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층과 일반 아파트 단지의 에너지 소비 특성과 정책방향 연구

        이범훈(Bum-Hun Rhee),장동민(Dong-Min Ch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공식적인 자료를 통해 초고층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단지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비교하고 초고층화를 지향하는 인천시 정책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사례 대상을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도면 검토,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의 분석 등이다. 특히, 인천시 연수구라는 동일한 지역에 위치한 초고층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 소비현황을 도출하고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일반 아파트 단지에 비해 초고층 아파트 단지의 전력에너지 사용량이 1.63-2.5배까지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스에너지 사용량의 경우에도 초고층 아파트 단지가 많이 소비되고 있었으며, 그 폭은 1.09-1.2배였다. 셋째, 단위면적당 에너지소비 또한 1.042-1.3배 높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물론 초고층 아파트 단지의 경우, 일반 아파트 단지에 비해 단위면적당 더 많이 소비되고 있음이 거주자의 수입, 생활수준, 생활패턴 등 개인적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이를 고려한 에너지소비 단위나 만족도 등에 대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자 향후 후속적으로 진행할 연구 소재이다. 다만 공개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아파트 단지 차원의 단위면적당 에너지소비량을 제시하고 기존의 도시정책에 문제제기를 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진 의의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high-rise and general apartments and propose policy implications in Incheon City where high-rise apartments are planned. The method of analysis is to select the cases, to conduct field survey, drawing review, analysis of Electric Architectur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derived the current status of energy consumption in high-rise and general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the same region, Yeonsu-gu Incheon City,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characteristics. First, electrical energy in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was consumed excessively, by 1.63 to 2.5 times more than that of the general apartment complexes. Second, the gas energy usage in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complexes, by 1.09 to 1.2 times. Third, the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in the high-rises was also higher, by 1.042 to 1.3 times. As individual elements such as incomes, living standards, and life patterns of the residents affect energy consumption,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 consumed more energy per unit area than the general apartment complex did. However, this study did not consider the elements of energy expenditure and satisfaction level, which ar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건축 밀도의 변화

        이범훈(Bum-Hun Rhee),장동민(Dong-Min Ch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본 연구에서는 발코니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발코니 활용에 따라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의 출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 사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건축 밀도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인천광역시 현 도시 관리측면의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첫째, 건축법 시행령 내 발코니의 다양한 정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후 2005년 합법화에 따른 발코니 확장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발코니 확장에 따른 밀도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기하였고 대상지의 밀도 관리 측면의 계획적 시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인천광역시 송도경제자유구역 사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건축면적과 연면적 그리고 용적률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일부 구역에서 실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의 밀도 관리를 준수하지 못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 balcony and the emergence of basic-type and expansion-type floor plans according to the balcony utilization. In addition, the change in building density is analyzed with regard to real cases, and base data are offered for future urban polic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ntext of the Building Act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balcony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basic and extension types according to the legalization that occurred in 2005. The issue of density according to balcony expansion is discussed through theories, and a planned attempt at density management in the target area is investigated. The building area, floor area, and floor area ratio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target area, and the density management is empirically prove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nit Plan.

      • KCI등재

        인천 구도심 도시조직의 보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지구단위계획의 내용과 실효를 중심으로

        이범훈(Bum-Hun R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역사환경으로서 도시조직을 이해하고 이를 보전 및 활용하기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내용과 실행 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 연구이며, 인천시 구도심의 경험을 토대로 도시의 보전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첫째, 인천 구도심은 개항과 조계지가 그 시작이며, 일본조계, 청국조계, 각국공동조계 등 각기 다른 도시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도시조직의 보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구단위계획 내 지침으로 가구 계획과 획지 계획, 심의제도를 수립하였다. 셋째, 보전 지침이 미친 영향으로 대상지 내 골목길과 옛 해안선 등 가로와 세장형이라는 필지의 형태, 건물의 외관 요소 등을 보전 및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재정비 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계지 내 역사적 가치를 지닌 가로의 추가적인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조계지 내 필지의 경우, 고유한 형태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형 개발을 제한한다. 셋째, 건물의 외관은 보전 및 활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계획적 인센티브를 마련한다. This study reviewed details and case studies of district unit planning to preserve and develop urban tissues concerning a historic urban environ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In particular,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role of the district unit planning in city conservation rooted in the experience of Incheon’s old town. The old town begins with the opening of Incheon Port and concessions, including Japanese, Qing Dynasty, and multinational settlements. Second, the study established land subdivision planning and reviewed the institutions to encourage urban tissue. Third, the conservation guidelines influenced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treets, such as alleys and old coastlines, the form of parcels called deep and narrow lots, and the exterior elements of buildings. This study also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First, the street with historical value in the settlement should be excavated further. Second, the parcels in the settlement limit redevelopment to maintain the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exterior of the buildings should be provided with planning incentives to indu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 KCI등재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 : 1960년대부터 1990년대의 도시보전을 중심으로

        이범훈(Bum-Hun R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1960 ~ 1990년대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서울시 도심 계획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도시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먼저, 근대화와 도시화 등이 미친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로 과잉 인구 문제로 인한 도심 기능의 분산 정책을 시도한 1960년대부터 강남 개발에 따른 도심의 기능 분산 정책을 추진한 1970년대, 국제이벤트와 경제성장을 이유로 기존의 도심에서 부도심으로 기능이 이전한 1980년대, 정도 600년 기념사업과 기존 도심의 역사성을 인식하게 된 1990년대까지 서울시 도심 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울시 도심 계획에서 나타난 도시 보전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기존의 건물과 가로시설물이라는 물리적 측면을 유지하였고 둘째, 문화재 주변 지역의 규제라는 공간적 측면의 유지를, 셋째, 북촌, 인사동 등 역사적 장소에 대상으로 한 공공 부문 참여인 공간적 측면의 관리를 시도하였으며, 넷째, 서울시민들에게 익숙한 장소들의 접근성을 개선한 사회적 측면의 관리 등으로 도시 보전의 개념이 물리적 – 공간적 – 사회적 측면의 순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nges in Seoul"s downtown planning from the 1960s to 1990s. The approach was examined by classifying its formation process though urban conservation. The effect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on Seoul"s downtown planning were as follows. In the 1960s, Seoul attempted to decentralize urban functions due to excessive population. In the 1970s, a policy to diversify urban functions according to Gangnam development was enacted. In the 1980s, the existing downtown declined, and the sub-downtown grew with changing urban functions. In the 1990s, the identity of the existing downtown was recognized through the Seoul Memorial Project. This study also analyzed downtown planning efforts concerned with urban conservation. First, the physical aspects of existing buildings and street facilities were maintained. Second, the spatial aspects for the maintenance of surrounding areas were proposed. Fourth, the social aspects for accessibility by Seoul citizens was improved.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e concept of urban conservation based on physical-spatial-social aspects.

      • KCI등재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의 계획지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범훈(Bum-Hun Rhee),장동민(Dong-Min Ch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도시재개발과 달리 도시재생은 개발대상지에 대해 보완이 아닌 보존, 복원, 관리를 통해 해결하는 과정이다. 특히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이란 생태환경을 고려한 지역의 삶의 질 개선, 안정적 정주 공간 구축, 그리고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기반형 도시재생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고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해외 선진 사례를 분석하여국내 기성시가지의 물리·환경적 재생과함께 사회·경제적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첫째, 교통정체를 해소하고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자전거에 대한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통근체계를 고려하여 대중교통 노선인 버스, 지하철 등에 대한 연계방안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의 자연환경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규모의 공원 및 수변산책로에 대한 계획과 전기자동차 도입 및 풍력발전시스템 등 자연요소의 활용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셋째, 에너지효율성을 제고하는 도시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건물 배치 및 밀도 등 건축계획적 측면과 대체에너지 이용, 폐기물 관리 등의 건축설비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였다. 넷째,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며, 재생 과정에서 시민들에게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관찰 등 민관 파트너쉽이 요구되었다. Contrary to urban development, urban regeneration is a process of land development through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management. In particular, ecologically based urban regeneration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n area, establish a stable settlement space,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consider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oretical concepts and analyze the successful foreign cases of ecologically based urban regeneration, and propose a direction of socio-economic regeneration along with the physical-environmental regeneration of urban areas in Korea.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to coordinate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subways,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bicycle riders, along with the sustainable-commuting system. Second, both the importance of planning parks and trails around water systems in various scale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using natural element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wind-power generation systems, were emphasized. Third, urban regeneration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requires specific architectural planning and facilities. Fourth, education and research for easy access by the public, as well as public-private partnership, will be need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 KCI등재

        역사도심 도시조직 분석을 통한 수복재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청진구역 미시행 지구를 중심으로-

        이범훈(Bum-Hun Rhee),김진호(Jin-Ho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에서 수복재개발의 실행 사례가 미흡하다는 점과 도시조직에 관한 인식 및 논의가 부족하다는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진동을 중심으로 지리적 특성과 변화를 살펴보고 오늘날 남아있는 도시조직의 현황을 분석하여 관련 수복재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진동의 경우,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도시환경의 형성과 변화를 지속하였으며, 이에 청진동의 도시조직의 경우, 과거 흔적을 지닌 물리적 대상이자 역사적 자산이다. 둘째, 역사환경으로서 청진동 도시조직과 관련하여 가로는 유기적 형태의 골목길로, 필지는 소규모의 부정형이나 세장형으로, 건물은 2층 이하 목구조의 도시 한옥으로 미시행 지구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대상지의 재개발 계획의 흐름을 살펴보고 수복재개발 시, 도시조직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골목길의 기초 조사, 기존 필지의 유지·관리, 도시 한옥의 보존·활용 등 계획적 기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재개발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환경의 보전과 지역 내 고유한 특성이 있는 도시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Cheongjin-dong district in Seoul. In particular, this analysis is conducted by addressing the insufficiency of rehabilitation of this district during the urban environment redevelopment project in Seoul and the lack of awareness and discussion on urban tissue.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urban tissue of Cheongjin-dong began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the current urban tissue of this district has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as it contains traces of the past. In addition, historical streets, plots, and buildings were present in the undeveloped Cheongjin-dong district as an organic alleyway, in small and irregular/elongated forms, and as wooden urban hanok with less than two stories. The analysis results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flow of the target site"s renewal plan. The results were further us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planning standard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alleyway, maintenance of existing plot, and preservation of urban hanok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habilitation of urban tissue. Based on these suggestion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urban tissue with unique characteristics within the region in future renewal process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