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정평가 : 노인의 건강한 장수를 위한 활동체력의 검사항목 선정 및 평가척도

        이미숙(LeeMi-Sook)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useful items represented daily living-related functional fitness, and to assess physical function using Korean elderly people. One hundred forty five Korean elderly people 65 to 85 to years, mean age = 71.2, SD = 4.7 yrs) volunteered for this study. Each participants signed an informed consent and completed a written questionnaire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their health, func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The functional fitness items represent body composition (waist hip ratio and body mass index), aerobic endurance (6-min and walk and 12-min walk), lower body flexibility (chair sit and reach), upper body flexibility (back scrach), upper body strength (arm curl), lower body strength (30-s chair stand), static balance (balanc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and motor agility (dynamic agility course), dynamic balance (8-ft up and go). The resul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fitness tes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s. The main idea of this analysis is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a data set, which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interrelated variables, while retaining as much as possible the variation present in the data se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used as the best single descriptor of total daily living-related physical function tasks. Age and each 12 functional fitness tasks representing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to demonstr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In order to reduce the age and 12 items to a single score, the correlation matrix for the 12 items including age was subjecte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s were computed for each subject. Because the scores generat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expressed in dimensionless units, it was considered desirable to convent these scores to units of total functional fitness score.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method for functional fitness items selecting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useful index in assessing physical health for successful aging in the Korean elderly.

      • KCI우수등재

        체육측정평가 : 성인 남성의 건강체력수준의 평가: 판별분석의 적용

        이미숙(LeeMi-Sook),강상조(KangSang-Jo),田中喜代次(KiyojiTanaka)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1

        일상생활 중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건강체력 수준의 저하가 활력있는 건강한 장수를 위한 잠재 능력을 쇠퇴 시킨다는 이론적인 배경 하에, 개개인의 체력수준에 대한 폭 넓은 검토가 고령화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체력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검사 결과로부터 일반군, 운동군, 비만군으로 분류된 세 집단을 통계적으로 가장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추정식을 작성하는데 있다.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 남성 7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인 남성의 체력을 건강체력 관점에서 정의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근력, 전신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요인을 건강체력수준 평가에 필요한 체력요인 및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의 체력요인을 대표하는 항목은 타당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여 악력, 최대산소섭취량, 체전굴, 체지방 등의 검사항목을 선택하였다.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검토 한 주요 분석내용은 1) 선정된 체력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집단 구성원은 우연에 의한 예언보다 어느 정도 높은 수준에서 정확하게 해당 집단에 소속된 것으로 예언할 수 있는가?, 2) 유의한 판별함수의 수와 각 집단별 판별함수 점수의 평균 즉 집단평균치, 3) 어떠한 체력검사가 판별함수와 높은 상관이 있는가?, 4) 해당 집단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각 독립변인의 점수에 어떤 가중치를 주어야 하는가? 등이다. 건강관련 체력측정 항목 상호 간의 상관 행렬을 검토하고,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4항목으로 구성된 판별함수를 산출한 결과 세 집단이 복수의 체력측정 항목에 있어서의 성적으로부터 정확하게 판별 될 확률은 86.6%였다. 이 결과는 신체활동 수준별로 정확하게 분류된 성인 남성들은 우연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확률 33.5% 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각 개인의 판별득점을 신체적 건강도로 간주하였으며 그 득점과 각 체력 항목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신지구력 및 신체구성 지표와 신체적 건강도 간에 높은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성인 남성의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서 전신지구력과 신체구성의 변화가 신체적 건강도의 지표로서 공헌도가 크고 중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교차타당도에 대한 검토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iscriminate the three different groups categorized by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us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2) to examine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middle-aged men. This study was achieved by classifying the original subject pool in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subgroups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and self-reported activity levels; a normal group (I), a regularly exercise group (II), and an obese group (III). The health status was assessed by physicians.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lected from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mponent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X1), grip strength (X2), body fat (X2), and trunk flexion from a standing position (X4).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f the selected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nsitive to differentiate among the three groups and successfully classify individual in the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hysical health status. Correct discriminant probabilities of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to discriminate the I, II,and III group were 86.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physic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by correlation between the discriminant score representing physical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n each element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It was concluded that discriminant function provided a valid model for evaluating differences among the three different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Therefore, our data suggests that commonly used measures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an be utilized as a valid index of physical health status in exercise and health science.

      • KCI우수등재

        체육측정평가 : 고령자의 일상생활관련 신체기능의 특징 및 평가척도 작성

        이미숙(LeeMi-sook)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반영하는 신체기능의 특징을 파악하고, 평가척도를 작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도시에 거주하는 성인 100명 (연령범위 : 55세-82세) 이다: 1) 추정식 작성을 위하여 건강하고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고령여성 (women group: WG, n = 81명), 2) 교차타당도 검토를 위해서 추정식 작성에 포함시키지 않은 고령남성 (men group: MG, n = 19명)을 선정했다. 검사항목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는 고령자의 일상생활 중의 신체기능이란 관점에서 고려하였으며 각 요소별 검사항목은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은 waist and hip ratio, 2) 상지의 근력/근지구력은 arm curls (회), 3) 유연성은 sit and reach (㎝), 4) 전신지구력은 800 m 보행 (초), 5) 민첩성은 agility course (초), 6) 하지의 동적 근력은 의자에서 일어났다가 앉기 (회), 7) 평형성은 눈뜨고 외발서기 (초)를 선택했다. 자료분석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비교적 건강한 고령여성 81명의 자료에 대해서 선택한 신체기능 7항목과 연령 상호간의 상관행렬에 주성분분석 (principal component score) 을 적용하였다. 추출된 주성분 중 제1주성분 (first principal component) 에 대해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저하현상을 확인하였으며 (r = -.72), 각 개인의 제1주성분득점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을 종합적인 신체기능득점 (physical function score: PFS)라 해석하고, 연령과 비교할 수 있는 척도로 변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통계분석의 절차를 거쳐서 산출된 연령을 신체기능연령 (physical function age: PFA) 이라고 정의하였다. PFA 추정식의 교차타당성 검토는 고령남성 19명에 대해서 같은 측정을 실시하여, 남녀간의 PFA를 비교함으로써 추정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작성한 PFA추정식을 고령 남성에게 적용한 결과 두 집단의 PFA (66.77±5.70세, 64.29±5.35세)와 남성의 연령과 PFA (67.84±6.12세, 64.29±5.35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산출한 PFA는 고령자의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향후 고령자의 일상생활관련 신체기능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여 개개인에게 피드백 하면 노후의 질 높은 삶을 위한 유익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quation for daily living-related determining physical function, and to examine the cross-validation of the physical function age (PFA) equation using a different subject group. One hundred Korean elderly women and men (age range 55 to 82 years) volunteered for this study. Each participants signed an informed consent and completed a written questionnaire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their health, func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The physical function items represent body composition (waist hip ratio), cardiovascular endurance (800 m walking), flexibility (sit and reach), muscular strength/endurance (arm curls, sit and down of chair), balance (balanc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and agility (agility course). The resul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 tes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s. Each 8 physical function tasks representing activity of daily living had to demonstr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In order to reduce the 8 items to a single score, the correlation matrix for the 8 items including age was subjected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main idea of this analysis is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a data set, which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interrelated variables, while retaining as much as possible the variation present in the data se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used as the best single descriptor of total daily living-related physical function task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s were computed for each subject. Because the scores generated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expressed in dimensionless units, it was considered desirable to convert these scores to units of a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imated PFA were symmetrically scattered above and below the line of identity (i.e., Age = PFA). In the cross-validation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PFA of women and PFA of men. Therefore, the PFA equation was considered useful in assessing functional fitness of daily living in the Korean elderly.

      • KCI우수등재

        체육측정평가 : 우수 배드민턴 선수의 형태학적 비율

        강상조(KangSang-Jo),박기현(ParkKi-Hyun),이미숙(LeeMi-Sook),최희남(ChoiHee-Nam)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2

        이 연구는 경기력 수준별로 본 여자 배드민턴(올림픽 메달획득선수 4명, 국가대표선수 8명, 대학·실업선수 14명) 선수들의 人體特性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규명하고 우수선수의 인체특성 모형으로써 성인 대표선수의 形態學的 特性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체계측을 위해 선정된 변인은 현장에서 직접 측정이 가능한 신장과 체중, 5부위의 피하지방, 4부위의 둘레 등 11개 변인이다. 측정은 동일한 측정자에 의해 Ross와 Marfell-Jones(1982), Parizkova(1978)가 제안한 인체계측 절차에 의해 실시되었다. 추정된 골격근의 발달정도를 나타내주는 근질량, 체지방량과 측정된 피하지방, 둘레변인은 Ross와 Marfell-Jones(1982)가 신체비율평가를 위해 제안한 Phantom 지수(Z)로 환산하였다. 인체측정 변인의 집단별 평균치간 차이는 ANOVA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여자 배드민턴 우수선수의 신체적 특성은 평균적으로 볼 때 신장은 크고 체중은 상대적으로 가볍다. 피하지방 축적량은 우수선수일수록 낮으며 특히 대퇴, 장단지, 삼두근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는 적고 체지방률 역시 낮다. 신체둘레 중 대퇴위는 상대적으로 적다. 이와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체측정 변인중 체중과 대퇴위, 대퇴, 장단지의 피하지방 두께, 체지방률과 근질량은 배드민턴 선수의 訓練成果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that characterize elite badminton players in order to examine the efficacy of using elite player`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model for success. Data were collected on 26 female elite badminton players who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groups such as 4 olympic medalists, 8 national representative players, and 14 business team players.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estimates of regional active tissue development (corrected diameters) as indicators of morphological prerequisites in badminton players, the skinfold-corrected diamet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the anthrop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ight, weight, and % fat.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by ANOVA and Phantom z-scores procedures. The olympic medalists had a slight tendency to be taller and lighter than the business team players. The thigh skinfold thickness and the estimated % of body fat of the olympic medalists had a significantly (p<.01) lower than those of the business team players. The % of fat mass relative to total height were significantly (p<.01) increased from the Olympic medalists (23.4%) to the business team players (25.4%). The Phantom z-scores for the relative fat mass were significantly (p<.01) increased with the athletic performance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weight, thigh girth, skinfold thickless of thigh and calf, % of body fat and muscle mass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prerequisites for success at elite levels of badminton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