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규(叫), 양(讓), 급(給)" 피사동 표현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 연구

        이문화 ( Wen Hua Li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본 연구는 신문기사와 드라마 병렬말뭉치를 분석함으로써 ‘叫, 讓, 給’ 피사동 표현과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의 다양한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어 ‘叫, 讓, 給’ 피사동 표현이 중국어에서 피동이나 사동 가운데 어떤 범주로 더 많이 사용되는가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한·중 병렬말뭉치에서 ‘叫, 讓, 給’ 피사동 표현이 한국어 표현에 대응되는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고 각각의 비율뿐만 아니라 대응 관계에서 나타나는 규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글말과 입말에서의 사용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신문기사와 드라마 자료를 분석하였다. 피동과 사동에 관련된 한·중 대조 연구가 지금까지는 각각의 특징만을 따로 규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피동과 사동의 기능을 두루 갖는 표현 중 대표적인 ‘叫, 讓, 給’에 주목하였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병렬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대조 연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중국어의 ‘叫, 讓, 給’ 피사동 표현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이 결코 단순하지 않음을 밝혀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이 중국어의 피사동 기능을 갖는 ‘叫, 讓,給’ 표현이 한국어에서 사동, 피동 등의 다양한 문법 범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더불어 실제 의사소통의 상황(입말, 글말)에 따라서 차별화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Chinese 叫, 讓, and 給, all of which function as both passive and causative markers.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usages of 叫, 讓, and 給 in Chinese texts and discussed which grammatical function was more prevailing for each marker. Secondly, we explored the equivalent counterparts of respective markers in Korean by analyzing usages in a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corresponding tendency. Finally, we also discussed the different use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rough the analysis of usages in newspapers and drama scripts. Previous Korean-Chinese comparative studies on passive or causative have been concerned either passive or causative however this paper examines gram matical morphemes used as both passive and causative markers. In addition, this paper implemented comparative methodology by using a parallel corpus and illustrated complicated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passive/causative mark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in the study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particular, it will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hinese learners and also offer distinctive data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한국어 “있다”와 “없다”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연구 -한·중 드라마 병렬말뭉치를 중심으로-

        이문화 ( Wen Hua Li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4 언어사실과 관점 Vol.34 No.-

        In this study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rama parallel corpus, the lexical meaning and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Korean expression “itta”and”optta”in response to the Chinese expression. And further more, find the antonymous expression in both Korean and Chinese containing “itta” and “optta”. This study is unlike previous studies for it studied both “itta” and “optta”. Through this study, can find that not all of the Chinese expression which in response to the Korean expression containing “itta” and “optta”, are antonymous. The study based on parallel corpu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Korean “itta” and “optta” in response to Chinese expression does not simply have never seen the point in the meaning to be found . This contrasts findings in linguistics may be used as important data , as well as education of Korean grammar may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

      • KCI등재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이문화 ( Li Wen-hua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연구는 사전 기술과 드라마 병렬말뭉치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어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 세부 의미별로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분석하였다. 현재 한·중 사전은 `-에`, `-에서`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매우 빈약하게 제시하고 있다. 병렬말뭉치 분석 결과 한국어 `-에`와 `-에서`는 조사이지만 그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은 조사뿐만 아니라 `개사`, `명사`, `접속사`, `개사구`, `부사` 등으로 다양했다. 또한 한국어에서 `-에`와 `-에서`는 분명히 구별되지만 `장소` 의미에 대응되는 중국어 대역어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에`와 `-에서`의 의미 중 중국어에 대응 표현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에`와 `-에서`의 중국어 대응 표현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중 병렬말뭉치를 분석해 실증적으로 한·중 대응 표현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 현장 및 대조언어학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중 사전에서 `-에`와 `-에서`의 대역어를 보충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sually commit many errors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Korean `e` and `eseo` postpositional particles. It is primarily because of the similarities in form, distribution, and use of both particles. Also, there exists various and complicated Chinese corresponding phrases to these two particles. Furthermore, the category of such Korean particles differ from their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Specifically, the former belong to particle category only while the latter belong to noun, adverb, conjunction, and other domains, thus a variety in usage. This study investigated existing dictionary sources and parallel corpus of dramas used as substantiating evidence. From these materials, the meanings of Korean `e` and `eseo` postpositional particles were examined. After which, their respective meanings were analyzed and juxtaposed with their corresponding Chinese counterpart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t confirmed that there are insufficient conditions in the Chinese particles in regard to `e` and `eseo` particles that can be found in the Korean-Chinese dictionary. Second, it clarified that Chinese counterparts of Korean `e` and `eseo` particles include various categories such as noun, conjunction, adverb and others. This was evident when forms and syntax of various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different categories were presented and explained. Third, despite the difference in form between `e` and `eseo`, they share a similarity with regards to the meaning of `location` in the form and meaning of five kinds of Chinese target words. Fourth, it identified conditions where the respective meanings of `e` and `eseo` do not correspond. Specifically in the meaning of `e` particle, this study discovered that it does not correspond well with Chinese categories involving `emphasis`, `qualification`, `time`,`measure`, `tool`, `means`, and `subjunction`. Fifth, it also identified the Korean modifier expression of `eseo`. Sixth, it revealed the new and frequency use of corresponding spoken Chinese expressions of Korean `e` and `eseo` particles which the existing literature have not identif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ways. One is that it can be a material which can further substantiate the parallel corpus as a dependable source of data/information from which Chinese learners are the subject of study. Another way is that it can be a helpful resource to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s well as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Finally, it can be a useful basic material in Contrastive Linguistics studies. Specifically, it can enrich the five kinds of Chinese target words relating to `e` and `eseo` part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