, curren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was considered not to be satisfactory due to existing teaching methods, learning process and curriculums that were devoid of creativity. To rectify the situation, interdisciplinary attempts should be made such as multi-major, interdisciplinary programs or convergence education, and plenty of experiments, sufficient practice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re all required. In terms of education, existing curriculums and courses should urgently be revamped to strengthen field placement and creative discussions. As for educational methods, the lecture method should be avoided, and specialized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stead, which should strike a balance between discussion, team play and project education. It is expected to produce good results if there are appropriate connection among different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harmonious implementation of diverse internship, convergence and field placement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과 지역발전의 의미

        이병민(Lee, Byung M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창조경제시대 지역발전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경향은 창조적 활동이 촉진되기 위한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knowledge) 중심의 사회에서 창조성(creativity)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창조도시는 산업과 예술적인 생태성, 창조적 계급과 자원의 유동성 뿐 아니라, 문화가 기반이 되는 전통의 복원과 공동체성 창출, 미학성의 추구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유의한 지역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 특히, 창조도시에서 언급되는 창조적 계급과 사회적 자본, 맥락의 특성을 어떻게 환경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느냐가 성공적인 지역발전의 주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산타페라는 미국의 도시를 살펴보면, 공예가들이라는 창조인력들이 밀집함으로서, 하나의 발전 기반이 마련되고, 이러한 조건들이 창조적 환경으로 발전해나가면서, 다양한 주체들의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창조도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구성인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과 다양한 자원들, 특히 인적자원의 확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개별적인 발전전략에서 생태계를 기본으로 하는 역할분담과 협력의 키워드가 훨씬 더 중요해질 것이라 여겨진다. Recent studies related regional development in creative economy era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reative milieu’ promoting the creative activities of specific regions which represent the changes of paradigm from knowledge-based society to creative-based society. Human-centered creative city & regional development is encourag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components; artistic ecology, creative class, liquidity of the creative class & resources, community-based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pursuit of aesthetics.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the city’s creative class, social capit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 terms of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 is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rea. For example, case of Santa Fe, in the United States, tell the story about creative city. By the concentration of artisans, the found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is formulated and these conditions have been developed into a creative environment and eventually made a virtuous cycle for creative city. Finally, communication among composition agents and amplification of resources, especially human resourc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eating creative milieu in creative economy era and strategies of individual roles in the ecosystem, and cooperation on the basis of a keyword is much more important.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창조경제시대 도시재생의 방향 전환과 과제

        이병민 ( Byung Min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최근의 지역재생에서는 기존의 토건 중심의 도시재생에서 인문학적 측면이 강조되는 창조적인 도시재생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창조경제의 발전에 따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의 트렌드도 바뀌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창조인력과 창조산업이 지역발전의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등장하면서, 유네스코의 사례 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창조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의 핵심가치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에 있어서는 하드웨어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지역별 전통 및 정체성에 근간한 차별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국내외 사례에서 그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의 전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창의적 인력 등 자산을 확충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둘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더욱 높이는 사회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하며, 셋째, 실질적인 성과창출과 성공사례를 만들기 위한 기반을 탄탄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도시의 순환과 피드백을 공고히 하기 위한 자기완결적 구조로서의 시스템이 안정되어야 할 것이다. A lot of emphasis has been placed on urban constructions in terms of hardware, but recent discussions about regional regeneration are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humanities & creative city. This means cultural trends of urban regeneration are going to change by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economy. In particular, while in the creation of human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in the region emerged as a key factor, related core values of the city development is changing, such as shown in the case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is changing from hardware into software with several cases, focusing on the regional basis of tradition and identity differenti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ur ideas & tasks about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First, the task of expanding the creative workforce is important including creative asset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is critical to enable further increase the social ecosystem. Third, the actual performance and making of success case creation is important. Fourth, making virtous cycle and the feedback for stable self-completed structure & system.

      • KCI등재

        창조도시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연구: 영국의 테크시티 정책을 중심으로

        이병민 ( Byung-min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4

        영국은 1997년 이후 신노동당 정책에 따라 창조산업육성과 창조도시 발전을 도모하였고, 전통적 제조업 중심 도시에 창조도시 정책을 대입하여 클러스터 정책을 강화하였다. 대표적인 디지털클러스터 성공사례로 꼽을 수 있는 런던의 테크시티는 불모지였던 공간이 자생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벤처기업 집적을 위한 다양한 생태계가 구축된 지역이다. 이를 위해 대학, 민간,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등 유기적 연계와 영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더해졌다. 이를 기회로 영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규모가 크게 성장하고, 입지 기업이 급증하고, 브랜드효과가 크게 제고되었다. 테크시티는 해당 지역의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성장과 가능성을 보고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공공의 노력과 민간의 거버넌스가 잘 조화를 이룬 사례로서, 공공분야의 정책과 민간의 서비스와 적극적 투자,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과 사업화를 위한 시장플랫폼, 그리고 위험을 감수하는 적극적 투자 등이 연계되어 창업, 혁신도시로의 성장을 주도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향후 미래 지향형 디지털 경제 기반 전국적으로 클러스터를 확대하려고 하는 영국의 노력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Since 1997 the United Kingdom has pursued creative industry and creative city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New Labor Party policy, strengthening its cluster policy by assigning creative city policies to traditional manufacturing-oriented regions. Tech City in London,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digital clusters, is an area in which diverse ecosystems for venture business integration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once barren space began to spontaneously develop. For this region, systematic linkages including universities, private companies, start-ups, and accelerators have been added, along with the UK government`s active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is opportunity, the scale of the UK start-up ecosystem has significantly grown, the number of local companies has surged, and brand effect has greatly improved. Tech City is an example of a well-balanced combination of public effort and private governance, based on the region`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otential for growth. It is an effective coordination of public policy and private active investment, services, research, and education. The market platform for institutional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and aggressive investment shares in the risk, have lead to its growth as a start-up and an innovative city. Britain`s efforts to expand the nationwide cluster for the future-oriented digital economy is most noteworthy.

      • KCI등재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이병민(Byung Min Lee),남기범(Kee Bom Nahm)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3

        세계의 경제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공간적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장소의 역할에 대해 장소마케팅이나 장소브랜딩 등을 통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결과로서의 마케팅전략보다는 과정과 참여를 중요시하는 광의적 의미의 종합적인 ‘장소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본 논문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이라는 부분에 집중하여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한국과 일본사례의 검증을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 장소만들기의 융합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투입과 과정, 산출 등 각 과정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장소를 해석하고, 지역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목표를 위해 어떻게 선순환구조를 만들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Global society is shifting and now evolving towards glocalization, meaning the increasing role of region and multi scalar interactions between region and global social world. In this glocalization era, there has been mushrooming literature and much discussions on the impacts of place-branding and place-marketing on regional development both in academia and practical researches. The inclusive and participatory creative place-making process, however, is more quintessential than the resultant place marketing strategy. This paper tries to reassess the creative place-making based on culture-led regional developm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compares Korea and Japan’s strategies and suggests a hybrid model of place-making-branding-marketing, utilizing cultural content industries. It then stress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virtuous circle of sustainable regional cultural industrial ecosystem including culture-based interpretation of places and improvement of community quality of life.

      • KCI등재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기업네트워크 특성 - 한국 내 사업서비스업체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병민(Byung Min Lee) 한국경제지리학회 200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3 No.2

        This study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networks of foreign business service firms in Korea. Specifically intra firm and extra firm organization of foreign firms are addressed utilizing the corporate network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s for the foreign firms. Parent-subsidiary relationships are focused on the mechanisms by which Transnational Corporation (TNCs) headquarters control and coordinate their foreign affiliates and subsidiaries in order to achieve investment purpose in Korea (overseas market expansion). But extra firm networks of foreign business services firms in Korea do not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to date. A low proportion of foreign firms is engaged in academics - industry linkages, and a low number of foreign firms is formally linked with government organiza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trade associations. To conclude,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in business services in Korea are characteristics by globalized intra firm networks and localized interfirm and extra firm networks. It is understood that regional development can be vitalized when Korean local firms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echnologically advanced foreign firms in tacit knowledge capacity. Foreign firms are a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servic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regional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hould be targeted towards the corporate networking with foreign firms and domestic firms and incrementation of the potential of foreign firms as a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 KCI등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이병민 ( Byung Min Lee ),이원호 ( Won Ho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2

        본 논문은 지역의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인지문화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공간적 변화 및 문화 사회적 변동을 ‘글로컬라이제이션’이라는 주제로 관찰하고 함의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특히 최근 창조경제에서 중요한 ‘문화콘텐츠’분야에 집중하고자 한다.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창조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간·경제·사회문화적인 변화의 관련성과 깊은 연관을 맺어왔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인지문화경제’라고 하는 새로운 경제체제로 변화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제지리와 지역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지역발전을 주도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 따른 문화변동의 특징은 재현과 이미지의 해석 등 추상적인 담론에서, 지역단위에서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프로젝트로 등으로 대변하게 되며 보다 구체적인 특징을 지니게 된다. 더 나아가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지역발전의 가능성은 한류와 같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NS 등과 같은 현대 미디어의 환경은 서로 소통하는 공간의 기능뿐만 아니라 로컬 단위의 콘텐츠를 전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간을 확대시키고 있다. 향후 글로컬 콘텐츠의 보다 높은 가능성을 위해 공간과 지역의 연계 강조, 다양한 주체들의 유기적인 연계와 활성화, 로컬 단위의 발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의 주기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 to do observation to 1) Trajectory of cognitive-cultural economy growth withregional historical context, 2) Spatial, cultural and social change caused by cognitive-culture economygrowth, and 3) Draw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glocalizational view. They said that ‘Creativity’ hasbeen related with spatial, economical, cultural and social change and it leads to new economical system,what we call ‘Cognitive-cultural economy’. It is the important event which is to affect economic geographyand local development greatly. New cultural changes are characterized by variations from abstractdiscourse to concrete reality and show the emphasis on real project specific in the region. Further more, possibility of local development in the glocalization found in the specific form of cultural content, for example, Korean Wave. New media environment changes that include SNS function not onlyinteract each other in space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local units and cultural content to the world. In order to enhance the further development of local content, it will require conjunction with space andspecific region, variety of organic link between the principal participant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forfutur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