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허 해일의 〈頭流⼭〉에 관한 一考

        이미숙(현욱)(Lee, Mi-So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5

        본고는 영허 해일의 <두류산>을 번역하고, 문장의 구성을 파악하여 내용에 함축된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여기에서 주목한 점은 사찰명, 지명, 봉우리명 등을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고 두 가지 이상의 뜻을 함축하여 담아내었다는 것이다. 작품은 지명이나 사찰명을 활용하여 지리산의 위치나 가치를 표현하고, 인명이나 사찰명을 사용하여 구전설화나 역사적 인물의 자취, 그리고 선불교의 전래나 불교의 사상 등을 기록하였다. 산의 위치나 가치를 서술함에 있어서 여러 지명과 사찰명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한 두 명칭만 이끌어서 의미를 표현하였다. 산의 형상과 물줄기의 흐름을 묘사함에 있어서도 한 두가지 명칭을 사용하는 간결함으로 의미를 전달하였다. 또 선불교의 전래나 불교의 사상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인명과 관련 사찰명만을 선택해서 내용을 구성하였다. 작품에 기록된 개별 명칭인 지명, 사찰명, 봉우리명 등의 배치가 언뜻 보기에는 일반단어들을 나열해 놓은 듯하였다. 그래서 〈두류산〉에 기록된 사찰명과 지명 등의 존재 여부를 다른 지리산 유산기록에서 찾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별 명칭들이 그 뜻을 상징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두류산〉에 나타난 단어들은 사찰명이나 지명 등을 나타내면서 의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그 명칭들이 앞뒤 문장에서 댓구를 이루기도하고, 의미를 전달함에 있어서 뒷 문장이 앞 문장의 내용을 잇기도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두 세가지의 개별 명칭으로 문장을 구성하고 배치하는 간명함으로 의도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그리하여 작품에 나열된 개별 명칭의 배치가 사찰명과 지명 등을 활용하여 불교사상과 관련 설화, 그리고 깨달음의 경지 등을 함축한 중의적 서술임을 추정하였다. This study translated 〈Mt. Duryusan〉 by Yeongheo Haeil and examined the implied meaning by understanding sentence structures. One thing to note is that the sentences were composed by using temple names, place names, and so on like ordinary words and included two or three meanings at once. The work expressed location or value of the Jirisan Mountain by using either place name or temple name and recorded folktales, vestiges of historical figures, introduction of Seon Buddhism, and Buddhist ideology by using names of people or temple names. When it came to describing location or value of mountain, it did not use several place names or temple names but expressed meaning based on one or two names. Also, when it came to describing shape of mountain or flow of water, 〈Mt. Duryusan〉 conveyed meaning by briefly using one or two names. In addition, it organized contents after selecting names of people and relevant temple names when it came to expressing introduction of Seon Buddhism or Buddhist ideology. The arrangement of place names and temple names seemed enumeration of ordinary words. In that sense, the names in 〈Mt. Duryusan〉 have been identified from other Jiri Mountain heritage record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dividual names represented such meanings. The words in 〈Mt. Duryusan〉 refer to temple names or place names and it had been organized in the style of effectively conveying intended contents. The names comprise rhyming couplet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 sentence and latter sentence was connected to former sentence when it came to meaning delivery. Such an analysis identified that intended contents have been expressed based on conciseness of organizing and arranging sentences with two or three individual names. Thu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arrangement of individual names based on temple names and place names was ambiguous description implying tales and enlightenment stage related to Buddhist ideology.

      • KCI등재

        暎虛海日의 禪詩를 통해 본 삼문수행관

        이미숙(현욱)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6 No.-

        본고는 영허해일(暎虛海日, 1541-1609)의 선시(禪詩)를 통해서 선·교학·염불에 대한 그의 수행관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그의 시(詩)에서 삼문수행(三門修行)과 관련된 몇 작품을 분석하고 그 바탕에서 삼문에 대한 견해를 검토하였다. 영허선사는 선(禪)과 관련된 시에서는 결제(結制)와 좌선에 임하는 마음 자세를 읊었고, 화두를 간(看)하는 수행법을 제시하였다. 화두를 들고 수행하는 것은 이론과 개념을 벗어난 전형적인 경절(徑截)의 의미임을 밝힌 것이었다. 불교 서적을 열람하고 읊은 시에서는 교학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선 수행을 실천하는 유교입선(由敎入禪)과 이론과 실천이 하나라는 선교일치(禪敎一致)의 관점을 강조하였다. 그는 교학을 접하고는 그 책의 요점을 발췌해서 전체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읊었고, 시를 지을 때는 시문(詩文)에 쓰이는 점화의 방법을 활용해서 자신의 표현 방법으로 주장하고자하는 의미를 드러내었다. 염불과 관련된 시에서는 마음으로 부처를 관[觀念念佛]하면서 ‘나무아미타불’의 명호를 소리 내어 염하는 칭명염불(稱名念佛)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본래 마음을 알면 그 세계가 바로 정토라는 유심정토(唯心淨土)와 선과 염불이 둘이 아니라는 선정일치(禪淨一致)의 수행도 강조하였다. 이와같이 영허선사는 수행의 견해를 제시할 때 어떤 하나의 관점에 국한(局限)하지 않았다는 것을 그의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iewpoint of Yeongheo Haeil(暎虛海日) toward Seon(禪), Buddhist thoughts(敎學), and Buddhist invocation(念佛) based on his Seon poetry(禪詩). For this aim, several works related to the Three Gates Buddhist Practice(三門修行) from the poetry of Seon master(禪師) and the point of view toward the Three Gates(三門) has been examined based on it. With regard to the poetry related to Seon, the mindedness toward Kessei(結制) and Sitting in Seom Medication(坐禪) and the self discipline seeking a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話頭) were studied.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founders of the Seon School had revealed the meaning of Gyeoljeol (徑截) which is practiced along with the suggested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話頭) to their disciples. In the poems recited after reading the books related to Buddhism, the viewpoint of SeonGyoilchi(禪敎一致) which means that YooGyoipseon(由敎入禪) fulfilling the Seon practice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Buddhist thoughts, theory, and practice are one had been emphasize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ssentials of the book were extracted and recited so 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reciting was done in his own method of expression by using the observed priming effect(點化) used in poetry and prose(詩文). This study identified that Ching Myeong Nyeombul(稱名念佛) vocalizing the name and pen name of ‘Save us, merciful Buddha!’ while looking on Buddha in one’s heart(觀念念佛) was suggested in the poems related to Buddhist invocation. In addition, the fact that Mindfulness Buddhist Elysium(唯心淨土) the paradise is when one’s inherent character is clean and Seon are Buddhist invocation and the practice of SeonPurelandilchi(禪淨一致) Buddhist invocation is Seon are also being emphasi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ewpoints of practicing Seon, Buddhist thoughts(敎學), and Buddhist invocation(念佛) inherent in poetry, Seon maste were not limited to a single viewpoint when suggesting the Three Gates Practice(三門修行) viewpoint through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