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적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방안 연구

        이민경(Min-gyeong Yi)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2 No.-

        이 연구는 성찰적 기법을 기반으로 한국어 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의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 30명이 작성한 수업 성찰 보고서를 수집하여 반성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질적 연구 프로그램인 Nvivo 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자료의 최초 코딩 수는 142개로 나타났으며, 이를 주제에 따라 항목화 한 결과 성찰 주제는 수업, 동기 유발, 준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소통의 네 가지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 계획과 수업 구성 및 실행, 학습자의 동기 유발과 상호작용, 교사 발화와 비언어적 소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성찰적 관점의 수업 관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flective technique, we observed Korean language classes to discuss ways to improve teachers' class expertise. To this end, 30 Korean language teachers working at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s collected class reflection reports and reviewed them from a reflective point of view.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Nvivo 12. The number of initial coding of the analyzed data was 142, and as a result of itemizing it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subject of reflection was found to be in four categories: class, motivation, quasi-verbal elemen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lass planning, class composition and execution, motivation and interaction of learners, teacher speech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lass expertise of Korean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lass observation from a reflective perspective will continue to be made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거주시설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보장과 정책 과제

        이민경 ( Yi Min-gy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보건복지포럼 Vol.329 No.-

        이 글에서는 거주시설 장애인이 시설 생활과 입퇴소 과정에서 자기결정권을 충분히 보장받고 있는지 현황을 살펴보고, 탈시설과 지역사회 자립 지원 정책 추진의 배경에서 거주시설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거주시설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실태 및 욕구 조사’를 진행하였고, 전국 4개 시도의 장애인 거주시설 15곳에 입소해 있는 장애인 119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에 기반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 지원에서 장애 특성별, 연령별 세분화, 특히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을 위한 모델과 전략 수립의 필요성, 둘째, 장애인 개별 욕구에 대응하여 지원할 수 있도록 거주시설에 대한 지나친 행정 중심적 운영의 개선, 셋째, 도전 행동에 대한 대응, 지역사회 참여 지원 등을 위한 거주시설 장애인의 개인별 지원 인력(서비스) 도입 제안, 넷째, 거주시설 종사자의 교육 내실화 등 역량 강화 방안 마련, 다섯째, 탈시설과 지역사회 자립에서 장애인이 주체로서 자기결정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I examine in this article whethe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sufficiently guaranteed for disabled people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 the course of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at the stages of their entry into and exit from institutional care. My observation is based on a survey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institutional care. The survey involved 119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lected from 15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cross four cities. I then make several suggestions to ensur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First, the ongoing efforts to help disabled individuals in facility-based care transition out to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community living should be pursued based on detailed support strategies that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eople of different ages with different disabilitie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develop a model of support to enable individuals with the severes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ive on their own in the community. Second, there is a need to move away from the overly administrative control of resource allocation to residential care facilities to an approach more aligned to the needs of individual residents themselves. Third, a new system can be considered whereby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disabled individuals can have in place support staff tasked with, among others, handling challenging behavior and assisting their residents in community participation. Fourth, there is a need for improving capacity-building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rkers ser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disabled individuals. Fifth, support mechanisms should be built to help disabled individuals, as the subject of their own lives, make self-determined choices regarding their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living.

      • KCI등재
      • KCI등재

        지난 30년간(1981~2010년) 보건복지부 소관 장애인복지예산 분석 : 규모의 적절성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용,이민경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2

        본 연구는 장애인복짖법이 제정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30년간의 중앙정부 장애인복지예산의 변화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부석하는 가운데,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고찰과 함께, OECD 회원국과의 장애인복지예산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주요 정책 영역별로 바람직한 예산 할당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보건복지부 세입세출예산서를 분헛하였으며, OECD 회원국의 사회 지출 데이터베이스(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30년간의 변화를 요약하면, 1990년대 초까지는 주거지원과 지역복지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1990년 대 중반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소득보장이 주거지원과 지역복지와 함께 장애인복지의 3대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갈수록 그 비중을 높여가고 있고, 2000년 대 중반이후부터는 자립생활지원서비스의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예산 비중의 변화를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시켜 보면,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까지는 시설9공급자)중심의 재활 패러다임이 지배적이었다면 1990년 대 중반 이후부터 2000년대에는 이용자 중심의 자립생활 패러다임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OECD 사회지출 데이터베이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5년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장애인복지예산 비중은 0.5%로서 멕시코를 제외하고는 전체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으며, OECD회원국 평균인 2.3%와 비교할 때 그 격차가 매우 컸다. 장애인복지예산에 대한 지속적인 확대와 함께 향후 장애인복지예산 배분은 소득조방의 예산비중을 유지하되, 의료보장, 자립생활지원서비스와 직업재활(중증장애인 취업 지원) 영역에 대한 예산 비중을 제고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 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 in the past thirty years as exploring the change of disability policy paradigm and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ECD countries and to present a desirable plan for allocation of disability policy budget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s of the past thirty years and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ast thirty years' disability policy budgets shows that of all disability policy scopes income support, assistance with a residence and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are main component with remarkable rising in relative share of income support and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recently. This result is related with shift of disability policy paradigm from rehabilitation model to independent living model. And the comparison with OECD countries by the share of disability policy budget of Gross Domestic Products says Korea is the lowest country except for Mexico in OECD countries. This study therefore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need for increasing the state disability policy budget but paticularly for income support, assistance with health care, promotion of independent liv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